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종교][종교][세계종교의 변동][세계종교의 종류][세계종교의 분쟁][세계종교의 신][세계종교와 한국종교]세계종교의 변동, 세계종교의 종류, 세계종교의 분쟁, 세계종교의 신, 세계종교와 한국종교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종교][종교][세계종교의 변동][세계종교의 종류][세계종교의 분쟁][세계종교의 신][세계종교와 한국종교]세계종교의 변동, 세계종교의 종류, 세계종교의 분쟁, 세계종교의 신, 세계종교와 한국종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세계종교의 변동

Ⅱ. 세계종교의 종류
1. 불교
2. 기독교
3. 이슬람교
4. 유교
5. 힌두교
6. 그 외 종교들

Ⅲ. 세계종교의 분쟁
1. 카슈미르 분쟁
2. 스리랑카의 종교 분쟁
3. 팔레스티나 지방의 종교 갈등
4. 북아일랜드의 크리스트교도와 카톨릭 교도의 분쟁
5. 코소보 분쟁
6. 아제르바이잔 분쟁
7. 나이지리아 분쟁
8. 콜롬비아
9. 필리핀 종교분쟁
10. 이라크 종교분쟁

Ⅳ. 세계종교의 신
1. 제우스(Zeus)
2. 헤라(Hera)
3. 아테네(Athene)
4. 헤르메스(Hermes)
5. 판(Pan)
6. 포세이돈(Poseidon)
7. 디로니소스(Dionysos)
8. 헤파이스토스(Hephaistos)
9. 아프로디테(Aphrodite)
10. 데메테르(Demeter)
11. 아폴론(Apollon)
12. 아르테미스(Artemis)
13. 헤스티아(Hestia)
14. 하데스(Hades)

Ⅴ. 세계종교와 한국종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으로 일관성 있는 종교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묘하게도 공인교의 지위를 누리고 있는 종교들은 현재 종교법의 제정에 소극적이다. 종교법의 제정으로 종교의 자유가 침해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의 종교들에 제도적인 혜택을 주는 공인교 정책은 종교의 독과점 체제를 비호하는 것으로 진정한 의미에서 종교의 자유와 종교 간의 평등을 보장해 줄 수 없다. 그리고 새로운 것에서 창조적인 것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둘 때 공인교 정책은 한국 종교의 창조적인 전개를 가로막는 장애 요인이다.
다음으로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여 각 종교 측에 대해서도 나름의 바람을 피력해 보고자 한다.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여 한국의 종교도 사회의 다른 부문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천주교와 개신교 등 서구에서 유입된 종교들은 아마도 좀더 우리 문화와 친밀성을 확보하려고 할 것이며, 불교, 유교, 신종교 등은 적어도 조직과 의례 면에서 소위 현대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앞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여 한국의 종교는 갈등 요소가 잠재하는 혼재가 아니라 상호 공정한 경쟁을 통해 공존을 도모해야 할 시대적인 과제를 안고 있다. 종교의 공존을 위해서는 몇 가지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종교 간의 대화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지적할 수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종교간 대화의 필요성을 모든 종교인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는 않다. 그럼에도 그러한 시도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나 그 성과는 매우 미진하였다고 생각한다. 종교 간의 대화는 특정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특정한 목표가 종교 내적인 것보다는 종교 외적인 것일수록 종교 간의 대화가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우리는 멀리는 3.1운동과 같이 독립이나 가깝게는 인권, 생태, 평화, 통일 등의 종교 외적인 특정 목표가 설정될 수 있을 때 종교 간의 대화나 연합이 가능하다는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종교 내적인 목표 아래 행해지는 종교 간의 대화나 연합은 오히려 종교간 정치(inter-religious politics)로 흐를 가능성이 많을 뿐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종교 간의 공존을 위한 방안으로 대화가 아닌 다른 방안 두 가지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첫째, 상대방의 종교사상을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종교사상을 창조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오래 전부터 동아시아에서는 儒彿道 삼교 교섭의 역사가 있었다. 중국에서는 불교가 전래된 직후부터 삼교 교섭이 이루어지다가, 隋와 唐을 거쳐 宋 때에 와서 삼교 조화론이 정립되었다. 그리고 宋의 삼교 조화론은 金 이후에는 삼교 합일론으로 전개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예를 王重陽, 李純甫, 林兆恩과 山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중국의 이러한 삼교조화론, 또는 삼교 합일론의 전통은 우리나라의 사상사 속에서도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崔致遠은 스스로 儒者라고 하면서도 불교와 도교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한국종교사상사에서 유불도 삼교에 정통하면서 유불도 삼교의 가치를 똑 같이 인정하였던 최초의 인물이었다. 金時習은 “三敎를 닦아 나감에 길은 각각 다르나 필경에는 敎旨가 동일하다(三敎進修異 畢竟同一旨)”라고 하여 삼교가 서로 같다고 하였다. 그는 승려 생활을 하면서 유교의 義를 지켰고, 도교를 수련하여 仙人이 되고자 하였던 인물로 당시 지성인의 진면목을 보여주었다. 西山은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비록 불교를 옹호하려는 입장을 보이기는 하였지만 불교의 중심 개념인 心을 중심으로 유불도 삼교를 회통시키려는 노력을 하였던 인물이다.
20세기에 柳永模가 삼교에 기독교를 포함하는 四敎 회통사상을 제시하기는 하였지만,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들어 온 이후 유불도 삼교 교섭의 사례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오히려 다른 종교사상을 참조하여 자신의 종교사상을 재해석 내지는 창조적으로 변형시키는 의도는 철저히 봉쇄당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불교사상을 참조하여 기독교사상을 재해석하려는 시도는 기독교 내에서 받아들이지 않고 있으며, 또한 기독교사상을 참조하여 불교사상을 재해석하려는 시도도 불교 내에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외국에서는 그러한 시도를 하는 학자들이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오히려 대학 강단에서 설 자리 조차 잃고 있는 형편이다.
둘째, 사상적으로는 항상 보편성을 강조하더라도 한국종교의 활동 무대는 기본적으로 한국이라는 사실을 새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종교는 대체로 특정 민족보다는 전 인류의 구원을 목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대교와 같은 민족종교가 특정 민족의 구원을 목표로 한다고 하더라도 그 목표는 보다 큰 목표, 다시 말해서 전 인류의 구원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그러나 지구상의 모든 종교가 전 인류의 구원을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특정 지역을 주 활동무대로 가지고 있다는 점 또한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수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들이 전 지구에 존재하며, 이들이 전 인류의 구원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실제로는 영국의 기독교, 미국의 기독교, 일본의 기독교, 한국의 기독교 등이 각기 따로 존재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영국인의 기독교는 영국인의 자존심, 미국의 기독교는 미국인의 자존심, 그리고 일본의 기독교는 일본인의 자존심 형성에 분명히 기여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국의 유교, 불교, 기독교 등이 한국인의 자존심 형성에 나름대로 기여해 왔는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한국종교가 한국인의 자존심 형성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한국종교는 한국의 사회, 문화적 정체성 확립과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박경민(1998), 세계종교산책, 아세아문화사
* 세계 종교 둘러보기(종교 문맹을 깨우치는 명쾌한 안내서), 현암사
* 야마오리 데츠오, 3일 만에 읽는 세계의 종교, 서울문화사
* 제임스F.루이스·윌리엄 G.트레비스(1995), 세계의 종교와 관습, 도서출판 은성
* 한국종교문화연구소(2003), 세계종교사입문, 청년사
* 후쿠오카 마사유키 지음, 김희웅 옮김(2001), 21세기 세계의 종교분쟁, 국일미디어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