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인접근방법
Ⅱ. 집단접근방법
1. 집단상담의 개념 및 목표
2. 집단상담의 치료적, 역동적 요인
3. 청소년 집단상담의 원칙
4. 집단발달단계와 과업
5. 청소년 대상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1) 분노 조절 및 공격성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2)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
3) 정서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4) 성폭력피해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5) 성폭력가해자 치료 프로그램
Ⅲ. 가족치료 접근방법
1. 청소년과 가족치료의 선택기준
1) 가족치료가 필요한 기준
2) 가족치료가 필요치 않은 기준
2. 청소년과 가족치료의 개입전략
3. 가족치료의 주요 기법
Ⅳ. 또래상담 접근방법
1. 또래상담의 필요성
2) 또래상담의 정의
3) 또래상담의 적용과 효과
*참고문헌
Ⅱ. 집단접근방법
1. 집단상담의 개념 및 목표
2. 집단상담의 치료적, 역동적 요인
3. 청소년 집단상담의 원칙
4. 집단발달단계와 과업
5. 청소년 대상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1) 분노 조절 및 공격성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2)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
3) 정서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4) 성폭력피해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5) 성폭력가해자 치료 프로그램
Ⅲ. 가족치료 접근방법
1. 청소년과 가족치료의 선택기준
1) 가족치료가 필요한 기준
2) 가족치료가 필요치 않은 기준
2. 청소년과 가족치료의 개입전략
3. 가족치료의 주요 기법
Ⅳ. 또래상담 접근방법
1. 또래상담의 필요성
2) 또래상담의 정의
3) 또래상담의 적용과 효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가족',
'분리된 가족', '개방적 가족', '폐쇄된 가족', 가족항상성, 가족의 적응유연성(family resilience), 혹은 가족탄력성 등 다양한 개년들을 숙지하여야 한다. 또한 가계도의 활용을 통한 다세대에 걸친 가족문제의 파악 및 해결과 함께 가족의 기능이나 유연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척도(예: FACES III)를 활용한 연구조사의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4) 또래상담 접근방법
(1) 또래상담의 필요성
청소년복지에서 또래상담은 많이 논의되지 않았델 영역이다. 하지만 청소년의 발달특성
을 고려할 때 또래상담은 청소년복지와 연관해서 많은 의미를 지닌다. 청소년복지에 있어
또래상담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1)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문제나 고민거리를 가장 많이 상의하는 대상은 교사나 전문상담
가보다는 또래친구이다.(2)또래상담은 상담을 제공하거나 받는 청소년들 모두에게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다. (3) 또래상담은 청소년들이 서로를 돕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고
전문가의 도움보다 더욱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구본용 외, 1995; 김광은, 1992; Morey & Miller, 1993). 이외에도 또래상담은 또래들이 준전문가로서 활동하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전문가에게 느낄 수 있는 상담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도움을 받는 청소년이 또래의 조언이나 상담에 보다 개방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또래상담을 통해 도움을 제공하는 청소년은 자기개발 및 성장을 위한 기회를 가질 수 있다.
(2) 또래상담의 정의
교육학에서는 오래 전부터 또래상담(peer counseling)을 통해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들
의 학교적응을 돕고 학업기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문제나 고민을 해결하여
왔다. 또래상담은 대체로 집단상담 가운데 rap groups와 같이 잡담이나 수다를 통해 변화
를 모색하는 방법을 많이 활용하였지만, 근래에 와서는 보다 전문적인 훈련과정을 거친 또
래들이 준전문가적 활동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래상담과 관련된 용어로는 또래조력자(peer helper) 또래대사(peer ambassador) 또래
교사(peer tutor) 또래조정자(peer mediator) 등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다(Carr, 1993; 김진희 외, 1999에서 제인용). 일반적으로 또래상담은 "비전문가들이 전문가들을 도와 연령이 비슷한 또래를 돕는 조력적인 활동"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특히 중 고등학교에서는 상담 전문가가 아닌 학생들이 일정한 훈련을 거쳐 다른 학생의 문제해결을 돕는 준상담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Gray & Tindall 1978; 홍경자김선남, 1986; 김진희 외, 1999에서 재인용).
이에 비해 장혁표(1986)는 전문상담자에게 집단상담을 받아"긍정적인 자아개념, 효과적인 대인관계 기법, 명료화된 가치관,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법을 배운 집단성원 각자가 이러한 자원들을 다시 그들의 동료들에게 가르치는 집단상담"로 정의를 내리고 있어 또래상담이 집단상담의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또래상담은 반드시 집단상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안상담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김진희 등(1999)은 또래상담을 "비슷한 연령과 유사한 생활경험 및 가치관 등을 지닌 청소년들 가운데 일정한 훈련을 받은 후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주변에 있는 정상적인 다른 또래들이 발달처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의 해결에 조력하여, 이들이 성장발달할 수 있도록 생활의 제반 영역에서 지지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행위"로 정의하였고, "또래상담자를 또래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책임 있는 청소년들"로 정의하였다.
(3) 또래상담의 적용과 효과
또래상담은 아동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에 걸쳐 적용되어 그 효과성을 입
증하고 있다. 청소년의 또래상담은 청소년의 다양한 문제의 예방 및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청소년 또래상담은 학교에서의 학교적응 및 학업성적 향상을 위해 활용되
기도 하며(이상희 외, 2000), 갈등해결 및 또래중재 프로그램에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제공
하며(Smith et al., 2002), 대처기술 및 사회지지체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Curtis &
Bartholomew, 2000), 비행 및 공격성 감소를 위한 개입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Tarolla
et al., 2002), 흡연 및 금연 프로그램에서도 효과성을 입증하고 있다(Malchodi et al. 2003).
나아가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성교육 프로그램 및 성병과 에이즈 예방 프로그램,
그리고 약물남용 예방 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되어 그 효과성을 입증하고 있다(Sheldon, 2001). 또한 청소년의 자살예방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Lewis & Lewis, 1996), 그리고 학습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방법(Prater et al., 1999), 가족의 죽음이나 이혼을 경험하는 청소년들(Sprinthall을 Hall, 1992; Quarmby, 1993)에게 적용이 가능하며,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또래상담은 다양한 문제를 가진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그 효괴성도 입증되고 있어 청소년복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특히 청소년들이 전문가의 도움을 거부하거나 강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을 때, 비슷한
또래에게서 정확한 정보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그리고 부족한 전문인력을 보충할 수 있다
는 점에서 또래상담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참고문헌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9 아동청소년백서’, 보건복지가족부
-김진화 외(2004). 청소년문제행동론, 학지사
-남미애, 홍봉선(2008). ‘가출청소년 및 청소년쉼터 실태조사’
-배문조, 전귀연(2002). ‘청소년의 가출충동과 관련된 특성 연구’
-문신용, 장지원, 함종석(2002). ‘바람직한 청소년 행정체계 개선방안’
-보건복지가족부(2008). ‘청소년 유해환경 접촉 종합 실태조사’
'분리된 가족', '개방적 가족', '폐쇄된 가족', 가족항상성, 가족의 적응유연성(family resilience), 혹은 가족탄력성 등 다양한 개년들을 숙지하여야 한다. 또한 가계도의 활용을 통한 다세대에 걸친 가족문제의 파악 및 해결과 함께 가족의 기능이나 유연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척도(예: FACES III)를 활용한 연구조사의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4) 또래상담 접근방법
(1) 또래상담의 필요성
청소년복지에서 또래상담은 많이 논의되지 않았델 영역이다. 하지만 청소년의 발달특성
을 고려할 때 또래상담은 청소년복지와 연관해서 많은 의미를 지닌다. 청소년복지에 있어
또래상담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1)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문제나 고민거리를 가장 많이 상의하는 대상은 교사나 전문상담
가보다는 또래친구이다.(2)또래상담은 상담을 제공하거나 받는 청소년들 모두에게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다. (3) 또래상담은 청소년들이 서로를 돕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고
전문가의 도움보다 더욱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구본용 외, 1995; 김광은, 1992; Morey & Miller, 1993). 이외에도 또래상담은 또래들이 준전문가로서 활동하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전문가에게 느낄 수 있는 상담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도움을 받는 청소년이 또래의 조언이나 상담에 보다 개방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또래상담을 통해 도움을 제공하는 청소년은 자기개발 및 성장을 위한 기회를 가질 수 있다.
(2) 또래상담의 정의
교육학에서는 오래 전부터 또래상담(peer counseling)을 통해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들
의 학교적응을 돕고 학업기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문제나 고민을 해결하여
왔다. 또래상담은 대체로 집단상담 가운데 rap groups와 같이 잡담이나 수다를 통해 변화
를 모색하는 방법을 많이 활용하였지만, 근래에 와서는 보다 전문적인 훈련과정을 거친 또
래들이 준전문가적 활동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래상담과 관련된 용어로는 또래조력자(peer helper) 또래대사(peer ambassador) 또래
교사(peer tutor) 또래조정자(peer mediator) 등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다(Carr, 1993; 김진희 외, 1999에서 제인용). 일반적으로 또래상담은 "비전문가들이 전문가들을 도와 연령이 비슷한 또래를 돕는 조력적인 활동"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특히 중 고등학교에서는 상담 전문가가 아닌 학생들이 일정한 훈련을 거쳐 다른 학생의 문제해결을 돕는 준상담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Gray & Tindall 1978; 홍경자김선남, 1986; 김진희 외, 1999에서 재인용).
이에 비해 장혁표(1986)는 전문상담자에게 집단상담을 받아"긍정적인 자아개념, 효과적인 대인관계 기법, 명료화된 가치관,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법을 배운 집단성원 각자가 이러한 자원들을 다시 그들의 동료들에게 가르치는 집단상담"로 정의를 내리고 있어 또래상담이 집단상담의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또래상담은 반드시 집단상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안상담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김진희 등(1999)은 또래상담을 "비슷한 연령과 유사한 생활경험 및 가치관 등을 지닌 청소년들 가운데 일정한 훈련을 받은 후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주변에 있는 정상적인 다른 또래들이 발달처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의 해결에 조력하여, 이들이 성장발달할 수 있도록 생활의 제반 영역에서 지지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행위"로 정의하였고, "또래상담자를 또래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책임 있는 청소년들"로 정의하였다.
(3) 또래상담의 적용과 효과
또래상담은 아동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에 걸쳐 적용되어 그 효과성을 입
증하고 있다. 청소년의 또래상담은 청소년의 다양한 문제의 예방 및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청소년 또래상담은 학교에서의 학교적응 및 학업성적 향상을 위해 활용되
기도 하며(이상희 외, 2000), 갈등해결 및 또래중재 프로그램에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제공
하며(Smith et al., 2002), 대처기술 및 사회지지체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Curtis &
Bartholomew, 2000), 비행 및 공격성 감소를 위한 개입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Tarolla
et al., 2002), 흡연 및 금연 프로그램에서도 효과성을 입증하고 있다(Malchodi et al. 2003).
나아가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성교육 프로그램 및 성병과 에이즈 예방 프로그램,
그리고 약물남용 예방 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되어 그 효과성을 입증하고 있다(Sheldon, 2001). 또한 청소년의 자살예방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Lewis & Lewis, 1996), 그리고 학습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방법(Prater et al., 1999), 가족의 죽음이나 이혼을 경험하는 청소년들(Sprinthall을 Hall, 1992; Quarmby, 1993)에게 적용이 가능하며,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또래상담은 다양한 문제를 가진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그 효괴성도 입증되고 있어 청소년복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특히 청소년들이 전문가의 도움을 거부하거나 강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을 때, 비슷한
또래에게서 정확한 정보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그리고 부족한 전문인력을 보충할 수 있다
는 점에서 또래상담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참고문헌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9 아동청소년백서’, 보건복지가족부
-김진화 외(2004). 청소년문제행동론, 학지사
-남미애, 홍봉선(2008). ‘가출청소년 및 청소년쉼터 실태조사’
-배문조, 전귀연(2002). ‘청소년의 가출충동과 관련된 특성 연구’
-문신용, 장지원, 함종석(2002). ‘바람직한 청소년 행정체계 개선방안’
-보건복지가족부(2008). ‘청소년 유해환경 접촉 종합 실태조사’
추천자료
혁신 확산의 영향요인
지각의 메커니즘 영향요인 시사점
[삶의 질 제고]삶의 질의 개념, 삶의 질의 영향요인, 삶의 질의 수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과 영향요인, 학자별 발달단계 관점 파워포인트 보고서
국민연금제도의 도입배경 및 발달과정과 확산배경 및 영향요인
사회적 행동발달의 개념과 영향요인 및 이론과 교육
아동미술(어린이미술)의 필요성과 영향요인, 아동미술활동(어린이미술활동)의 의의, 아동미술...
민간위탁 단계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행정관리론. 지식관리론의 개념과 영향요인 및 사례
안철수의 리더십과 정치권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대권시나리오
청소년기의 부적응 행동실태의 영향요인과 사회복지 실천에 대해 논술하시오
청소년지도 집단역동의 영역과 원리, 집단역동 영향요인
유아기의 지능발달의 중요성을 환경과 교육의 영향요인으로 서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