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정신병 약물(Antipsychotics)
2. 항우울제 (antidepressants)
3. 항불안제 ( Antianxiety drugs )
4. 기분 안정제 (Mood stabilizers )
5. 항파킨슨 약물(Antiparkinsonian drug)
6. 진정 - 수면제 ( sedatives - hypnotics )
7. 기타 : 알츠하이머 치료제
2. 항우울제 (antidepressants)
3. 항불안제 ( Antianxiety drugs )
4. 기분 안정제 (Mood stabilizers )
5. 항파킨슨 약물(Antiparkinsonian drug)
6. 진정 - 수면제 ( sedatives - hypnotics )
7. 기타 : 알츠하이머 치료제
본문내용
사용한다.
1-⑤ 항 파킨슨 약물을 투여한다.
1-⑥ 추체외로 증상이 적게 일어나는 약물로 바꾼다.
간호수행
1-① 조용하고 자극이 없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1-② 대상자의 불안을 말로 표현하게 하였다.
1-③ 증상이 금방 없어지며 심한 부작용이 아님을 설명하였다.
1-④ 즉각적 처치를 시행 하였고, 호흡 보조 장치의 필요성을 사정하였다.
1-⑤ 항 파킨슨 약물을 투여하였다.
(cogentin 2mg IM투여)
1-⑥ 추체 외로 증상이 적게 일어나는 약물로 바꾸었다.
(clozapine 으로 약물 바꿈.)
간호평가
근육 경련과 목 뻣뻣함을 호소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cogentin 투여 후 근육경련과 목 뻣뻣함을 호소하지 않았고, 안정적인 생활하고 있음→ clozapine으로 바꾼 후 추체외로 증상 나타나지 않음.)
사례2
23세의 여성인 이00씨는 현실과 맞지 않게 자기 스스로 기분이 들뜨고 과장되고, 지나친 자신감을 갖고, 불안정한 기분을 느끼는 증상으로 입원하여 조증이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이00씨는 입원 후 리튬을 투여 받은 지 3주 정도 되었다. 이OO씨는 최근 들어 오심과 구토가 있으며 구음장애와 이명과 시야흐림 및 손 떨림 등의 증상이 있다고 하였다.
약물(lithium)부작용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사정자료
주관적 자료
“약 때문에 속이 좋지 않고 구토가 잦아졌어요.”
“귀가 울리고(이명) 시야가 흐려요.”
“약 때문에 그런지 발음이 잘 안되서 불편해요.”
객관적 자료
lithium을 복용중인 환자이다.
간호목표
장기목표
약물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신체손상을 최소화 한다.
단기목표
1) lithium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신체손상을 예방한다.
2) lithium 중독증상이 나타난 경우, 중독증상에 의한 신체손상을
최소화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1-1) lithium 유지 용량은 혈중 농도가 0.6~1.0mEq/L 정도로 유지되는지
정기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1-2) lithium은 드물지만 치명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을 시키고 예방하도록 한다.
1-3) lithium 중독의 초기증상을 알고 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에게
즉시 알리도록 한다.
2-1) lithium 중독이 심각할 경우 즉시 혈중 lithium을 체크한다.
2-2) lithium 중독이 심할 경우 적절한 치료를 시행한다.
간호수행
1-1) lithium 혈중 농도가 0.6~1.0mEq/L 수준으로 유지되는지
마지막 투약 12시간 이후에 (초기: 주 1~2회, 초기이후 : 2주에 1회,
6개월 이후: 2달에 1회) 정기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1-2) 환자와 가족에게 체내의 나트륨이 감소하면 리튬이 신장에서 재흡수
되어 리튬농도가 증가하여 독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나트륨 결핍이
초래되는 이뇨제, 운동, 탈수, 고열등을 피하고 나트륨이 적절한 음식과
하루 2500~3000ml 정도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1-3) lithium 중독의 초기증상(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거친 손떨림, 근육내연축, 무기력, 구음장애, 과도한 근반사, 운동실조, 이명, 현운,
허약, 졸림)등이 나타날 경우 의사에게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2-1) lithium 중독증상이 심각할 경우 즉시 혈중 lithium을 확인하였다. :
가능한 때 전해질, BUN, creatinine, 소변분석, CBC을 시행하였다.
2-2) lithium 중독이 심할 경우 :
① 요산 혹은 만니톨과 함께 삼투성 이뇨를 시킨다.
② 매우 심한 경우(혈청 농도가 2.0mEq/L 이상일 때) 복막투석
혹은 혈액 투석을 시행한다.
③ lithium 흡수를 제한한다. : 구토제를 제공하거나 비위관 흡입을 한다.
④ lithium을 희석시키기 위하여 수액을 공급하고, 전해질을 유지한다.
간호평가
1) lithium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신체손상을 예방하였다.
2) lithium 중독증상이 나타난 경우, 중독증상에 의한 신체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즉각적인 중재를 하였다.
문제 1. 이씨는 31세의 여자 환자로 Haloperidol을 복용하던 중 최근 약물 용량을 증가시켰다. 이씨에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약물복용을 즉시 중단하고 면밀한 관찰을 요구하는 사항은?
가. 눈과 목, 사지 등의 갑작스런 중증의 근긴장 이상반응
나. 간효소 수치의 상승
다. 고온, 발한
라. 백혈구증가증
① 가나다 ②가다 ③다라 ④라 ⑤가나다라
문제 2. phenothiazine 계열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에게서 갑자기 왼쪽 얼굴 근육 위축이 일어났다 이 때 적절한 간호중재는?
1. 늦기 전에 응급치료를 한다.
2. 곧 나을 것이라고 무시하며 다른 치료에 몰두한다.
3. 일시적인 증상이므로 안심시킨다.
4. 증상을 지적하면 불안이 증가하므로 관심을 두지 않는다.
5. 약물의 부작용임을 알고 주치의에게 알리고 응급치료를 한다.
문제 3. 리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경과 근육세포 속에서 염분 이동을 변화시킨다.
2. 급성 조증, 경조증, 재발되는 양극성 장애에 효과적이다.
3. 신장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 대상자는 면밀히 관찰해야한다.
4. 급성 중증의 초기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항우울제와 병용해서 할 수 있다.
5. 땀이 많이 나거나 염분 섭취가 감소되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해설
1. ⑤
중증의 추체외로증상, 고온, 발한, 빈맥, 혈압변동, 요정체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혈액검사결과에서는 백혈구증가증, 간효소 수치 증가, 근육효소에서 CPK의 증가를 보인다. 궁극적으로 신부전이나 호흡기 부전을 초래하여20~25%의 사망률이 보고되고 있으며,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이므로 즉시 약물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2. ⑤
정신과적 증상이 아닌지 확인한다. 안심시키고 대단히 고통스러울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치료진이 그 원인과 해결책을 알고 있음을 설명해준다 주치의에게 보고하여 항불안, 근 이완효과가 있는 약물을 처방받는다.
3. ④
일반적으로 리튬은 급성우울 에피소드의 초기 치료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항우울제와 같이 사용할수 있다
1-⑤ 항 파킨슨 약물을 투여한다.
1-⑥ 추체외로 증상이 적게 일어나는 약물로 바꾼다.
간호수행
1-① 조용하고 자극이 없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1-② 대상자의 불안을 말로 표현하게 하였다.
1-③ 증상이 금방 없어지며 심한 부작용이 아님을 설명하였다.
1-④ 즉각적 처치를 시행 하였고, 호흡 보조 장치의 필요성을 사정하였다.
1-⑤ 항 파킨슨 약물을 투여하였다.
(cogentin 2mg IM투여)
1-⑥ 추체 외로 증상이 적게 일어나는 약물로 바꾸었다.
(clozapine 으로 약물 바꿈.)
간호평가
근육 경련과 목 뻣뻣함을 호소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cogentin 투여 후 근육경련과 목 뻣뻣함을 호소하지 않았고, 안정적인 생활하고 있음→ clozapine으로 바꾼 후 추체외로 증상 나타나지 않음.)
사례2
23세의 여성인 이00씨는 현실과 맞지 않게 자기 스스로 기분이 들뜨고 과장되고, 지나친 자신감을 갖고, 불안정한 기분을 느끼는 증상으로 입원하여 조증이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이00씨는 입원 후 리튬을 투여 받은 지 3주 정도 되었다. 이OO씨는 최근 들어 오심과 구토가 있으며 구음장애와 이명과 시야흐림 및 손 떨림 등의 증상이 있다고 하였다.
약물(lithium)부작용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사정자료
주관적 자료
“약 때문에 속이 좋지 않고 구토가 잦아졌어요.”
“귀가 울리고(이명) 시야가 흐려요.”
“약 때문에 그런지 발음이 잘 안되서 불편해요.”
객관적 자료
lithium을 복용중인 환자이다.
간호목표
장기목표
약물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신체손상을 최소화 한다.
단기목표
1) lithium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신체손상을 예방한다.
2) lithium 중독증상이 나타난 경우, 중독증상에 의한 신체손상을
최소화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1-1) lithium 유지 용량은 혈중 농도가 0.6~1.0mEq/L 정도로 유지되는지
정기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1-2) lithium은 드물지만 치명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을 시키고 예방하도록 한다.
1-3) lithium 중독의 초기증상을 알고 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에게
즉시 알리도록 한다.
2-1) lithium 중독이 심각할 경우 즉시 혈중 lithium을 체크한다.
2-2) lithium 중독이 심할 경우 적절한 치료를 시행한다.
간호수행
1-1) lithium 혈중 농도가 0.6~1.0mEq/L 수준으로 유지되는지
마지막 투약 12시간 이후에 (초기: 주 1~2회, 초기이후 : 2주에 1회,
6개월 이후: 2달에 1회) 정기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1-2) 환자와 가족에게 체내의 나트륨이 감소하면 리튬이 신장에서 재흡수
되어 리튬농도가 증가하여 독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나트륨 결핍이
초래되는 이뇨제, 운동, 탈수, 고열등을 피하고 나트륨이 적절한 음식과
하루 2500~3000ml 정도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1-3) lithium 중독의 초기증상(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거친 손떨림, 근육내연축, 무기력, 구음장애, 과도한 근반사, 운동실조, 이명, 현운,
허약, 졸림)등이 나타날 경우 의사에게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2-1) lithium 중독증상이 심각할 경우 즉시 혈중 lithium을 확인하였다. :
가능한 때 전해질, BUN, creatinine, 소변분석, CBC을 시행하였다.
2-2) lithium 중독이 심할 경우 :
① 요산 혹은 만니톨과 함께 삼투성 이뇨를 시킨다.
② 매우 심한 경우(혈청 농도가 2.0mEq/L 이상일 때) 복막투석
혹은 혈액 투석을 시행한다.
③ lithium 흡수를 제한한다. : 구토제를 제공하거나 비위관 흡입을 한다.
④ lithium을 희석시키기 위하여 수액을 공급하고, 전해질을 유지한다.
간호평가
1) lithium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신체손상을 예방하였다.
2) lithium 중독증상이 나타난 경우, 중독증상에 의한 신체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즉각적인 중재를 하였다.
문제 1. 이씨는 31세의 여자 환자로 Haloperidol을 복용하던 중 최근 약물 용량을 증가시켰다. 이씨에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약물복용을 즉시 중단하고 면밀한 관찰을 요구하는 사항은?
가. 눈과 목, 사지 등의 갑작스런 중증의 근긴장 이상반응
나. 간효소 수치의 상승
다. 고온, 발한
라. 백혈구증가증
① 가나다 ②가다 ③다라 ④라 ⑤가나다라
문제 2. phenothiazine 계열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에게서 갑자기 왼쪽 얼굴 근육 위축이 일어났다 이 때 적절한 간호중재는?
1. 늦기 전에 응급치료를 한다.
2. 곧 나을 것이라고 무시하며 다른 치료에 몰두한다.
3. 일시적인 증상이므로 안심시킨다.
4. 증상을 지적하면 불안이 증가하므로 관심을 두지 않는다.
5. 약물의 부작용임을 알고 주치의에게 알리고 응급치료를 한다.
문제 3. 리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경과 근육세포 속에서 염분 이동을 변화시킨다.
2. 급성 조증, 경조증, 재발되는 양극성 장애에 효과적이다.
3. 신장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 대상자는 면밀히 관찰해야한다.
4. 급성 중증의 초기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항우울제와 병용해서 할 수 있다.
5. 땀이 많이 나거나 염분 섭취가 감소되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해설
1. ⑤
중증의 추체외로증상, 고온, 발한, 빈맥, 혈압변동, 요정체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혈액검사결과에서는 백혈구증가증, 간효소 수치 증가, 근육효소에서 CPK의 증가를 보인다. 궁극적으로 신부전이나 호흡기 부전을 초래하여20~25%의 사망률이 보고되고 있으며,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이므로 즉시 약물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2. ⑤
정신과적 증상이 아닌지 확인한다. 안심시키고 대단히 고통스러울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치료진이 그 원인과 해결책을 알고 있음을 설명해준다 주치의에게 보고하여 항불안, 근 이완효과가 있는 약물을 처방받는다.
3. ④
일반적으로 리튬은 급성우울 에피소드의 초기 치료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항우울제와 같이 사용할수 있다
추천자료
〔A+〕<간호학>신대체요법(CRRT)-투석요법
[간호][가정간호][자가간호][재활간호][정신간호][노인간호][치매간호][간호중재][간호과정]...
정신간호학미술요법
1.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 설명,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질환 중 심혈관계 질환, ...
방통 고위험 모아간호학]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간호사 갖출 능력과 태도,역할, 중환아실 ...
성인 간호학 위암case/위암문헌고찰/위암병태생리/위암간호진단/위암간호중재/진행성위암/gas...
[치료적 간호중재] 낙상예방 간호중재 관련 연구검토, 노인 낙상예방 간호중재
★ 지역사회건강 문제와 간호 - 가족건강상태에 대한 탐색, 가족구조 탐색, 가족발달 탐색, 가...
제8장 노인의 심혈관계 노화 정리 (정상적 노화과정, 심혈관계질환,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간...
분만3기, 분만4시, 태반박리기, 태반만출기, 만출태반의사정, 분만3기간호중재, 분만3기간호...
2017 기초간호과학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의 형태적분류와 그 예를 제시 ...
[비만치료법] 비만치료방법(비만의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행동요법)
[성인건강간호세미나] 우울의 개념분석 (depression) [우울 개념 우울 정의 우울 이론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