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교][음식태교][미술태교][운동태교][음악태교][뇌호흡태교]태교의 과학성, 태교의 개념, 태교의 의미와 음식 태교, 미술 태교, 보는 태교, 운동 태교, 음악 태교, 뇌호흡 태교, 태교를 위한 임신기간별 유의사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교][음식태교][미술태교][운동태교][음악태교][뇌호흡태교]태교의 과학성, 태교의 개념, 태교의 의미와 음식 태교, 미술 태교, 보는 태교, 운동 태교, 음악 태교, 뇌호흡 태교, 태교를 위한 임신기간별 유의사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태교의 과학성

Ⅱ. 태교의 개념

Ⅲ. 태교의 의미

Ⅳ. 음식 태교
1. 임신 초기
2. 임신 중기
3. 임신 후기

Ⅴ. 미술 태교

Ⅵ. 보는 태교
1. 예쁜 사람의 사진을 보면 예쁜 아기를 낳는다
2. 명화나 아름다운 그림책은 태아에게 안정을 준다

Ⅶ. 운동 태교
1. 손의 부기를 빼는 체조방법
2. 하반신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체조방법

Ⅷ. 음악 태교

Ⅸ. 뇌호흡 태교
1. 뇌는 건강의 기본이 된다
2. 태아의 정서적 안정에 좋다

Ⅹ. 태교를 위한 임신기간별 유의 사항
1. 임신 1~2개월
2. 임신 3개월
3. 임신 4개월
4. 임신 5개월
5. 임신 6개월
6. 임신 7개월
7. 임신 8개월
8. 임신 9개월
9. 임신 10개월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나우
○ 차이코프스키 : 호두까기 인형,백조의 호수,안단테 칸타빌레
○ 슈베르트: 세레나데,아베마리아,자장가 리스트: 사랑의 꿈
○ 드보르작 : 유모레스크
진통시, 부드러운 리듬으로 임산부를 안정, 호흡조절을 도모한다.
○ 베토벤 - 월광 제2,3악장 바하 - 종교음악
불안시, 대범한 선율, 안정된 리듬의 음악이 도움이 된다.
○ 베토벤 - 전원 교항곡 베르디의 가곡
○ 모짜르트의 소나타
○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2번
○ 팔로 - 스페인 교향곡 비제 - 카르멘
혈압 상승시, 부드럽고 아름다운 분위기의 음악이 좋다.
○ 차이코프스키 - 백조의 호수
○ 베토벤 - 전원 3악장
○ 드뷔시 - 바다, 달빛
위장장애시, 일정한 리듬을 가진 장조의 느린템포의 곡이 도움이 된다.
○ 하이든 - 종달새
○ 드보르작 - 아메리카
○ 요한 스트라우스 -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의기소침, 우울시, 잔잔한 수면, 호수의 분위기로 마음의 평안을 유도한다.
○ 드뷔시 - 물에 비친 그림자
○ 라벨 - 물의 희롱
○ 헨델 - 수상음악
○ 스메타나 - 몰다우
집중력에 도움이 되는 음악이다.
○ 하이든 - 현악 4중주곡 17번
○ 모짜르트 - 바이얼린 소나타 제 22번
- 박순경, 임신에서 출산까지 -
이외에도 평소에 즐겨 듣는 음악으로 활력과 조화로움 평안감을 느낄수 있다면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은 이완을 도와줄 수 있고 진통시 지루함을 덜어 줄 수 있으므로 출산시를 대비하여 Tape 1개정도는 준비하는 것도 좋다.
이 세상에서 부모가 되는 사람은 인간으로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권리가 있는 반면에 그의 자식을 훌륭하게 키워야 하는 의무가 있다. 또한 이 의무를 수행하지 않거나 게을리하여 발생하는 결과까지도 책임져야 하는 것을 모든 부모는 알아야 한다.
Ⅸ. 뇌호흡 태교
1. 뇌는 건강의 기본이 된다
뇌는 우리의 몸에서 수분이 가장 많은 곳으로, 40%의 산소를 소비하므로, 건강한 뇌를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 공급이 필요한 곳에 의도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것 또한 뇌 호흡 중 하나이다. 즉 생명 에너지인 기를 이용해서 의식적으로 호흡해 궁극적으로 굳어졌던 뇌를 운동시킴으로써 뇌를 건강하게 하고 뇌의 기능을 활성화하게 되는데, 이를 돕는 것이 명상, 단전호흡, 뇌 체조 등으로 기운의 흐름을 알고 다스리기를 훈련하다 보면 기를 느낄 수 있게 되고, 몸과 기운을 통해 뇌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뇌호흡은 우선 뇌를 느끼고 사랑하는 것에서 시작하며, 명상으로 편안한 마음을 갖고 단전호흡으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며, 뇌체조로 무통분만할 수 있는 몸을 만드는 것이 주 내용을 이룬다.
2. 태아의 정서적 안정에 좋다
엄마의 뇌가 운동을 하면 아기의 뇌도 똑같이 운동을 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태아의 정서적 안정, 그리고 잠재능력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어머니들에게 뇌호흡은 태교의 필수라고 할 수 있다.
Ⅹ. 태교를 위한 임신기간별 유의 사항
1. 임신 1~2개월
임신 여부가 아직 확실치는 않으나 월경이 1주일 정도 늦어지면 진찰을 받아 임신을 확인하고 몸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으므로 X-선이나 약물복용을 금하며 특히 담배나 술을 마시는 임신부는 당장 중단해야 한다.
2. 임신 3개월
심한 운동을 하거나 온도차이가 심하면 자궁이 자극될 수 있고 이 시기가 유산의 위험이 가장 높은 시기이므로 유의한다. 또한 입덧이 있더라도 함부로 약을 먹지 않으며 심할 경우 꼭 의료인과 상담한다.
3. 임신 4개월
태아에게는 불쾌함, 불안, 화 등을 느끼는 감정이 태아에게 만들어지기 시작하므로 아기의 감정이 엄마의 감정과 같이 반응한다는 마음으로 지낸다. 입덧이 가라앉는 시기이므로 영양가가 높으면서 균형잡힌 식사를 하도록 주의한다.
4. 임신 5개월
편안해 지는 시기로 가능한 스트레스를 피하고 매일 느긋한 기분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태아에게 부드럽고 다정하게 말을 걸거나 클래식이나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며 무리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외출을 하거나 여행을 간다.
다시 말하면 임신전반기에는 뱃속 아기에게 보고 듣는 항상 주변의 상황에 대해 얘기를 해주며 아빠의 목소리도 자주 들려준다. 조용하고 아름다운 음악감상을 생활화하며 즐거운 노래를 아기에게 불러준다. 또 색채가 풍부하고 아름다운 내용의 동화책을 읽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5. 임신 6개월
몸의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지므로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 대부분 식욕이 좋으므로 너무 체중이 증가하지 않도록 음식물 섭취에 주의한다.
6. 임신 7개월
7개월 된 태아는 바깥의 소리를 구분하고 소리의 좋고 싫음도 있다. 그러므로 시끄러운 소음이나 부부싸움 등은 피한다. 적절한 운동도 필요하다.
7. 임신 8개월
아기가 기쁨이나 애정의 정서를 느낄 수 있다. 어머니의 뇌를 통해 명암을 느낄 수 있으므로 밤늦게 자거나 아침 늦게까지 자는 것은 삼가고 정상적인 생활리듬을 지키도록 노력한다. 태아의 기억능력은 임신 6개월에서 시작하여 8개월이면 완성되므로 글자카드로 단어, 말, 글자를 학습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숫자 카드로 숫자의 생긴 모양이라던가 실생활에서 보이는 물건 등을 보면서 태아와 함께 생각하고 말로 표현한다. 임신 전반기와 마찬가지로 엄마가 느끼는 다양한 감각을 이야기 해주고 아빠의 목소리도 자주 들여준다.
8. 임신 9개월
9개월 된 태아는 눈을 뜨고 있을 때와 자고 있을 때의 구별이 명확해진다. 어머니가 놀라거나 흥분하면 태아의 수면도 방해를 받으므로 가능한 한 편안한 마음으로 지낸다. 에너지 소비가 많은 시기이므로 충분히 휴식을 취한다.
9. 임신 10개월
아기가 탄생되므로 출산준비를 꼼꼼히 챙기고, 가능한한 마음을 편안하게 하면서 아기를 기다린다.
참고문헌
ⅰ. 글힘 편집부(1999), 임신 출산 가이드
ⅱ. 김로향(1999), 마음으로 만나는 태교, 프리미엄북스
ⅲ. 임동근(1992), 신비로운 출산태교, 고려원
ⅳ. 임동근(1991), 함께 읽는 신혼태교, 고려원
ⅴ. 이숙인(1991), 태교신기, 성찰사
ⅵ. 임신&태교, 김영사
ⅶ. 한선희, 태교와 그 수정방법, 동천사

키워드

태교,   임신,   태아,   산모,   뇌호흡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7.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