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유교윤리의 기능
1. 유교 윤리에 있어서의 개인의 위치 : 개인의 평등과 자유
2. 개인과 공동체
Ⅲ. 유교윤리의 내용
Ⅳ. 삼강오륜의 삼강
Ⅴ. 삼강오륜의 오륜
Ⅵ. 삼강오륜과 오덕
Ⅶ. 삼강오륜 관련 시조
1. 부자유친(父子有親)
2. 군신유의(君臣有義)
3. 부부유별(夫婦有別)
4. 붕우유신(朋友有信)
참고문헌
Ⅱ. 유교윤리의 기능
1. 유교 윤리에 있어서의 개인의 위치 : 개인의 평등과 자유
2. 개인과 공동체
Ⅲ. 유교윤리의 내용
Ⅳ. 삼강오륜의 삼강
Ⅴ. 삼강오륜의 오륜
Ⅵ. 삼강오륜과 오덕
Ⅶ. 삼강오륜 관련 시조
1. 부자유친(父子有親)
2. 군신유의(君臣有義)
3. 부부유별(夫婦有別)
4. 붕우유신(朋友有信)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인(仁), 용(勇), 경(敬), 성(誠)이다. {중용}(中庸)에 지,인,용을 3달덕(三達德)이라 하였는데 이승희는 이 3달덕에 경(敬)과 성(誠)을 첨가하여 오덕으로 하였다. 그는 주장하기를 {중용}의 앞 부분에서 계신(戒愼), 공구(恐懼), 신독(愼獨) 등을 역설하였는데 이것은 모두 경(敬)의 뜻을 밝힌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중용}의 뒷부분에 있어서 성(誠)을 강조하였으니 이 경과 성을 합쳐서 오덕으로 삼았다고 하였다. 그는 이 오덕을 곧 오성(五性)과 결부시켜 그 나타남이라고 규정하였다. 즉 지(知)는 지(智)의 나타남이고, 인(仁)은 인(仁)의 나타남이고, 용(勇)은 의(義)의 나타남이고, 경(敬)은 예(禮)의 나타남이고, 성(誠)은 신(信)의 나타남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 오덕은 인성(人性)의 고유한 덕임으로 이세상의 모든 사람들의 모든 행동의 근원이 되는 것으로서 이것이 곧 공자가 평생 강조하고 밝힌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는 유교의 경전을 이 오덕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를 {논어}는 인(仁)을 주로 하고, {예기}는 경(敬)을 주로하고 {춘추}는 의(義)를 주로 하고 {역}은 지(知)를 주로 하고 {중용}은 전체를 설명하되 특히 성(誠)을 들어내었다고 하였다. 오덕은 고유한 인성의 발로임으로 공자교를 세상에 밝히려 한다면 마땅히 오덕을 가르치는 것으로써 제1과목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Ⅶ. 삼강오륜 관련 시조
1. 부자유친(父子有親)
효자가 어버이 섬김은 거함에 공경히 지극하고
봉양은 지극한 즐거움이요 아플 때는 한없는 근심이라
상을 당해 슬픔은 가이 없고 제사는 엄함을 잃지 않는다.
아버지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실제
가엾으신 아버지 어머니 나를 낳으시기 수고하셨네.
그 은덕 갚자 오면 하늘처럼 끝이 없다.
2. 군신유의(君臣有義)
나의님 향한 뜻이 죽은 후면 어떠할지
쌍전이 변하여 벽해는 되려니와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이시라
임금을 사랑하기를 어버이 생각하듯 하고
나라의 걱정을 내집 걱정하듯 하였네
대낮의 밝음이 온 대지를 비취는데
맑은 연못에 나의 속마음 비추리라.(조광조)
3. 부부유별(夫婦有別)
한몸둘에 나눠 부부를 삼길사
이신세 함께 늙고 죽으면 한데 간다.
어데서 망령의 것이 눈흘기려 하느뇨(정철)
4. 붕우유신(朋友有信)
남으로 생긴 중에 벗같이 유신하랴
나의 왼일(그릇된일)을 다말하려 하노매라
이몸이 벗님곳 아니면 사람된이 쉬울까?(정철)
남으로서 친한 사람 벗이라 일럿으니
유신곳 아니하면 사귈 줄이 이실소냐
우리는 어진 벗 알아서 책선을 받아보라(랑원군)
참고문헌
◈ 강만길 외(1994), 한국사, 도서출판 한길사
◈ 심성보(1999), 도덕교육의 담론, 서울 : 학지사
◈ 이종성 편(1992), 윤리학, 대한기독교출판사
◈ 정재식(1982), 유교윤리와 사회변혁, 동방학지(동방학지), 연세대 국학연구원
◈ 최영갑(2006), 공자와 맹자의 도덕철학, 한국학술정보
◈ 황준연(1983), 조선시대 유교윤리의 전개,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Ⅶ. 삼강오륜 관련 시조
1. 부자유친(父子有親)
효자가 어버이 섬김은 거함에 공경히 지극하고
봉양은 지극한 즐거움이요 아플 때는 한없는 근심이라
상을 당해 슬픔은 가이 없고 제사는 엄함을 잃지 않는다.
아버지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실제
가엾으신 아버지 어머니 나를 낳으시기 수고하셨네.
그 은덕 갚자 오면 하늘처럼 끝이 없다.
2. 군신유의(君臣有義)
나의님 향한 뜻이 죽은 후면 어떠할지
쌍전이 변하여 벽해는 되려니와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이시라
임금을 사랑하기를 어버이 생각하듯 하고
나라의 걱정을 내집 걱정하듯 하였네
대낮의 밝음이 온 대지를 비취는데
맑은 연못에 나의 속마음 비추리라.(조광조)
3. 부부유별(夫婦有別)
한몸둘에 나눠 부부를 삼길사
이신세 함께 늙고 죽으면 한데 간다.
어데서 망령의 것이 눈흘기려 하느뇨(정철)
4. 붕우유신(朋友有信)
남으로 생긴 중에 벗같이 유신하랴
나의 왼일(그릇된일)을 다말하려 하노매라
이몸이 벗님곳 아니면 사람된이 쉬울까?(정철)
남으로서 친한 사람 벗이라 일럿으니
유신곳 아니하면 사귈 줄이 이실소냐
우리는 어진 벗 알아서 책선을 받아보라(랑원군)
참고문헌
◈ 강만길 외(1994), 한국사, 도서출판 한길사
◈ 심성보(1999), 도덕교육의 담론, 서울 : 학지사
◈ 이종성 편(1992), 윤리학, 대한기독교출판사
◈ 정재식(1982), 유교윤리와 사회변혁, 동방학지(동방학지), 연세대 국학연구원
◈ 최영갑(2006), 공자와 맹자의 도덕철학, 한국학술정보
◈ 황준연(1983), 조선시대 유교윤리의 전개,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추천자료
대학,유교,공문십철,공양학
법구경과 산상수훈, 유교경전의 비교
공자사상 한국전래 및 전개 한국에서의 유교
[경영RPT] 유교원리와 리더십 (오원석)
[성리학][고려][조선]성리학의 기본이념, 성리학적 인간 이해, 고려말 성리학과 조선초의 성...
[민주시민의식][시민교육]민주시민의식과 시민교육, 민주시민의식과 교수학습방법, 민주시민...
[시민사회]시민사회의 개념, 시민사회의 성격, 시민사회의 필요성, 시민사회의 발달변화, 시...
[독후감] ‘공자 평전’을 읽고 _ 안핑 친 저, 김기협 역 - 공자의 사상, 유교, 공자의 철학
이육사(李陸史) 시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 그 시에 담긴 유교사상 (광야, 절정, 청포도)
[종교 비교 보고서] 유교와 도교의 자연관을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 김홍도의 풍속화에 나타나는 풍자와 해학미 - 풍자를 띤 해학성(신분제의 지...
에세이)한국의 종교와 철학의 큰 줄기인 무속 신앙 불교 유교 도교 중 한가지를 골라 그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