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 가치
① 회화를 통해 무의식의 창조적 능력을 증가시키고 감정의 통합에 이르게 함
② 그림에 표현된 내용을 통해 무의식적 갈등을 이해함으로써 치료에 도움을 줌
4) 목적
① 자기 표현, 성숙 및 성취감을 가지게 한다.
② 대상자의 심리평가와 치료에 이용한다.
③ 무의식의 내용을 이해한다.
④ 고민과 불안을 해소한다.
⑤ 마음상태를 정화시킨다.
⑥ 자발성을 회복한다.
2. 계획 및 진행과정
1) 대상
① 모든 연령의 대상자(소아, 성인, 노인)
② 신체장애자 및 정신박약아
③ 입원 및 외래 대상자
④ 개인, 집단, 가족치료
2) 주의점
① 질병의 종류, 상태, 지적능력, 적응능력의 수준 등을 알아야 한다.
② 대상자의 미술에 대한 흥미, 관심의 유무, 미술경험의 유무를 알아야 한다.
③ 대상자 증상의 배후에 흐르는 무의식적 욕구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3) 진행
① 치료목표, 기간, 빈도, 매회의 시간을 정하며 보통 1회 60~90분 정도 매주 1~2회 실시
② 대상자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강요하지 않고 스스로 그림을 그리도록 권유해야 함
③ 경험 없는 대상자에게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얘기를 나누며 이완요법, 낙서 등으로 불안을 감소시켜줌
④ 자발적으로 그림그림에 대해 그림의 의미와 느낌, 생각 등을 묻고 자신의 기분과 상황, 자유연상을 이용하여 해석해보도록 함
⑤ 자아가 약한 대상자에게는 용지에 테두리를 그려 안에 그림을 그리거나 채색하여 공포를 줄이고 과잉행동, 주의산만 등을 통제하도록 함
⑥ 집단을 대상으로 협동하여 완성 후 의견을 교환하는 방법도 이용함
⑦ 가족화나 가족역동 그림을 이용하여 가족구성원 간의 갈등이나 심리적 거리를 파악하여 치료에 이용함
4) 행동 및 작품의 감상 평가
(1) 행동 평가
그림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 가
적극적으로 그리려고 했는가
유도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 활동을 했는가
그리는 중의 태도는 집중되어 있었던 가 다른 구성원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가, 제작 중 중단 했는가
작품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가
(2) 작품의 평가
화면의 구성은 어떠한가(주제, 구도, 공간 등)
그리려고 하는 대상은 무엇인가, 그것이 어떻게 지각되고 있는가
그리는 과정에서 변형되었는가, 변형되었다면 그 성질은 의식적인가, 무의식적인가
즐겨 쓰는 주제나 형태 색채 등이 있는가, 그것에는 의미가 있는가
화면에 투영된 심적 과정은 어떤 것인가 (갈등, 욕구, 상징)
(3) 치료자-대상자 관계
① 제작중이나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에서 대상자의 자발성을 존중하고 수용적 태도
② 제작 중에 기웃거리거나 비평하는 행위는 대상자의 표현을 방해하므로 피해야 한다.
③ 제작 중에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되도록 넌지시 의견을 말하고 같이 생각하는 태도가 바람직하다
④ 작품에 대해서는 관심을 표시하고 인정해 주는 태도가 바람직하다.
⑤ 미술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를 지켜보고 있음을 대상자가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출처: 정신간호학 上 <현문사>
<소아우울증이었던 A군이 미술치료 종결 무렵에 자유화로 그린 그림>
① 회화를 통해 무의식의 창조적 능력을 증가시키고 감정의 통합에 이르게 함
② 그림에 표현된 내용을 통해 무의식적 갈등을 이해함으로써 치료에 도움을 줌
4) 목적
① 자기 표현, 성숙 및 성취감을 가지게 한다.
② 대상자의 심리평가와 치료에 이용한다.
③ 무의식의 내용을 이해한다.
④ 고민과 불안을 해소한다.
⑤ 마음상태를 정화시킨다.
⑥ 자발성을 회복한다.
2. 계획 및 진행과정
1) 대상
① 모든 연령의 대상자(소아, 성인, 노인)
② 신체장애자 및 정신박약아
③ 입원 및 외래 대상자
④ 개인, 집단, 가족치료
2) 주의점
① 질병의 종류, 상태, 지적능력, 적응능력의 수준 등을 알아야 한다.
② 대상자의 미술에 대한 흥미, 관심의 유무, 미술경험의 유무를 알아야 한다.
③ 대상자 증상의 배후에 흐르는 무의식적 욕구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3) 진행
① 치료목표, 기간, 빈도, 매회의 시간을 정하며 보통 1회 60~90분 정도 매주 1~2회 실시
② 대상자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강요하지 않고 스스로 그림을 그리도록 권유해야 함
③ 경험 없는 대상자에게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얘기를 나누며 이완요법, 낙서 등으로 불안을 감소시켜줌
④ 자발적으로 그림그림에 대해 그림의 의미와 느낌, 생각 등을 묻고 자신의 기분과 상황, 자유연상을 이용하여 해석해보도록 함
⑤ 자아가 약한 대상자에게는 용지에 테두리를 그려 안에 그림을 그리거나 채색하여 공포를 줄이고 과잉행동, 주의산만 등을 통제하도록 함
⑥ 집단을 대상으로 협동하여 완성 후 의견을 교환하는 방법도 이용함
⑦ 가족화나 가족역동 그림을 이용하여 가족구성원 간의 갈등이나 심리적 거리를 파악하여 치료에 이용함
4) 행동 및 작품의 감상 평가
(1) 행동 평가
그림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 가
적극적으로 그리려고 했는가
유도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 활동을 했는가
그리는 중의 태도는 집중되어 있었던 가 다른 구성원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가, 제작 중 중단 했는가
작품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가
(2) 작품의 평가
화면의 구성은 어떠한가(주제, 구도, 공간 등)
그리려고 하는 대상은 무엇인가, 그것이 어떻게 지각되고 있는가
그리는 과정에서 변형되었는가, 변형되었다면 그 성질은 의식적인가, 무의식적인가
즐겨 쓰는 주제나 형태 색채 등이 있는가, 그것에는 의미가 있는가
화면에 투영된 심적 과정은 어떤 것인가 (갈등, 욕구, 상징)
(3) 치료자-대상자 관계
① 제작중이나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에서 대상자의 자발성을 존중하고 수용적 태도
② 제작 중에 기웃거리거나 비평하는 행위는 대상자의 표현을 방해하므로 피해야 한다.
③ 제작 중에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되도록 넌지시 의견을 말하고 같이 생각하는 태도가 바람직하다
④ 작품에 대해서는 관심을 표시하고 인정해 주는 태도가 바람직하다.
⑤ 미술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를 지켜보고 있음을 대상자가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출처: 정신간호학 上 <현문사>
<소아우울증이었던 A군이 미술치료 종결 무렵에 자유화로 그린 그림>
추천자료
[시설복지사업][시설보호아동][시설아동][아동복지][아동복지시설]시설복지사업의 개념과 시...
[건망증에 좋은 민간요법][건망증 개념][건망증과 치매 차이][건망증을 줄이는 방법][기억력 ...
[태교][음식태교][미술태교][운동태교][음악태교][뇌호흡태교]태교의 과학성, 태교의 개념, ...
삶(인생)의 개념, 삶(인생)과 교육, 삶(인생)과 길, 삶(인생)과 문학, 삶(인생)과 미술, 삶(...
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의 개념과 유형, 치료특수교육(치료교육)의 배경과 변천사, 치료특수...
학습장애아동의 개념, 학습장애아동의 원인, 학습장애아동의 유형, 학습장애아동의 교육배경,...
장애인통합교육의 개념, 장애인통합교육의 목표, 장애인통합교육의 성공요건과 교육전략, 장...
간경변증(간경변, 간경화)의 개념과 원인, 간경변증(간경변, 간경화) 병태생리, 간경변증(간...
포스트모더니즘 개념과 특징, 포스트모더니즘의 갈래,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포스트모...
[초중등 연계교육]초중등 연계교육의 개념, 초중등 연계교육의 특성, 초중등 연계교육의 영어...
[정서교육][정서교육과 협동학습][정서교육과 미술교육][정서교육 효과][정서교육 방법]정서...
신종 인플루엔자 개념, 증상, 진단, 검사, 치료, 경과, 합병증, 예방방법, 식이요법, 면역력...
사회복지 현장에서 이용될 수 있는 상담 방법 중 매개체(미술, 음악, 놀이, 승마...)를 이용...
[놀이치료][분석적 미술치료][관계놀이치료]놀이치료 개념, 놀이치료 단계, 놀이치료와 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