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평가의 철학
3. 수업의 실제
4. 나오며
참고문헌
2. 평가의 철학
3. 수업의 실제
4. 나오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활동으로 옮겨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랩이라는 형식에 대한 공부가 필요할 것이다. 요즘 웬만한 아이들은 다 랩을 따라할 줄 알므로 형식 자체를 가르쳐주는 것은 큰 무리가 없을 것이고, 혹시 반에 그 방면으로 전문가가 있다면, 그 친구에게 수업 시간의 일부를 할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각 조에서 만든 랩과 패러디 사설 시조를 발표함으로써 사설시조 수업을 마감한다. 이 발표에 있어서 평가 항목은
1) 랩의 형식적 특징을 충분히 담아내고 있는가?(랩 자체를 잘하는가. 못하는가로 평가의 기준이 되어서는 안된다)
2) 패러디의 규칙을 잘 지켜 표현하고 있는가?(패러디의 미학은 비슷한 듯 하면서도 다른 것이다) 형식이나 자주 등장하는 단어 등등 고정된 부분을 전제하고 다른 부분을 잘 바꿔내는 것이 잘된 패러디이다)
3) 내용에 구현된 ‘비판성’은 적절한가?
이런 평가를 통해 자신이 문화 습득과 문화 분석, 그리고 습득한 문화를 향유하는 목표의 달성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4. 나오며
어쩌면 국어 경시대회에 낼 만한 좋은 문제를 만드는 것이 이번 숙제의 목표였을 지도 모르겠는데, 나는 너무 엉뚱한 보고서를 썼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내가 앞으로 견지하고 싶은 평가의 형태가 ‘수행 평가’이기에 그 형식에 최대한 현실적으로 근접해보려고 애썼다. 전체적으로 수업 과정과 평가 문항을 설계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것은 문학의 언어와 일상의 언어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통합성과 지식과 활동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야하고 정전의 작품부터 대중가요까지 아우르는 포괄성이다. 이것은 앞의 평가의 철학에서 제세된 부분이다. 그리고, 학생들 개개인의 사고력, 창의성을 이끌어내어 모둠 활동을 통해 이것을 공동체적으로 풀어냄으로써 배우는 사람간의 상호적용도 중시했다. 그래서, 사설시조를 노래로 하거나, 패러디하여 모둠으로 발표하는 활동을 구상했고, 자기 체험과의 연관성을 중시했다. 그리고, 생활 속에서 체험을 찾아보는 활동을 구상했다. ‘교실 이데아’와의 비교를 시도한 것도 그러한 맥락이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모둠으로 했을 때, 혼자 죽어나는 사람이나 무임승차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고, 아무리 재밌는 활동도 수업 시간에 하면 모두 지겨워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교실 이데아’와 ‘정태춘’의 노래가 더 이상 아이들에게는 동시대에 향유하는 문화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이다. (나도 세대차이가?)
그래도 어쨌든, 내가 교직에 나갔을 때를 생각하고, 절대 학원 선생님이 해줄 수 없는 활동과 그에 대한 평가 문항을 만들기위해 애썼다. 그리고 내년에 교생 나가서 전과정의 일부분이라도 꼭 직접 수업 시간에 해볼 것이다.
참고문헌
정재찬, 염은열 저, 문학교육개론, 역락 2014
정현숙 저, 문학교육의 방법과 실제, 푸른사상 2014
신주철 저,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구인환, 최래옥 저, 독학사 국문학개론, 오이제이에듀케이션 2015
정재림 저, 현대문학연구의 방법과 지형, 보고사 2013
각 조에서 만든 랩과 패러디 사설 시조를 발표함으로써 사설시조 수업을 마감한다. 이 발표에 있어서 평가 항목은
1) 랩의 형식적 특징을 충분히 담아내고 있는가?(랩 자체를 잘하는가. 못하는가로 평가의 기준이 되어서는 안된다)
2) 패러디의 규칙을 잘 지켜 표현하고 있는가?(패러디의 미학은 비슷한 듯 하면서도 다른 것이다) 형식이나 자주 등장하는 단어 등등 고정된 부분을 전제하고 다른 부분을 잘 바꿔내는 것이 잘된 패러디이다)
3) 내용에 구현된 ‘비판성’은 적절한가?
이런 평가를 통해 자신이 문화 습득과 문화 분석, 그리고 습득한 문화를 향유하는 목표의 달성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4. 나오며
어쩌면 국어 경시대회에 낼 만한 좋은 문제를 만드는 것이 이번 숙제의 목표였을 지도 모르겠는데, 나는 너무 엉뚱한 보고서를 썼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내가 앞으로 견지하고 싶은 평가의 형태가 ‘수행 평가’이기에 그 형식에 최대한 현실적으로 근접해보려고 애썼다. 전체적으로 수업 과정과 평가 문항을 설계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것은 문학의 언어와 일상의 언어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통합성과 지식과 활동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야하고 정전의 작품부터 대중가요까지 아우르는 포괄성이다. 이것은 앞의 평가의 철학에서 제세된 부분이다. 그리고, 학생들 개개인의 사고력, 창의성을 이끌어내어 모둠 활동을 통해 이것을 공동체적으로 풀어냄으로써 배우는 사람간의 상호적용도 중시했다. 그래서, 사설시조를 노래로 하거나, 패러디하여 모둠으로 발표하는 활동을 구상했고, 자기 체험과의 연관성을 중시했다. 그리고, 생활 속에서 체험을 찾아보는 활동을 구상했다. ‘교실 이데아’와의 비교를 시도한 것도 그러한 맥락이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모둠으로 했을 때, 혼자 죽어나는 사람이나 무임승차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고, 아무리 재밌는 활동도 수업 시간에 하면 모두 지겨워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교실 이데아’와 ‘정태춘’의 노래가 더 이상 아이들에게는 동시대에 향유하는 문화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이다. (나도 세대차이가?)
그래도 어쨌든, 내가 교직에 나갔을 때를 생각하고, 절대 학원 선생님이 해줄 수 없는 활동과 그에 대한 평가 문항을 만들기위해 애썼다. 그리고 내년에 교생 나가서 전과정의 일부분이라도 꼭 직접 수업 시간에 해볼 것이다.
참고문헌
정재찬, 염은열 저, 문학교육개론, 역락 2014
정현숙 저, 문학교육의 방법과 실제, 푸른사상 2014
신주철 저,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구인환, 최래옥 저, 독학사 국문학개론, 오이제이에듀케이션 2015
정재림 저, 현대문학연구의 방법과 지형, 보고사 2013
추천자료
[유아사회교육] 유아사회교육의 교수학습의 원리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
[발명영재][발명영재교육]발명영재의 정의, 발명영재의 특성, 발명영재교육의 목표, 발명영재...
교수학습이론과 매체)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설명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육(학생중심교육)의 문학교육, 학습자중심교육(학생중심교육)의 영어교육, 학습...
홀리스틱교육의 의미, 홀리스틱교육의 성격, 홀리스틱교육의 국제적 동향, 홀리스틱교육의 원...
[음악과 교육과정]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음악과 교육과정의 ...
가상교육(인터넷교육, 사이버교육, 온라인교육)의 정의, 가상교육(인터넷교육, 사이버교육, ...
[실과교육][팀티칭][창의성교육]실과교육의 특성, 실과교육의 목적, 실과교육과 팀티칭, 실과...
영어교수법 교재 12, 13장을 참고하여 자신의 영어 학습 동기 1가지와 학습자로서 자신이 사...
(교육과정 A형)교육에서 구성주의 이론의 정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구성주의에 근거한 교수-...
교육과정A형>> 교육에서 구성주의 이론의 정의가 무엇인지 설명구성주의에 근거한 교수-학습...
[교육과정A형] 교육에서 구성주의 이론의 정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구성주의에 근거한 교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