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또래상담의 정의와 중요성
Ⅱ. 또래상담의 현황
Ⅲ. 또래상담의 사이버상담 사례
1. 사이버 상담을 위한 기반 조성
1) 아동이해
2) 사이버 상담 환경조성
2. 사이버 또래상담자 훈련
1) 사이버 또래상담자 선발
2) 사이버 또래상담자 훈련방법 구안 및 훈련
3. 사이버 또래상담 활동하기
1) ‘또래상담부’ 홈페이지 게시판 상담
2) ‘사랑의 만남’ 시간 가지기(오프라인 참 만남)
Ⅳ. 또래상담의 프로그램 구성
1. 1단계 좋은 친구되기
2. 2단계 대화하는 친구되기
3. 3단계
Ⅴ. 또래상담의 자세와 프로그램
1. 또래상담 대화의 기본자세
2. 어기역차 전략
1) 어
2) 기
3) 역
4) 차
참고문헌
Ⅱ. 또래상담의 현황
Ⅲ. 또래상담의 사이버상담 사례
1. 사이버 상담을 위한 기반 조성
1) 아동이해
2) 사이버 상담 환경조성
2. 사이버 또래상담자 훈련
1) 사이버 또래상담자 선발
2) 사이버 또래상담자 훈련방법 구안 및 훈련
3. 사이버 또래상담 활동하기
1) ‘또래상담부’ 홈페이지 게시판 상담
2) ‘사랑의 만남’ 시간 가지기(오프라인 참 만남)
Ⅳ. 또래상담의 프로그램 구성
1. 1단계 좋은 친구되기
2. 2단계 대화하는 친구되기
3. 3단계
Ⅴ. 또래상담의 자세와 프로그램
1. 또래상담 대화의 기본자세
2. 어기역차 전략
1) 어
2) 기
3) 역
4) 차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 도움을 주고,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전략습득
마무리
<1>
초등학교(고학년)
<11회기>
자기 소개와 집단에 대한 신뢰감 형성
프로그램 안내
1. 나의 좋은 친구
2. 친구관계 살펴보기
3. 친구 다시 보기
4. 우리는 모두 소중한 친구
<4>
1. 대화는 주고 받는 것
2. 대화의 기본자세
3. 친구마음 이해하기
<3>
1. 친구사이 어려움,
그래도 우린 친구
2. 도움주는 우리 사이,
우린 친구
<2>
배운 내용을 정리하며 느낀 점과 실행할 점 나누기
프로그램의 내용과 진행에 대해 평가하기
중학교
<11회기>
1. 친구 의미
2. 나의 친구 관계 살펴보기
3. 친구에게 다가가기
<3>
1. 또래상담 대화의 기본자세
2. 대화 잘 이끌어나가기
3. 잠하둘셋 기법
4.대화종합연습
<4>
1. 도움을 주는 대화 배우기
2. 도움이 되는 활동들
<3>
고등학교
<11회기>
1. 우리가 생각하는 친구
2. 나의 친구관계는
3. 친구에게 먼저 한걸음을
<3>
1. 대화를 잘하려면
2. 공감적 이해
3. 내 마음 전달하기
<3>
1 고민하는 친구에게(1)
2. 고민하는 친구에게(2)
3. 친구들에게 도움을
<3>
이 프로그램은 이 웍샵을 통해서 소개하기에는 무리다. 한국청소년상담원 혹은 전국에 있는 각 지역 청소년상담실에 문의하면, 훈련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청소년 또래상담자들이 친구에게 먼저 다가가서 이야기를 이끌어내는데 활용될 “또래상담 대화의 기본자세”와 “어기역차 전략”을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1. 또래상담 대화의 기본자세
왜 사람에게는 귀가 두 개 입이 하나 있을까?
나의 주장만을 펼 것이 아니라 먼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귀담아 들으라는 뜻이 숨어 있다고 생각해 본다. 자! 여러분들은 친구가 어떻게 해주었을 때 내 이야기를 친구가 잘 들어주고 있다고 느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나누어 보자. 친구에게 내가 정말 귀담아 친구의 말을 듣고 있다는 걸 나타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다음의 방법대로 한번 연습해 보자.
<또래상담자 대화의 자세>
- 가까이 말하는 사람을 향한다.
- 이야기를 들을 때 지긋이 시선을 맞춘다.
- 이야기 듣는 도중에 ‘음’, ‘맞어’, ‘그래’ 등 짧게 동의하는 말을 해주고 고개를 끄덕인다.
2. 어기역차 전략
1) 어
어떤 이야기인지 잘 들어준다.
1단계. 네가 그렇게 말하는 것을 들어보니 뭔가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것 같다.
2단계. 좀 더 네 생각을 이야기 해 주겠니?(친구의 말을 좀더 들어 준다.)
2) 기
기분을 이해해 준다.
3단계. 그래서 네가 그렇게 화가 났구나...(친구의 기분을 알아준다.)
3) 역
역지사지(공감)해 준다.
4단계. 내가 네 입장에서 생각해보니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애. 정말 힘들었겠다...(친구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이해한다.)
4) 차
생각의 차이가 있음을 인정한다.
5단계. 그래, 그렇게 생각하는 구나. 그런데 나와는 생각이 좀 다른 것 같다.
6단계. 나는 ...게 생각하거든. 그런데 너 말이 맞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
(친구와 의견이 다를 경우, 끝까지 내 의견을 고집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김계현 -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2000
김순영 - 청소년상담실의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2004
대한가족계획협회 청소년상담실 활동사례 제12집
박경애·이재규·권해수 - 대인관계향상프로그램,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8
이명우 외 - 지역청소년상담실 활성화 연구-청소년상담실 활성화 영역과 정책적 방향, 청소년상담연구 107, 한국청소년상담원, 2004
한국청소년상담원 - 학교상담실태 및 모형 개발연구, 1999
마무리
<1>
초등학교(고학년)
<11회기>
자기 소개와 집단에 대한 신뢰감 형성
프로그램 안내
1. 나의 좋은 친구
2. 친구관계 살펴보기
3. 친구 다시 보기
4. 우리는 모두 소중한 친구
<4>
1. 대화는 주고 받는 것
2. 대화의 기본자세
3. 친구마음 이해하기
<3>
1. 친구사이 어려움,
그래도 우린 친구
2. 도움주는 우리 사이,
우린 친구
<2>
배운 내용을 정리하며 느낀 점과 실행할 점 나누기
프로그램의 내용과 진행에 대해 평가하기
중학교
<11회기>
1. 친구 의미
2. 나의 친구 관계 살펴보기
3. 친구에게 다가가기
<3>
1. 또래상담 대화의 기본자세
2. 대화 잘 이끌어나가기
3. 잠하둘셋 기법
4.대화종합연습
<4>
1. 도움을 주는 대화 배우기
2. 도움이 되는 활동들
<3>
고등학교
<11회기>
1. 우리가 생각하는 친구
2. 나의 친구관계는
3. 친구에게 먼저 한걸음을
<3>
1. 대화를 잘하려면
2. 공감적 이해
3. 내 마음 전달하기
<3>
1 고민하는 친구에게(1)
2. 고민하는 친구에게(2)
3. 친구들에게 도움을
<3>
이 프로그램은 이 웍샵을 통해서 소개하기에는 무리다. 한국청소년상담원 혹은 전국에 있는 각 지역 청소년상담실에 문의하면, 훈련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청소년 또래상담자들이 친구에게 먼저 다가가서 이야기를 이끌어내는데 활용될 “또래상담 대화의 기본자세”와 “어기역차 전략”을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1. 또래상담 대화의 기본자세
왜 사람에게는 귀가 두 개 입이 하나 있을까?
나의 주장만을 펼 것이 아니라 먼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귀담아 들으라는 뜻이 숨어 있다고 생각해 본다. 자! 여러분들은 친구가 어떻게 해주었을 때 내 이야기를 친구가 잘 들어주고 있다고 느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나누어 보자. 친구에게 내가 정말 귀담아 친구의 말을 듣고 있다는 걸 나타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다음의 방법대로 한번 연습해 보자.
<또래상담자 대화의 자세>
- 가까이 말하는 사람을 향한다.
- 이야기를 들을 때 지긋이 시선을 맞춘다.
- 이야기 듣는 도중에 ‘음’, ‘맞어’, ‘그래’ 등 짧게 동의하는 말을 해주고 고개를 끄덕인다.
2. 어기역차 전략
1) 어
어떤 이야기인지 잘 들어준다.
1단계. 네가 그렇게 말하는 것을 들어보니 뭔가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것 같다.
2단계. 좀 더 네 생각을 이야기 해 주겠니?(친구의 말을 좀더 들어 준다.)
2) 기
기분을 이해해 준다.
3단계. 그래서 네가 그렇게 화가 났구나...(친구의 기분을 알아준다.)
3) 역
역지사지(공감)해 준다.
4단계. 내가 네 입장에서 생각해보니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애. 정말 힘들었겠다...(친구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이해한다.)
4) 차
생각의 차이가 있음을 인정한다.
5단계. 그래, 그렇게 생각하는 구나. 그런데 나와는 생각이 좀 다른 것 같다.
6단계. 나는 ...게 생각하거든. 그런데 너 말이 맞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
(친구와 의견이 다를 경우, 끝까지 내 의견을 고집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김계현 -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2000
김순영 - 청소년상담실의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2004
대한가족계획협회 청소년상담실 활동사례 제12집
박경애·이재규·권해수 - 대인관계향상프로그램,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8
이명우 외 - 지역청소년상담실 활성화 연구-청소년상담실 활성화 영역과 정책적 방향, 청소년상담연구 107, 한국청소년상담원, 2004
한국청소년상담원 - 학교상담실태 및 모형 개발연구,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