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처용무에 관한자료
신라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에서 비롯된 가면무.
설명
유래
처용무 處容舞
신라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에서 비롯된 가면무.
설명
유래
처용무 處容舞
본문내용
에 들어가 모두 제자리로 돌아왔을 때, 흑은 뒤로 물러서고 홍은 앞으로 나가 처용 5인이 가지런히 서면 일제히 북향하고 선 다음 노래를 한다.
"산하천리국(山河千里國)에 가기울총총(佳氣鬱) 하샷다 / 금전구중(金殿九重)에 명일월(明日月)하시니 / 군신천재(君臣千載)에 회운룡(會雲龍)이 샷다 / 희희서속(熙熙庶俗)은 춘대상(春臺上)이어늘…"하고 창사(唱詞)를 가곡 우편(羽編)에 맞추어 부른다. 윗도드리가 시작되면 한삼을 좌우 어깨에 차례로 매었다가 뿌리는 동작으로 낙화유수(落花流水)를 추다가 청·홍·황·흑·백·처용의 순서로 퇴장한다.
처용무는 본디 나례(儺禮)와 같은 벽사진경(邪進慶) 의례에서 연행되던 것이 뒤에 궁중과 관아의 연향(宴享)에서 추어졌으며, 남무(男舞)로서 장엄하고 신비스러운 춤이다.
"산하천리국(山河千里國)에 가기울총총(佳氣鬱) 하샷다 / 금전구중(金殿九重)에 명일월(明日月)하시니 / 군신천재(君臣千載)에 회운룡(會雲龍)이 샷다 / 희희서속(熙熙庶俗)은 춘대상(春臺上)이어늘…"하고 창사(唱詞)를 가곡 우편(羽編)에 맞추어 부른다. 윗도드리가 시작되면 한삼을 좌우 어깨에 차례로 매었다가 뿌리는 동작으로 낙화유수(落花流水)를 추다가 청·홍·황·흑·백·처용의 순서로 퇴장한다.
처용무는 본디 나례(儺禮)와 같은 벽사진경(邪進慶) 의례에서 연행되던 것이 뒤에 궁중과 관아의 연향(宴享)에서 추어졌으며, 남무(男舞)로서 장엄하고 신비스러운 춤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