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경영정보시스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말 그대로 임원급 이상의 경영진이 정보시스템 부문을 직접 지휘, 총괄하면서 정보시스템 전략을 경영전략과 조화시키는 중역을 말한다. 이번 조사 결과 국내 중견기업들의 실질적인 CIO 도입은 12.8%에 불과, 중견기업체 10개 가운데 단 2군데만이 CIO를 보유아직도 CIO가 특정 대기업체에나 필요한 직제로 여기는 분위기다.
CIO의 전산에 대한 이해도는 평균 3.41로서, CIO 또는 CIO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전산담당 매니저의 전산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같은 결과는 국내 기업들이 CIO란 직제를 공식적으로 도입하고 있지만 전산에 문외한인 비전산 출신 임원을 임명한다든지 또는 다른 부문 중역역할을 겸직케 하는 등 전문성이 결여된 CIO를 선임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같은 전문성이 결여된 CIO들이 회사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체계화하는 경영전략에 대한 이해도는 어느 수준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문성이 결여된 만큼 경영전략에 대한 이해수준도 크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귀사CIO는 정보기술을 이용한 회사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체계화하는데 뛰어난가 라는 질문에 IS매니저들이 매긴 점수는 3.08로 극히 불만족스럽다는 입장이다. 이 항목은 앞서 CIO의 전산에 대한 이해도와 동일한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전산에 대한 이해가 낮은 CIO는 정보기술을 이용한 경영전략 수립에도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셈이다.
최고경영진을 포함해 경영층의 전산부서 또는 정보화에 대한 지원은 그저그런 수준 이라는 반응이 많았다. 이 질문은 앞서 최고경영진의 정보화의 지 부문과 연결해 생각할 수 있는데최고경영자의 정보화 의지는 높지만 이같은 의지가 실제로 전산부서 또는 정보화 추진에 실질적인 지원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질문과 무관하게 그렇다면 국내기업들은 과연 어느정도 중장기 계획에 맞추어 정보화 전략과 정책을 수립하는 것일까. 전반적으로 이 부문은 점수가 높았다. 국내기업들이 정보화 전략을 여전히 경영전략과 연계시키지는 못하더라도 목표를 세워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정보화 전략의 목표 가운데 하나는 사내 업무 프로세스나 플로어를 정보화 기업에 맞게 개선하는 것. '정보화 전략과 사내 업무 프로세스 개선과 의 관계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 평균 6.75를 기록, 비교적 사내 프로세스 개선에도 역점을 두고 정보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프로세스가 복잡한 전기·전자제조업종(6.94), 금속 및 기타제조(7.10) 등 제조업종에서 특히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즉, 제조업체의 신시스템 도입의 성패는 프로세스 개선에 달려있으며, 비교적 국내업체들이 방향을 제대로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의 적용 수준은 평균5.79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현재 정보사회에서 경영정보시스템이 얼마만큼 나타내는지를 나타냈다. 이와같이 현재에는 CIO가 정말 중요하게 생각이 된다. CEO아래 DIO가 있는만큼 지금은 중요한 경영시스템이 되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4.05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