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의 공익적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속도를 줄여서 각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 위쪽에서는 수고의 5배, 바람의 아래쪽에서는 수고의 35배의 거리에 해당하는 범위에 걸쳐 방풍효과를 올릴 수 있다. 이러한 숲 띠의 방풍효과는 예부터 알려져서 곳곳에 만들어진 방풍림을 볼 수 있다. 농경지의 주변에 방풍림을 조성해 두면 경지의 건조를 막고 작물의 자람을 도와 수확량이 증가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외국에서 조사된 사례이지만 이층벽돌 단독주택의 둘레에 물푸레나무를 심었을 때 여름에는 일사를 막아 건물에 냉각효과를 주고 겨울에는 찬바람을 막아 주어서 생활공간의 온도조절에 소요되는 전기료가 크게 절감되었다는 조사결과가 있다.
소음 방지 기능
음파가 나무의 잎과 가지로 말미암아 파동에너지를 잃어버리는 효과와 소음원으로부터의 거리를 숲이 관여하게 되는 두 가지 효과로서 숲 속의 소음은 감소하게 된다. 조건이 좋으면 30m의 폭을 가진 숲 띠에서는 25phon의 소음감소가 기대되고, 거리에 의한 자연감소를 빼면 소음감소는 8phon 정도라는 조사결과가 있다. 계속되는 소음은 인체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준다. 이 밖에도 나뭇잎이 바람에 나부끼는 감미로운 소리, 그리고 새들의 소리도 있어 불쾌한 소음을 상쇄시키는 효과도 있으며, 숲의 존재가 주는 심리적인 소음감소의 효과도 있다.
문화적 기능과 풍치 보존 기능
우리는 흔히 우리 나라를 금수강산이라 한다. 아름답기 한이 없다는 것이고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 사계절을 통해서 변화를 주는 나무의 숲과 산의 경관은 우리의 정신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즉, 문화ㆍ그림ㆍ조각ㆍ음악 등 각종 예술의 꽃을 피우게 했다. 숲과 노거목은 사람들의 삶의 역사성에 잠겨서 진실을 만들었고, 때로는 토속신앙의 대상으로까지 되어 우리의 삶의 정서를 순화시켜 준 바 있다. 자연공원의 설정은 이러한 뜻에서 중요한 일이며, 숲의 풍치적 가치를 추출하는 방향의 이용이 크게 모색되고 있다. 우리 민족의 삶 속에서 수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막대하다 할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신단수(神檀樹)가 등장하여 숭배의 대상이 되었고 부락 인근에 있는 신목(神木)과 당산목(堂山木)은 수호신으로서 경배의 대상이 되어 토속신앙의 주체가 되었는가 하면 문학과 예술의 소재로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 정이품송 소나무 - 삼송리 왕소나무
수종명
위치
전설 및 내력
비고
소나무
정이품송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상판리
세조에 의해 위계가 주어짐
천연기념물
103호
석송령
경북 예천군 감천면 석평리
인격이 부여됨
소득세 등 각종 세금납부
천연기념물
294호
자방송
경북 영덕군 지품면 복곡동
중국 한나라 장자방이야기
반송
경북 상주군 화서면 상현리
나무안에 이무기가 삶
안개 낀 날은 구름이 덮는 듯함
처진소나무
경북 청도군 운문사
삽목 전설 나무에 치성 드린 후 막걸리를 줌
천연기념물
180호
백송
충북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산16
정조때 이 마을 김씨 선조 김상진이 중국에서 가져다 심음
천연기념물
104호
삼송리
왕소나무
충북 괴산리 청천 삼송리 250
노송이 3그루 있어 삼송리라 함 나뭇가지 건드리면 해를 입음
천연기념물
290호
정부인 소나무
충분 보은군 외속리면 서원리 49-2
정이품송과 내외간으로 전해옴
천연기념물
352호
소나무
충북 청주시 단월동 450
강원도 사람이 이 나무 심고 불공드려 득남 후손번창
도 보호수
어시송
충북 영동군 영동음가리 103-2
어사의 기념식수
역로에 이정표시 위해 심음
마을보호수
- 우리나라 산림수목의 전설 및 내력 (소나무)
정리
우리 국토의 2/3를 차지하는 숲은 예로부터 우리에게 먹을 거리와 맑은 공기, 비옥한 토양을 제공하고 산사태나 홍수, 강한 바람을 막아 주었다. 숲은 그 자체로서 우리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었으며 실제로 숲은 불안한 정서를 치료하고 피를 맑게 하며 두뇌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와 6.25전쟁을 겪으며 우리의 많은 숲이 파괴 었다. ‘치산녹화 10개년 계획’으로 많은 나무를 심었지만 이제는 산업화로 인해 숲이 오염 되고 있다. 이제 다시 숲을 위해 무언가를 할 때이다. 끊임없이 나무를 심어 훼손된 숲을 복원해야 하며 때로는 적절한 비료를 사용하여 죽어가는 나무를 살려야 한다. 더 나아가 도시에도 많은 숲을 조성하여 쾌적하고 안정감 있는 도시생활을 누리고 숲을 직접 체험하고 배우고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출 처
『숲 해설 아카데미』 - 숲해설 교재 편찬팀
『환경을 지키는 숲』 - 임업연구원
『숲의 사회화』 - 신원섭 지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1.0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05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