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좌굴 정의 및 사례
Ⅱ. 오일러 좌굴 이론 가정
Ⅳ. 실험결과 및 그래프
Ⅴ. 고찰
Ⅱ. 오일러 좌굴 이론 가정
Ⅳ. 실험결과 및 그래프
Ⅴ. 고찰
본문내용
2
151.655
3791.375
606.218
2
400
80
71
116.111
2902.775
692.820
3
450
64
51
91.742
2293.550
779.423
③양단고정기둥의 좌굴하중 및 좌굴응력
기둥의 번호
유효 길이(mm)
측정하중1(N)
측정하중2(N)
이론좌굴하중
(N)
좌굴응력
(kPa)
L/r
1
330
311
280
333.518
8337.950
571.577
2
380
229
199
251.525
6288.125
658.179
3
430
156
167
196.431
4910.775
744.782
⑵ 그래프
Ⅴ. 고찰
이번 실험을 통해 재료역학 시간에 배운 좌굴에 대한 이론을 다시 되새겨보고, 실험으로 좌굴하중을 측정하고 이론으로 계산한 값과 비교를 하였는데,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많이 발생 하였다. 원인을 생각해본 결과, 실험에 사용된 시편이 그동안 우리조가 실험하기 전까지의 반복된 실험으로 소성변형과 초기변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소성변형에 의한 잔류응력으로 인해 이론값보다 더 작은 하중에도 좌굴이 쉽게 일어 난 것 같다. 이 같은 원인으로 실험값과 이론값의 차이 뿐 아니라 두 번의 실험값과의 차이도 발생한 것 같다. 또, 양단고정과 일단힌지-일단고정에서 시편을 장치에 고정시킬 때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고정되도록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오차가 발생되었다고 생각한다.
좌굴은 주변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고 역학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기초적인 부분에 대해 실험을 하면서 역학적으로 생각하고 접근해 볼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다.
151.655
3791.375
606.218
2
400
80
71
116.111
2902.775
692.820
3
450
64
51
91.742
2293.550
779.423
③양단고정기둥의 좌굴하중 및 좌굴응력
기둥의 번호
유효 길이(mm)
측정하중1(N)
측정하중2(N)
이론좌굴하중
(N)
좌굴응력
(kPa)
L/r
1
330
311
280
333.518
8337.950
571.577
2
380
229
199
251.525
6288.125
658.179
3
430
156
167
196.431
4910.775
744.782
⑵ 그래프
Ⅴ. 고찰
이번 실험을 통해 재료역학 시간에 배운 좌굴에 대한 이론을 다시 되새겨보고, 실험으로 좌굴하중을 측정하고 이론으로 계산한 값과 비교를 하였는데,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많이 발생 하였다. 원인을 생각해본 결과, 실험에 사용된 시편이 그동안 우리조가 실험하기 전까지의 반복된 실험으로 소성변형과 초기변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소성변형에 의한 잔류응력으로 인해 이론값보다 더 작은 하중에도 좌굴이 쉽게 일어 난 것 같다. 이 같은 원인으로 실험값과 이론값의 차이 뿐 아니라 두 번의 실험값과의 차이도 발생한 것 같다. 또, 양단고정과 일단힌지-일단고정에서 시편을 장치에 고정시킬 때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고정되도록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오차가 발생되었다고 생각한다.
좌굴은 주변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고 역학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기초적인 부분에 대해 실험을 하면서 역학적으로 생각하고 접근해 볼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