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학
2. 유교
3. 공문십철
4. 공양학
2. 유교
3. 공문십철
4. 공양학
본문내용
제가 정치이론서로 선택하고 또 공손홍을 승상으로 등용하자 공양학은 매우 번창하였다. 후한(後漢) 때는 학자 하휴(何休)가 《춘추공양해고(春秋公羊解)》 《공양묵수(公羊墨守)》 《좌씨고황(左氏膏)》 《곡량폐질(穀梁廢疾》 등을 지어 더욱 발전시켰다.
이 학문이 극성기를 맞은 것은 청(淸)대였다. 청대에 강소(江蘇), 절강(浙江)지방에서 이 학문이 다시 번창하여 장존여(莊存與)와 장유가(莊有可) 등이 상주학파(常州學派)를 결성하여 정치이론학으로 더욱 발전시켰다. 청말엔 추평(平)·캉유웨이[康有爲]·담사동(譚嗣同)·양계초(梁啓超) 등이 공양학을 정치이론으로 크게 발전시켰다. 또 1891년에 캉유웨이가 간행한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는 고문파의 경학을 호되게 비판한 금문경학(今文經學)의 집대성으로 평가된다.
이 학문이 극성기를 맞은 것은 청(淸)대였다. 청대에 강소(江蘇), 절강(浙江)지방에서 이 학문이 다시 번창하여 장존여(莊存與)와 장유가(莊有可) 등이 상주학파(常州學派)를 결성하여 정치이론학으로 더욱 발전시켰다. 청말엔 추평(平)·캉유웨이[康有爲]·담사동(譚嗣同)·양계초(梁啓超) 등이 공양학을 정치이론으로 크게 발전시켰다. 또 1891년에 캉유웨이가 간행한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는 고문파의 경학을 호되게 비판한 금문경학(今文經學)의 집대성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