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7. Result
실험A. 베르의 법칙 곡선
실험B.알코올의 정량
8. Calculation
9. Discussion
10. Reference
실험A. 베르의 법칙 곡선
실험B.알코올의 정량
8. Calculation
9. Discussion
10. Reference
본문내용
다. 기체나 용액에 빛을 쪼인 뒤 통과해 나온 빛의 세기는 흡수층의 두께와 몰농도의 영향을 받고, 기체나 용액이 빛을 흡수하는 정도는 흡수층의 분자수에 비례하고, 희석도나 압력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입사광(入射光)의 세기를 I0, 물질을 투과한 빛의 세기를 I, 흡수층의 두께를 d, 농도를 ρ라 하면, I=I0 exp (-σρd) 로 표시된다. ρ를 몰농도로 나타낼 때는 σ는 흡수계수(吸收係數)라 하고, ρ를 수밀도(數密度:1cm3당의 분자수)로 나타낼 때는 σ는 흡수단면적이라 한다. 한편, 베르의 법칙은 기체나 용액에서의 흡수의 세기는 흡수층의 빛의 진로 내에 있는 분자수에 비례하고, 희석도(稀釋度)나 압력과는 무관하다는 것인데, 농도나 압력이 너무 커지면 베르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입사광(入射光)의 세기를 I0, 물질을 투과한 빛의 세기를 I, 흡수층의 두께를 d, 농도를 ρ라 하면, I=I0 exp (-σρd) 로 표시된다. ρ를 몰농도로 나타낼 때는 σ는 흡수계수(吸收係數)라 하고, ρ를 수밀도(數密度:1cm3당의 분자수)로 나타낼 때는 σ는 흡수단면적이라 한다. 한편, 베르의 법칙은 기체나 용액에서의 흡수의 세기는 흡수층의 빛의 진로 내에 있는 분자수에 비례하고, 희석도(稀釋度)나 압력과는 무관하다는 것인데, 농도나 압력이 너무 커지면 베르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