목차
강변여과수 개요
필요성
발전방향
사례
필요성
발전방향
사례
본문내용
으로써 안정적인
취수 및 급수가능
ㅇ 하천 표류수로부터의 직접적인 영향이 적으므로 상수원 보호구역 규제
필요성이 적음
ㅇ 강변여과수는 보통 망간성분과 색도가 문제가 되는데, 철은 모래여과로,
망간은 활성탄 시설의 설치로 제거할 수 있다. 강변여과수 취수 후 일반
정수처리공정/고도처리공정에서 약품투입단계를 줄여서 운전이 가능하다.
6. 강변 여과수 국내 · 외 사례
ㅇ 1870년경 유럽의 라인강 및 세느강변의 국가에서 개발이용
구 분
정 수 장 명
취 수 방 식
취수량
(㎥/일)
비 고
독 일
뒤셀도르프
정수장
취수정식(70정)
특수집수정(18정)
33,600
324,600
라인강둑으로
부터 50~250m이격
에센 정수장
취수정식
+
인공함양
134,000
하천표류수를
직접 취수해 급속
여과, 인공함양
쾰른 정수장
취수정식
+
인공함양
-
라인강에서
50~100m 이격
테겔 정수장
취수정식
(1,200개 심정)
370,000
테겔호(강변)에서 60m 이격
오스트리아
비엔나 정수장
특수집수정
40,000
시험시설
프랑스
Le Pecq- Croissy
정수장
취수정식
+
인공함양
320,000
세느강 취수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정수장
취수정식
+
인공함양
250,000
라인강 지류
레크(Lek)강
취수
한국
함안군 칠서면
취수정식
(수직정 18정)
22,000
낙동강 복류수
창원시 북 면
취수정식
(수직정 7정)
10,000
낙동강 복류수
창원시 대산면
취수정식
(수직정44정,방사형6정)
60,000
10,000
낙동강 복류수
김해시 생림면
취수정식
(방사형 9정)
180,000
공사중
7. 강변 여과수에 대한 고찰
ㅇ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하천 표류수의 오염은 표류수를 직접 취수해서 정수처리하는 방식에 대하여 문제를 발생시켰다.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고도정수처리 방안인데 이것도 상류에서의 수질사고나 경제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강변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충적층의 오염저감능을 이용하여 간접취수 하는 방식으로 유럽에서는 독일을 중심으로 100년 전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직접 취수해서 고도정수처리하는 방식에 비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ㅇ 지역특성이 넓은 충적층을 가지는 구역에서는 이 방법을 도입하여 정수처리 공정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강변여과수 개발은 경제성 뿐만 아니라 불의 의 수질사고에 대응하기 유리하며 현재 정수처리공정의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암모니아와 소독 부산물의 문제에 있어서도 기존 공정보다 유리하다.
ㅇ 강변여과수의 개발이 기존공정보다 유리한 점은
1) 연중 수온의 변화가 적어 겨울철 정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암모니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2) 낙동강 폐놀사고 같은 돌발적인 사고시 강변의 충적층이 완충작용을 하므
로 안전하다.
3) 부유물질, 용해성물질, 대장균 등이 직접 취수시보다 적어 소독 부산물에
대한 문제점 발생소지가 적다는 것이다.
ㅇ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강변여과 도입시에는 충적층 조건(토양성분, 대수층 두께, 지하수위)이 양호해야 하며, 충적층 면적 및 연장이 충분해야 하며, 배후지와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지하수 수위저하로 인한 민원발생의 여지가 있으므로 양수량 결정시 주의해야 한다. 또 하천 표류수에 비하여 철,망간의 농도가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도 수립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강변여과수 개발이 직접취수 방안보다 취수공정의 개발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나, 하천 표류수 보다 양질의 원수 확보로 정수처리 단계를 줄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시민의 맑은 물 요구를 충족시켜 타당성 있는 대안으로 생각된다.
취수 및 급수가능
ㅇ 하천 표류수로부터의 직접적인 영향이 적으므로 상수원 보호구역 규제
필요성이 적음
ㅇ 강변여과수는 보통 망간성분과 색도가 문제가 되는데, 철은 모래여과로,
망간은 활성탄 시설의 설치로 제거할 수 있다. 강변여과수 취수 후 일반
정수처리공정/고도처리공정에서 약품투입단계를 줄여서 운전이 가능하다.
6. 강변 여과수 국내 · 외 사례
ㅇ 1870년경 유럽의 라인강 및 세느강변의 국가에서 개발이용
구 분
정 수 장 명
취 수 방 식
취수량
(㎥/일)
비 고
독 일
뒤셀도르프
정수장
취수정식(70정)
특수집수정(18정)
33,600
324,600
라인강둑으로
부터 50~250m이격
에센 정수장
취수정식
+
인공함양
134,000
하천표류수를
직접 취수해 급속
여과, 인공함양
쾰른 정수장
취수정식
+
인공함양
-
라인강에서
50~100m 이격
테겔 정수장
취수정식
(1,200개 심정)
370,000
테겔호(강변)에서 60m 이격
오스트리아
비엔나 정수장
특수집수정
40,000
시험시설
프랑스
Le Pecq- Croissy
정수장
취수정식
+
인공함양
320,000
세느강 취수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정수장
취수정식
+
인공함양
250,000
라인강 지류
레크(Lek)강
취수
한국
함안군 칠서면
취수정식
(수직정 18정)
22,000
낙동강 복류수
창원시 북 면
취수정식
(수직정 7정)
10,000
낙동강 복류수
창원시 대산면
취수정식
(수직정44정,방사형6정)
60,000
10,000
낙동강 복류수
김해시 생림면
취수정식
(방사형 9정)
180,000
공사중
7. 강변 여과수에 대한 고찰
ㅇ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하천 표류수의 오염은 표류수를 직접 취수해서 정수처리하는 방식에 대하여 문제를 발생시켰다.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고도정수처리 방안인데 이것도 상류에서의 수질사고나 경제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강변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충적층의 오염저감능을 이용하여 간접취수 하는 방식으로 유럽에서는 독일을 중심으로 100년 전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직접 취수해서 고도정수처리하는 방식에 비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ㅇ 지역특성이 넓은 충적층을 가지는 구역에서는 이 방법을 도입하여 정수처리 공정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강변여과수 개발은 경제성 뿐만 아니라 불의 의 수질사고에 대응하기 유리하며 현재 정수처리공정의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암모니아와 소독 부산물의 문제에 있어서도 기존 공정보다 유리하다.
ㅇ 강변여과수의 개발이 기존공정보다 유리한 점은
1) 연중 수온의 변화가 적어 겨울철 정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암모니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2) 낙동강 폐놀사고 같은 돌발적인 사고시 강변의 충적층이 완충작용을 하므
로 안전하다.
3) 부유물질, 용해성물질, 대장균 등이 직접 취수시보다 적어 소독 부산물에
대한 문제점 발생소지가 적다는 것이다.
ㅇ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강변여과 도입시에는 충적층 조건(토양성분, 대수층 두께, 지하수위)이 양호해야 하며, 충적층 면적 및 연장이 충분해야 하며, 배후지와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지하수 수위저하로 인한 민원발생의 여지가 있으므로 양수량 결정시 주의해야 한다. 또 하천 표류수에 비하여 철,망간의 농도가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도 수립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강변여과수 개발이 직접취수 방안보다 취수공정의 개발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나, 하천 표류수 보다 양질의 원수 확보로 정수처리 단계를 줄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시민의 맑은 물 요구를 충족시켜 타당성 있는 대안으로 생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