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학용품사용법과 스스로학습법,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소집단학습법과 교과서활용법,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예습과제관리법 및 거수와 발표방법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학용품사용법과 스스로학습법,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소집단학습법과 교과서활용법,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예습과제관리법 및 거수와 발표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필요성

Ⅲ.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학용품 사용법
1. 글씨 쓰는 방법 영역
1) 연필 준비
2) 연필 잡기
3) 쓰는 자세
4) 글씨 쓰기
2. 학용품 사용방법 영역에서는 이름표 붙이기, 사용방법의 규범
1) 이름표 붙이기
2) 사용 방법

Ⅳ.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스스로 학습법
1.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
2. 공부하는 마음가짐
3. 문제해결을 잘 하는 방법
1) 처음
2) 가운데
3) 마지막
4. 스스로 하는 공부는 이렇게
1) 예습
2) 공부시간
3) 복습
5) 생각하는 힘을 기르려면
6) 자유연구 활동을 잘 하려면

Ⅴ.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소집단 학습법
1. 사고의 훈련
2. 대화 지도
1) 대화 형태
2) 대화 방법
3) 학습 활동의 기초 기능 숙달 순서
4) 학습 안내자

Ⅵ.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교과서 활용법
1. 학습목표와 성취 계획을 제시한다
2. 교과서에 있는 난해한 설명이나 용어 밑 구절을 알기 쉽게 이해하기 쉬운 평이한 말로 바꾸어 본다
3. 사실과 의견과 그에 따른 이유를 구별하는 습관을 기른다
4. 추상적인 것은 구체화한다
5. 판단에 의해서 기술된 문장은 그 이유나 근거를 생각하게 한다
6. 불명확한 것을 명확하게 한다
7. 삽화나 도표를 첨가한다. 교과서의 미흡한 내용이나 불분명한 곳에 삽화나 도표를 첨가하여 이해를 보다 구체화하여야 한다
8. 활용의 다면(多面)ㆍ다양화를 기한다
9. 견출표를 이용한다

Ⅶ.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예습과제 관리법
1. 예습 과제
2. 예습과제의 해결과 활용
3. 과제 학습

Ⅷ.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악기다루는 방법
1. 탬버린
2. 캐스터네츠
3. 트라이앵글
4. 큰 북
5. 작은 북
6. 심벌즈
7. 실로폰
8. 단소
1) 연주 자세
2) 손잡는 법
9. 장구
10. 리코더
1) 연주 방법
2) 연주 자세
11. 멜로디언

Ⅸ.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거수와 발표 방법
1. 거수하는 방법
2. 발표하는 방법
1) 발표하는 자세
2) 발표하는 요령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서 연주 할 경우는 양손을 비껴서 연주한다.
7. 실로폰
채는 머리에서 2/3 정도 되는 부분을 가볍게 잡는다.
집게손가락의 첫째 마디와 엄지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쥐며 다른 손가락은 가볍게 붙인다.
손의 각도는 직각에 가깝도록 하며 보통 왼손의 채가 앞에 오도록하고 손목이 음판과 나란히 되게 한다. 어깨와 팔의 힘을 뺀 다음 편안한 자세로 실로폰에서 조금 떨어져서 연주한다.
실로폰은 원래 서서 연주하는 악기이므로 되도록 서서 연주할 수 있어야 한다.
8. 단소
1) 연주 자세
자연스럽게 앉아 허리를 똑바로 편 다음 머리를 약간 숙이고 악기를 약 45°정도 세우고 취구(U자 홈이 파인 곳)를 아랫입술에 갖다 댄다.
시선은 전방을 향해 약 15°아래로 두고 자연스러운 상태로 가볍게 악기를 쥔다.
2) 손잡는 법
왼손 엄지손가락은 제1공(뒷구멍)을 막고, 식지 집게손가락으로 제2공(앞의 맨 윗구멍)을, 가운데 손가락으로 제3공으로 막는다.
오른손 가운데 손가락으로 제4공을 막으며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악기를 지탱한다.
제 5공은 일반적인 연주에서 사용되지 않으며 나머지 손가락은 악기에 가볍게 올려놓는다.
특히 단소는 빠르고 복잡한 가락을 많이 연주하기 때문에 팔이나 손목 또는 손가락 마디에 이르기까지 절대로 힘을 주어서는 안 되며 손가락 끝마디로 가볍게 구멍을 막았다가 떼어야 한다.
9. 장구
<연주 방법>
덩(), 덕(), 쿵(○), 더러러러() 기덕(¡) 등이 있다.
이 름
부호
구 음
연주방법
합장단(쌍)

북편(왼쪽)과 채편(오른쪽)을 동시에 친다.
북편(고)


왼손으로 궁글채를 가볍게 잡고 북편을 친다.
채편(편)


오른손으로 열채를 가볍게 잡고 채편을 친다.
채굴림(요)

더러러러
채로 채편을 굴려 친다.
기덕(겹)
¡
기덕
채편을 겹쳐 친다.
장구는 오른손에 40여cm의 채를 쥐고 채편(말가죽을 이용하여 소리가 높다.)을 치는데 채편을 치는 법에는 2가지가 있다.
복판(북면의 가운데)을 치는 경우 : 대편성의 큰 합주에는 복판을 친다.
변죽(가장자리)을 치는 경우 : 독주나 독창 및 소규모의 합주에는 변죽을 쳐서 음량의 조화를 이룬다.
왼쪽 북편(쇠가죽을 이용하여 소리가 낮다.)은 음악이나, 무용의 반주에서는 왼손 손바닥으로 치며, 농악이나 사물놀이에서는 소리를 크게 내기 위하여 궁글채를 쓰기도 한다.
10. 리코더
1) 연주 방법
텅깅(Tonguing, 혀의 움직임)
바른 텅깅 방법을 익혀야 음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소리 낼 수 있으며 악곡의 표현을 풍부하고 아름답게 할 수 있다.
텅깅은 음역에 따라 혀의 움직임의 세기를 알맞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낮은 음일수록 부드러운 텅깅을, 높은 음일수록 센 입김으로 연주해야 한다.
호흡
안정된 마음의 자세가 필요하고 고르게 다듬어진 호흡이 유지 되어야 정확한 음정과 아름다운 음색을 낼 수 있다.
운지
손가락으로 리코더의 구멍을 정확하고 바르게 막거나 여는 것이 중요하다. 손가락 마지막 마디의 통통한 부분으로 가볍게 그러나 완전하게 막아야 정확한 음을 낼 수 있다.
2) 연주 자세
악기는 몸으로부터 45°정도 유지하고 왼손은 위로 오른손은 아래로 하여 악기를 잡는다.
웃는 표정을 하고 취구에 입술을 살며시 밀어 넣는다. 이 때 깊게 물면 어두운 소리가 나며 혀의 움직임에 방해가 된다.
연주 중 악기 속에 물방울이 생기면 립(lip)을 손가락으로 막고 ‘훗’하고 불어 준다.
11. 멜로디언
<연주 자세>
앉아서 연주하기 : 책상 위에 악기를 놓고 공기 파이프를 연결하여 왼손은 악기를 잡고 오른손은 건반을 눌러 연주한다.
서서 연주하기 : 공기 파이프 대신 취구를 끼우고 오른손으로 연주한다. 이 때 악기를 약간 경사지게 하여 건반이 보이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운지법 : 오르간 운지법과 같이 손가락을 둥글게 하여 세우고 부드럽게 누른다.
텅깅 : 배를 이용하여 충분한 공기를 제공하면서 비교적 센 혀의 움직임으로 불어야 한다.
같은 음의 계속 : 같은 음이 계속 나타날 때에는 손가락은 그대로 두고 텅깅만을 반복하는 것이 좋다.
Ⅸ. 기초기본학습훈련(학습방법학습)의 거수와 발표 방법
1. 거수하는 방법
손을 드는 자세
눈은 선생님과 마주 본다.
왼팔을 ‘ㄴ’자 모양으로 굽히고, 손바닥을 펴서 손끝이 귀의 높이가 되게 올린다.
‘예, 예!’ 저요, 저요!‘하는 소리를 내지 않고 조용히 손만 든다.
다른 학생이 발표할 때는 일단 손을 내리고 듣는다.
♣ 반성 : 여러 학생 앞에서 형식과 경우에 적절하게 거수할 수 있는가?
2. 발표하는 방법
1) 발표하는 자세
걸상에서 일어나 자연스러운 자세로 옆으로 나와 선다.
손은 책상을 짚지 않고 자연스럽게 늘어뜨린다.
표정을 부드럽게 하고, 듣는 학생이 많은 쪽을 향한다.
여러 학생이 들을 수 있는 목소리로 똑똑하고 정확하게 발표한다.
지명을 받았을 때는 ‘네’하고 짧게 대답한 후 발표한다.
메모장이나 학습장을 보며 말할 때에는 왼손으로 좌측 가슴의 높이로 들고 보면서 발표한다.
앞에 나가서 발표할 때에는 칠판의 중간에서 1m 정도 앞으로 나가서며, 기록장은 왼손에, 지휘봉은 오른손에 들고 제시된 자료의 오른쪽에 서서 발표한다.
말의 고저, 장단, 리듬감을 살려 호소력 있게 말하며, 필요한 경우 몸짓을 자연스럽게 한다.
2) 발표하는 요령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히 발표한다.
결론을 먼저 말하고 보기나 증거 등을 제시한다.
잇는 말(접속어)을 사용해서 발표한다.
전체가 들을 수 있는 알맞은 크기의 성량으로 발표한다.
‘에, 응, 어’ 등 군소리를 넣지 않고 발표한다.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발표한다.
표준어를 사용해서 발표한다.
기본 응답 요령을 익힌다.
참고문헌
강봉규(1989) - 교육심리학, 형설출판사
광주교육대 부속초등학교(1999) -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의 학습
명장초등학교(1999) - 신나는 말하기·듣기 3
원영신·윤용진(1998) - 움직임 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음 세대
웅천초등학교(1999) - 기본학습 창의적 활동
한국교육개발원(1990) - 학습전략 훈련 프로그램 개발연구(III) 연구보고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4.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