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학습전략(수업전략), 읽기학습전략(수업전략), 쓰기학습전략(수업전략),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전략(수업전략), 인권교육학습전략(수업전략), 협동학습전략(수업전략), 성인학습전략(수업전략)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말하기학습전략(수업전략), 읽기학습전략(수업전략), 쓰기학습전략(수업전략),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전략(수업전략), 인권교육학습전략(수업전략), 협동학습전략(수업전략), 성인학습전략(수업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말하기학습전략(수업전략)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2. 속성 목록(Attribute listing)
3. 이미지 사고법(Image think method)
4. 연상법(Association method)
5. 이질요소 결합(Synectics)
6. 강제적 연합모형(Forced association model)
7. 퍼즐법(Puzzle method)

Ⅱ. 읽기학습전략(수업전략)
1. 읽기 수업 절차별 전략
1) 읽기 전 독자 사고의 활성화 전략
2) 읽는 중 전략
3) 읽은 후 전략
2. 그래픽 조직자 학습 전략

Ⅲ. 쓰기학습전략(수업전략)
1. 계획하기
2. 내용 생성하기
3. 조직하기
4. 표현하기
5. 고쳐 쓰기

Ⅳ.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전략(수업전략)
1. 도입
1) 동기유발
2) 수업목표 확인 및 구체화
2. 전개
3. 정리
4. 평가

Ⅴ. 인권교육학습전략(수업전략)
1. 가장 낮은 수준
2. 수동성과 관심의 부족
3. 제한된 발의
4. 사회적인 제안과 발의

Ⅵ. 협동학습전략(수업전략)
1. 분위기(Mood: M)
2. 이해(Understanding : U)
3. 회상(Recalling : R)
4. 탐색(Detect : D)
5. 정교화(Elaborating : E)
6. 인출(Retrieval : R)

Ⅶ. 성인학습전략(수업전략)
1. 네트워킹 성인학습(Learning by Networking)
2. 우연적인 성인학습(Learning by Accident)
3. 자연적인 성인학습(Natural Learning)
4. 실패를 통한 성인학습(Learning by Failure)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지식을 참고하기보다는 갖가지 시행착오를 겪고 다양한 정보원을 추적하기도 하고 동료에게 물어 보면서 자연스럽게 일정한 원리를 터득하게 된다. 단순히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실험실 상황을 연상시키는 강의장을 통해 현업에서 요구되는 지식이나 기술을 누군가가 정련가공한 핵심지식을 그것이 적용될 상황적 맥락과 무관하게 가르치는 활동을 반복해서 수행해왔다. 이러한 공식적, 제도적 교육은 일상적 삶의 세계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세계를 포착하는 학습성향을 의도적으로 간섭함으로써 수동적으로 교육받는 인간관을 심화시켜 왔다(Vaill, 12996).
학습결과는 그것이 적용될 상황과 가장 유사한 환경에서 학습했을 때 전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학습자가 일상적인 업무활동을 하는 방식을 일상적인 사례와 함께 실제 가상학습공동체서도 가능하면 있는 그대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성인 학습자는 무엇보다도 자신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사실적 정보나 지식이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그리고 적용결과가 어떠한 효과나 영향을 가져올 것인지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사실적 정보를 적용해보고, 적용결과가 만족스러운지를 스스로 판단하고 평가하며, 평가결과를 토대로 보다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동원하는 일련의 학습방식을 자연스럽게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적인 학습은 선형적이라기보다는 비선형적이다(Topscott, 1988). 필요한 정보를 일정한 순서나 절차를 따라서 단계적으로 추적습득하기보다는 해당 시점에서 필요하고 수집 가능한 정보를 습득하여 활용하는 무선적, 비선형적 활동을 전개한다. 아날로그적 정보를 통한 학습과는 달리 디지털 정보를 통해 학습하는 방식은 직선적이기보다는 필요로 하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기에,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필요로 하는 사람이 무선적으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선형적, 동시다발적, 상호작용적이다.
4. 실패를 통한 성인학습(Learning by Failure)
전통적으로 실패는 무능력의 소치로 인식돼왔다. 구체적으로 학교교육에서는 곧 처벌과 연결되며 기업상황에서는 심각한 질책이나 해고와 연결된다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실패 자체를 하지 않거나 못하게 막는 제도적 풍토가 조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패가 없이 오로지 성공체험만을 거듭하면서 일상적인 일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일정한 업무성과를 향상시켰다면 학습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사고과정은 실패하지 않고서는 결코 일어날 수 없다. 성공체험에 근거하고 있는 학습 시스템(Success-Based Learning Systems)은 타인이 성공한 방식을 그대로 모방함으로써 위험을 무릅쓰고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새롭게 추구하는 것을 의식적으로 기피하지만 실패체험에 근거하고 있는 학습 시스템(Failure-Based Learning Systems)은 계획대로 전개되지 않는 어느 정도의 실패가 예상되는 상황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조치해야 될 것인지, 그리고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혁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분위기와 제도적인 대책을 장려한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무수한 반복적 실패경험은 오히려 성인학습자가 일상적 삶 속에서 실패기회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Shank, 1997). 멀리 가본 사람과 높이 올라가 본 사람이 세상을 더 잘 볼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마찬가지로 네트를 많이 항해해본 사람이 보다 비트 독해법과 네트 항해술을 몸으로 체득할 수 있으며, 이 과정 속에서 무수히 많은 시행착오를 반복한 경험이 많을수록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향상될 확률이 많아진다. 공식적인 대중 앞에서의 실패가 아니라 사이버 공간에서의 개별적 정보탐색활동 또는 사이버 학습공동체내에서 이루어지는 실패는 대면적 접촉 없이 사이버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패로 인한 개인적인 모욕감이나 두려움이 적어진다. 따라서 정보탐색 또는 감식과정에서 발행할 수 있는 실패 자체를 꺼리기보다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조장하고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체험을 개인적 또는 집단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중요한 학습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실패를 통한 학습은 성찰적 학습(Reflexive Learning)을 요구한다. 성찰적 학습이란 자신의 학습과정과 결과를 비판적으로 반성해보고, 자신의 학습상황을 스스로 진단평가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학습결과를 창출하는 학습활동을 말한다(Schon, 1983; 1987; Vaill, 1996). 실패를 통한 학습은 성찰적 학습과정을 통해서 비로소 유의미한 학습활동이 될 수 있다. 성찰이 동반되지 않는 반복적 실수는 학습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성인학습과정은 실천이나 연습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단기간에 습득할 수 있지만 이렇게 습득한 학습결과는 쉽게 망각하기 쉬우며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도 학습자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새로운 학습과제는 실제 적용하는 연습과 연습과정에서 무수한 실수를 경험할 필요가 있다. 탈맥락적 사실이나 정보를 단순 암기하기보다는 성인학습자로 하여금 그러한 사실을 실제 적용해보게 하고 연습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경험하게 하여 왜 무엇이 잘못돼서 암기한 사실적 규칙이나 원리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지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사이버 공간에서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일정한 시점이 지나면 의도적으로 외우려고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신의 학습결과로 체화된다. 이쯤 되면 자신이 무엇을 학습하고 있는지도 망각한 채 체험을 통해서 터득한 사실적 규칙이나 원리를 자연스럽게 실제 업무상황이나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문헌
교육정보화 시·도공동추진위원회(2002),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 및 연수프로그램 개발 세미나
이동원(1990), 협동학습수업전략과 경쟁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임성규(1998), 쓰기 전략과 실제, 박이정
전은주(1999), 말하기·듣기 교육론, 도서출판 박이정
정인성·최성희 공저(2002), 효과적인 학습전략, 서울 : 교육과학사
한준상(1998), 앤드라고지: 성인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해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4.1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