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7. Result
8. Calculation
9. Discussion
10.Reference
8. Calculation
9. Discussion
10.Reference
본문내용
력 하에서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같은 부피 속에는 같은 수의 분자가 들어 있다'는 아보가드로의 가설을 발표하였다. 모든 기체의 1 mol은 똑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즉, 기체 분자들은 화학적, 물리적 특성과는 무관하게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시료가 차지하는 부피는 기체의 mol수(분자 수)에 비례한다. 분자의 mol수(분자 수)를 2배하면 부피도 2배가 된다는 것이다.
보일, 샤를, 게이뤼삭 및 아보가드로의 발견들을 종합하여 기체의 압력(P), 부피(V), 온도(T) 및 mol수(n) 사이에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PV= nRT
여기서 R은 기체상수로 8.31J/mol·K값을 가지며 모든 기체에 대하여 같은 값을 갖는다. 이 식에서 압력과 온도가 일정하면 부피는 분자의 mol수에 비례한다(V ∝ n)는 아보가드로의 법칙에 따른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기체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 아보가드로를 기려 어떤 물체 1mol이 가진 입자들의 수를 아보가드로수라고 부르며 그 수는 6.022×1023개/mol 이다.
참조 : 표준 일반화학실험 제 6개정팡 대한화학회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보일, 샤를, 게이뤼삭 및 아보가드로의 발견들을 종합하여 기체의 압력(P), 부피(V), 온도(T) 및 mol수(n) 사이에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PV= nRT
여기서 R은 기체상수로 8.31J/mol·K값을 가지며 모든 기체에 대하여 같은 값을 갖는다. 이 식에서 압력과 온도가 일정하면 부피는 분자의 mol수에 비례한다(V ∝ n)는 아보가드로의 법칙에 따른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기체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 아보가드로를 기려 어떤 물체 1mol이 가진 입자들의 수를 아보가드로수라고 부르며 그 수는 6.022×1023개/mol 이다.
참조 : 표준 일반화학실험 제 6개정팡 대한화학회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