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ARA의 문제점과 경영혁신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ZARA의 문제점과 경영혁신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ZARA 소개
(1) 개요
(2) 목표와 비즈니스 철학
(3) 성공전략

2. 시장 환경 분석
(1) 중저가 브랜드 선호
(2) 유통업계와 패션업계의 통합
(3) 글로벌 SPA 브랜드의 탄생
(4) 소비 트렌드의 변화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문제점과 경영혁신 방안
(1) 문제점 분석
(2) 경영혁신 방안

5.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자 전략은 fast fashion이다. 그러므로 상품을 생산하는 제조 과정은 전문기업에 out sourcing하고, ZARA 본사는 빠른 순환에만 초점을 맞추어 매장 관리나 시장 확보 및 확장, 그리고 빠른 제품의 순환 등을 전문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ZARA는 해당 지점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각국의 공장에 제품 생산 부분을 Out sourcing 한다. 지역적으로 거리가 가까워지면 배송기간이 더욱 짧아지며 유통의 순환도 더욱 빠르게 되어 거래도 빨라지게 된다. 또한 Out sourcing을 하는 기업은 그 분야에 대해 전문적이며 더욱 빠르게 생산도 가능하다. 게다가 아시아의 생산라인진출은 상대적으로 아시아 인력이 스페인의 인력에 비해 저렴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비용을 감축할 수 있다. Cisco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out sourcing한 기업, 혹은 공장과의 network based DB system 구축을 통해야만 가능하다. 즉, network based DB system을 이용해 out sourcing한 기업이나 공장과의 밀접한 관계 유지와 상호작용이 필요한 것이다.
4) Expert System
고객 서비스가 부족한 ZARA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상에서 이용 가능한Expert System을 도입할 수 있다. 즉, 패션 전문가들이 Knowledge base에 입력해 놓은 전문 지식들을 통해, 고객들이 자신에게 맞는 스타일과 자신들이 원하는 옷을 쉽고 빠르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고객들은 자신의 PC를 통해 ZARA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자신의 얼굴형과 체형, 머리 스타일과 피부색 등의 정보를 Expert System에 입력한다. 그러면 Expert System은 패션 전문가의 전문 지식을 입력해놓은 Knowledge base에서 고객이 입력한 정보에 맞는 규칙과 지식들은 찾아내고, Inference Engine에서는 이러한 규칙과 지식들을 토대로 고객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스타일을 제안하여 고객에게 보여주게 된다.
Expert System을 이용하면 이렇게 자신의 외모와 체형에 맞는 스타일을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의 제품이나 신상품을 찾을 수도 있다. 앞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고객이 개인의 PC를 통해 ZARA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이전에 마음에 들었던 ZARA의 상품을 클릭하면, Expert System은 패션 전문가들이 분류해놓은 스타일의 카테고리 정보가 담겨있는 Knowledge base를 검색하게 된다. 그러면 검색된 정보를 토대로 Inference Engine에서 고객이 선호하는 것과 유사한 스타일의 상품이나 신상품들을 판단하여 이 자료를 고객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Expert System을 이용하면, 고객들은 패션 전문가를 직접 만나는 번거로움이나 어려움 없이 자신에게 맞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들을 손쉽게 찾을 수 있게 되고, 이는 자연스레 고객 만족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5. 결론 및 시사점
패스트 패션의 물결이 전 세계를 뒤덮고 있다. 그 여세는 유럽을 시작으로 미국, 아시아, 한국에까지 퍼지고 있다. 패스트 패션의 선두주자 격인 Zara를 비롯해 갭과 바나나리퍼블릭의 한국 론칭까지 숨 가쁘게 패션의 화두와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최근 인터넷 쇼핑몰의 활성화와 과자보다 싼 가격의 옷을 파는 G마켓, Action 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현상만 봐도 우리는 패스트 패션의 급물살이 한국의 소비자들의 주머니를 열게 하고 거리를 휩쓸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패스트 패션은 패션 트렌드를 바꿔놓았고 패션산업의 위치를 바꿔놓았다. 페스트 패션의 국내 도입과 확산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형 SPA 브랜드가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면 첫째로는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 맞게 그 변화에 민감해야 하기 때문에 QR시스템을 빠르게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의류산업은 이제 포화상태이다. 의/식/주의 기본 생활 요소를 넘어 각 개인의 개성을 표출하는 선택의 문제가 되었다. 즉 소비자의 욕구 변화를 발 빠르게 포착하지 못하면 M&S의 사례처럼 변화를 모르는 구시대적인 패션으로 전락하게 된다.
둘째, 철저한 마케팅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야 할 것이다. 의류산업은 과거 봉제 산업으로 인식되는 1차 산업이 아닌 최첨단 서비스 산업으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의류산업의 부가가치는 마케팅에서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무리 봉제가 꼼꼼하고 품질이 좋아도 브랜드 이미지가 없는 제품은 성공할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셋째, 수평적 비즈니스 Network 구축을 해야 할 것이다. 그로 인하여 각 단계별 창조적이고 독립적 역할이 강화될 것이다. 기획부터 판매에 이르는 제품 싸이클을 빠르게 돌리기 위한 각 분야의 독립성과 창조력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넷째, 재고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e-비즈니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재고로 남아 세일을 하기 보다는 미리 미리 재고량을 체크하고 이를 토대로 다시 새로운 제품에 응용하는 빠른 제품 주기와 한정된 수량으로 재고량을 없이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품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판매와 feedback에 이르기까지의 업무 처리방식에 전자적 네트워크 및 관련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설비 투자 및 인터넷 기술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SPA 사업에서 변하지 않아야 할 본질적 요소가 있다. 고객에 대한 직접 판매, 정보 및 판매 시스템의 통합, 상품기획과 공급의 일관성 등이 어느 정도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자료>
www.zara.com
www.inditex.com
www.samsungdesign.net
www.apparelnews.co.kr
www.fashionchannel.co.kr
www.fastretailing.com
www.kaia.or.kr
www.qrsc.or.krwww.hankyung.com
www.hankooki.com
www.munhwa.com
  • 가격2,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4.12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