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당, 조선시대교육의 법규와 규범, 조선시대교육의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당, 조선시대교육의 법규와 규범, 조선시대교육의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1. 향교의 유래
2. 향교의 생활
3. 향교의 선생님
4. 향교의 학생

Ⅱ.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1. 명칭
2. 조직가 인원
3. 유생의 직급과 생활
4. 역사

Ⅲ.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4. 교육의의

Ⅳ.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원
1. 서원의 유래
2. 서원의 생활
3. 선생님과 학생
4. 교육과목

Ⅴ.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당

Ⅵ. 조선시대교육의 법규와 규범
1. 경국대전
2. 학령
3. 권학사목
4. 구재학규
5. 진학절목
6. 경외학교절목
7. 학교사목
8. 학교모범

Ⅶ. 조선시대교육의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1. 성리학
1) 양촌 권근
2) 퇴계 이황
3) 율곡 이이
2. 실학
1) 반계 유형원
2) 성호 이익
3) 다산 정약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의를 밝힘, 생원시의 입시과목으로 할 것을 주장
4. 구재학규
세조9년 예조에서 성균관의 학규로 지은 것으로 사서오경을 9계단으로 나누고 있음. 대학, 논어, 맹자, 중요, 시경, 서경, 춘추, 예기, 주역을 9재라 하고, 과목의 진급과 과목순을 정해 놓음.
5. 진학절목
성종1년 예조에서 지은 것으로 교사의 취임, 전직과 학생의 근면, 결석에 관한 보충교재이다.
6. 경외학교절목
명종 1년(1546)에 반포한 전국학교에 적용한 것으로, 교원채용, 학과목, 입학, 교육평가 및 상벌에 관한 상세한 규정
7. 학교사목
선조 때 이율곡이 왕명으로 제정, 교원의 선택, 임용, 승급 및 대우에 관한 규정과 학생의 입학, 정원, 선발, 거제, 대우와 자격 및 시학에 관한 규정으로 모두 인사문제를 상세하게 규정
8. 학교모범
선조16년 이율곡이 왕명을 받아 택사와 양사를 목적으로 하는 내용으로 학령에 미비한 점을 보충하고 있다. 특히, 선비들로 하여금 몸가짐과 일해 나가는 법규를 16조로 설명하고 있음
Ⅶ. 조선시대교육의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1. 성리학
1) 양촌 권근
※ 교육목적은 明人倫을 통한 인재양성에 두고, 수양덕목으로 공, 근, 관, 신을 내세웠다.
※ 교육방법은 심리학적 방법을 사용하고, 소학을 인륜에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저서
권학사목(소학을 모든 교육의 기초로서 먼저 읽을 것을 권함).
향학사목(사학 교사의 관학 채용금지. 아동을 강제로 관학 이동을 금하는 사학의 중요성 강조)
수창궁 재상서(군왕지계의 서)
입학도설
(대학 중용의 천인심성합일설 등을 주돈이의 태극도설를 이용 도해로써 알기 쉽게 풀이한 해설도. 한국 최초의 시청각 교재)
2) 퇴계 이황
①주리론적 견해에서 성리학 이론을 체계 발전을 가져오다
②향약을 조선의 실정에 알맞게 적절히 편성 조직하다.
③도산서원을 설립하여 후진양성에 치중하다.
④군주훈계교육을 역설하다.(성학 10도)
⑤교육목적을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두었으며, 교육이념은 도덕인의 양성에 두었다.
⑥사학 교육발전에 기여하다.
⑦교육방법은 다음과
㉠학문을 하는데는 『입지(立志)』가 근본이 되어야 한다.
㉡학문을 하는데는 『궁리(窮理)』가 가장 중요한 것이다.
㉢『경(敬)』은 학문을 하는 첫걸음이니, 이를 정심껏 대하는 것이다.
㉣글을 읽는 것은 그 뜻을 알기 위해서 읽는 것이니 『열독(熱讀)』해야 한다.
㉤배우는 것은 자기가 알기 위함이요, 실행하기 위함이니 『심득궁행(心得躬行)』하여야 한다.
㉥학문은 독서에만 있는 것이 아니니 사회의 여러 가지 사실에 대한 견문(見聞)을 넓히는 일이다.
㉦배움은 자기의 마음속에서 깊이 생각하여 스스로 얻는 『潛心구得』인 것이다.
⑧교육이론은 이기이원론, 4단 칠정설, 지행병진설 등을 들 수 있다.
⑨경(敬), 궁리(窮理), 입지(立志) 의 사상을 중시하다.
⑩저서 : 성학십도, 퇴계집, 이황통록, 이산원규 등이 있다.
⑪도덕적 인격을 배양키 위한 “행동규범”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3) 율곡 이이
※ 교육이념 : 誠, 立志, 明志, 力行, 민본사회주의 사상
※ 교육목적 : 성인, 도를 밝히는 것(성인이란 인간 본성의 선성에 입각하여 그 본성을 되찾는 사람)
※ 교육방법 : 소학을 읽고, 대학, 근사록, 논어, 맹자, 중용 등 오경을 읽고 사기와 성리를 읽음.
※ 철학사상 : 기발이승일도설(이기일원론적 주기론)
※ 저서
학교모범(16조로 된 성인을 위한 교육규범)
성학집요(대학의 본 뜻에 의거 성현들에 가르침을 인용, 제왕의 학을 위한 저서)
학교사목(교사와 학생의 인사문제에 관한 규정)
격몽요결(일반학도를 위한 교육목적과 학습조항을 설명하는 교육 입문서)
소아수지(아동교육을 위한 소아 법규)
2. 실학
1) 반계 유형원
첫째, 종래의 과거제도를 폐지하고 학교교육을 통하여 능력 있는 인물을 관리로 등용할 것을 주장.
둘째, 근대적 학제의 도입을 제안.
셋째, 학교 입학 자격을 사대부에만 국한하지 말고, 서얼과 서민의 자제에게도 부여할 것을 제안.
넷째, 사대부의 관직 세습화를 억제하고 인재 등용의 기준을 문벌보다 개인의 능력에 둘 것을 주장. 학교교육에서도 문벌보다는 나이와 능력에 따라 차례를 정해야 한다고 주장.
다섯째, 이상적 교육적 인간상은 덕행인(德行人)과 능력인(能力人)으로 보고, 신분을 초월하여 교육의 기회를 균등히 해야 한다고 주장.
2) 성호 이익
첫째, 민족 주체의식을 강조. 교육과정에 [퇴계집]과 [동국사]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
둘째,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른 점은 예의를 숭상하는 데 있다고 보고, 교육에서 숭례(崇禮)와 근검(勤儉)을 강조해야 함을 주장.
셋째,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능력에 따른 개인차가 반영되어야 한다고 주장.
넷째, 교육방법과 관련하여 탐구심의 계발이 자기계발의 요소이며, 자기수양의 방법으로 매일 새롭게(日新) 스승을 구하고(得師), 왕성한 호기심을 갖고 즐겨 질문하는 것(好問)이 참다운 살아있는 교육이라고 주장. 특히 강의식이나 맹목적인 아미보다 질의응답을 중시. 교육에서의 지행합일을 강조.
3) 다산 정약용
첫째, 실사구시의 강조. 다산은 공리공담의 이기설(理氣說) 경전의 자의나 음훈에 빠져버린 훈고학, 미사여구의 문자적 유희인 문사(文辭), 과거제도 및 우민을 현혹시키는 도선비결(道詵秘訣) 혹은 정감록(鄭鑑錄) 등 다섯 가지를 버려야 할 구습이라고 보고, 이들은 실사구시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
둘째, 교육적 인간상으로 수기위천하인(修己爲天下人)을 제시(자기 수양에 의해 능력을 닦고, 이것을 천하와 국가를 위해 실천하는 사람으로, 현대적 의미에서 볼 때 社會的 自我實現人이라고 할 수 있음).
셋째, 감각기관을 활용한 과학적, 실천적 교육방법의 제시.
참고문헌
김문식, 조선후기 경학사상연구
과학원 철학연구소, 정다산 연구, 한마당
목영해 외(2004), 교육의 역사와 철학, 교육과학사
이범직(1979), 조선전기 유교교육과 향교의 기능,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정대환(1992), 조선조 성리학 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황의동, 한국의 유학사상, 서광사
홍이섭,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연구, 제 5장 비판정신, 한국연구도서관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