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煞)풀이와 살(煞)풀이 춤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살풀이 : 살(煞)을 풀기 위하여 행하는 무속의례
살풀이춤
개요
내용
전승자정보
이매방(李梅芳, 1927년~)
김숙자(金淑子,1927년~1991년)
살풀이 춤의 개요
유래
특징
악기
무복

본문내용

는 동작이다.
한 손 또는 두손을 밑에서 위로 펴 올리는 동작이다.

몸의 움직임은 없이 수건만 어느 한 방향으로 꼬리치는 것을 말한다.
두 손으로 수건 끝을 잡고 머리위에서 곱게 돌리는 것이다.

제자리에서 두손을 벌리고 발디딤은 그래도 한 채 장단과 장단 사이에 한 번씩 무릎과 목 등의 관절의 힘을 살짝 빼는 동작을 하면서 무겁게 뒤로 회전한다.
한손을 옆으로 펴거나 두 손을 옆으로 펴고 번갈아 가면서 손목을 틀어 엎었다 뒤집었다 하는 춤을 춘다.
수건을 앞으로 뿌리는 동작이다.
수건을 머리 위로 올려 뒤로 젖혀서 뿌리는 동작이다.
제자리에서 한 장단 또는 반장단에 느리고 부드럽게 도는 동작이다.
제자리에서 한 장단에 빠르게 도는 동작이다.
장단과 장단 사이에서 시동하는 발을 바꾸어 걸어가는 동작으로, 춤판을 넓게 돌아다닐 때 행하는 발디딤이다.
빠른걸음으로 완자무늬처럼 걸어가는 동작이다.
까치가 걸어가듯 발 앞꿈치로 빠르게 걸어가는 동작이다.
한 발을 앞이나 옆으로 가볍게 올려내리는 동시에 뒷발을 곧장 따라 붙인다. 이러한 동작은 보통 빠른 장단에만 쓰인다.
악기
악기편성은 삼현육각으로 되어 있는데, 피리2, 대금, 해금, 장고, 아쟁, 북 등을 쓰고 있으나 한영숙 살풀이춤에는 가야금, 거문고가 자주 추가되고 있으며, 꽹과리, 징, 태평소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반주는 처음에 ‘느린 살풀이'의 애조띤 가락으로 시작하였다가 가락이 빨라지면서 ‘잦은 살풀이'로 기쁘게 승화되고, 마지막에 가서 ‘느린 살풀이'로 조용하게 끝이 난다.
무복
살풀이춤의 무구인 수건에 대해서도 자세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살풀이춤의 핵심적인 형식은 손에 수건을 들고 무악인 ‘살풀이'에 맞추어 추는 것이다.이매방은 창호지를 여러 갈래로 오려서 만든 것으로 넋을 상징하는 남도 굿에서의 돈전(지전(紙錢)) 이 기방에서 무용화됨에 따라 명주수건으로 대신하여 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한다.
흰 치마 흰 버선. 흰 저고리 에 완자무늬 금박 또는 은박이 박힌 옷고름 차림을 한다. 흰색의 명주수건을 들고 추거나 옥색 치마저고리나 남치마에 옥색저고리 차림으로 머리엔 옥색비녀나 흰 비녀를 꽂고 쪽머리에 붉은 댕기나 드리워지게 차리기도 한다.
한영숙은 무속과는 관계없이 기녀들이 평상시에 지나다가 춤을 출 때 사용하던 수건을 한성준이 무대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아름답게 미화시킨 긴 명주수건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살풀이춤의 흰색 수건이 넋을 상징한다면 그 넋은 생과 사의 세계를 넘나들면서 죽음과 현세와 단절이 아닌 또 하나의 이별로서의 차원이 다른 하나의 삶으로 받아들여 절망하지 않고 삶의 순환과정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한다고 보여 진다.
복식은 먼저 흰 바지, 저고리(명주)를 입고 그 위에 쾌자를 입는다. 쾌자의 겉빛은 연분홍색이며 안은 대추색이다. 다시 그 위에 동정을 뒤로 젖힌 옥색 무동복을 입는다. 소매는 곡선 밑으로 살린 붕어소매, 붕어소매(또는 재리배, 배래)의 소맷자락이 유연한 곡선을 이룬다.
흰 수건은 명주 길이 석자(1m 50cm), 폭은 (약50cm)정도다. 이매방류 살풀이춤에서 남성은 남바위, 여성은 아얌을 쓰며 여성은 녹색치마, 자주옷고름 달린 녹색저고리나 흰색치마, 자주고름의 흰색 저고리를 입는다. 남바위는 술로 장식되며 가장자리에는 금사로 목숨 수자가 수를 놓은 것과 비취, 호박, 풍장의 보석장식이 달려있다.
남바위의 테는 바탕색과 검정색 털이 붙어있다. 주로 붉은 계통의 색깔이 사용되어 지는데 이 붉은 계통은 원시적으로 민예적인 장식에 즐겨 사용되었으며 민족 고유의 복장에 원래 많이 이용되었다. 그 이유는 초록의 보색으로 각별히 아름답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13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