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본문내용
(5)변이계수
변이계수는 분산의 상대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계치이다. 평균값이 상이한 자료들의 분산도를 정화하게 비교하기 위해서 평균의 변화를 받지 않는 비교기준이 필요한 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변이계수이다. 변이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누어서 구하며, 때로는 이 값에 100을 곱한 값을 이용하기도 한다.
(6)표준점수
사회현상 속에 측정된 값은 그 자체로서의 의미보다는 주어진 집단 내의 분포와의 관련성 속에서 진정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된다. 표준점수는 원점수와 평균과의 차이를 표준편차로 나눈 것이다.
5)분포형태의 측정수단
자료의 가장 이상적인 분포형태는 정상분포이겠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정상분포곡선을 기준으로 좌우의 대칭성을 기준으로 보는 비대칭도와 상하의 집중도를 기준으로 보는 첨도가 있다.
(1)비대칭도
비대칭도(skewness, 편포도)는 분포의 비대칭성에 대한 특정치이다.
(2) 첨도
첨도란 변수값들이 얼마나 중아에 집중되어 있는지, 즉 분포가 뾰족한지 아니면 분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측정치이다.
2. 이원 및 다원적 기술통계분석
이원적 기술통계분석이란 두 변수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여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이원적 분석의 경우에는 변수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변수간의 관계)
제4절 추리통계에서 가설검증방법
추리통계란 표본을 통해 모집단의 특성, 즉 모수(parameter)를 추정하거나 모집단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는 통계방법을 말한다.
*모수의 추정 : 전혀 모르고 있는 모집단의 특성을 추리한다는 것.
*가설의 검증 : 표본의 통계치간의 차이나 관계가 모집단의 차이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인지 아니면 표집과정에서 우연히 생긴 결과인지를 검증.
1. 가설검증의 원리와 방법
1)가설의 종류
추리통계에서 가설은 연구가설과 영가설로 구분된다. 연구가설은 연구자가 실제로 검증해보고자 하는 가설, 영가설(귀무가설)은 연구가설에 의해 결정되는 가설로써 연구가설에 대한 일종의 반명제이다.
*가설검증을 할 때 연구가설과 영가설을 설정하는 이유는 논리적인 필요성 때문이다. 특히, 영가설을 설정하는 이유는 후건긍정의 오류를 피하기 위함이다.
*후건긍정의 오류 : 뒤에 오는 부분을 참으로 받아들이므로 앞에 부분이 참이라고 할 때 발생하는 오류.
2)유의수준과 임계치
가설검증의 경우 두 모집단으로부터 각각 표본을 추출하여 두 표본간에 차이가 있을 때 두 모집단간에 차이가 있다고 추론하게 되는데 차이가 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값을 산정하는 데 기초가 되는 값을 유의수준이라고 하며 a로 표시한다.
유의수준은 연구자가 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a=0.05나 a=0.01을 많이 사용한다.
*임계치 : 주어진 유의수준에서 영가설의 채택과 기각에 관련된 결정을 할 때 기준이 되는 점을 말한다.
3) 가설검증의 오류
일정한 유의수준을 설정하고, 그 유의수준 하에서 영가설을 채택하거나 기각하게 될 때 항상 일정한 수준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ex. 95% 신뢰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유의수준 a=0.05를 설정했다면 5%이내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2. 가설검증 추리통계
*모수적 통계 : 표본이 추출되는 모집단의 모수에 대한 몇 가지 가정에 근거한 통계.
첫째, 모집단이 정상분포를 이루고 있으며 둘째, 변수의 수준이 적어도 등간변수 이상일 것이라는 가정.
*비모수적 통계 : 모집단이 정상분포일 것이라는 가정을 하지 않고 모집단을 추리할 때 사용하는 통계로써 주로 명목 및 서열변수간 관계의 가설을 검증하는 데 사용됨.
*사회과학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가설검증 통계
카이자승 검증(명목변수간의 관계, 비모수적 통계), t-검증(두집단 비교, 모수적 통계), 변량분석(ANOVA: 세집단 이상 비교, 모수적 통계)
*카이자승 검증 : 독립변수, 종속변수 모두 명목, 서열척도인 경우 주로 사용하지만 조건만 맞으면 척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독립변수 내 각 범주별로 종속변수에서의 분포가 같은지 다른지를 검증할 때 사용한다.
* t-검증 : 독립(2개 범주로 된 척도), 종속(등간이상 서열인 경우)
Independent Samples t-tes는 독립변수는 성별, 직업 유무 등과 같이 두개의 범주를 가지고 있으며 종속변수는 등간척도 이상으로 되어 있어 종속변수의 평균차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증하는 소표본 통계. Paired Samples t-test는 동일한 표본에서 두 변수의 평균의 차이를 비교할 경우 사용한다.(ex. 금연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이전에 흡연에대한 인식과 참여 후 흡연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는가를 분석할 때 사용)
* 변령분석 : 독립변수가 2개 이상의 값을 가지면서 종속변수는 평균을 구할 수 있는 등간, 비율척인 경우,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
10장 연구계획서 및 연구보고서의 작성과 활용
제1절 연구계획서의 작성 및 활용
*연구계획서의 내용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기존 문헌 검토
3. 연구대상 및 범위
4. 측정
5. 자료수집방법
6. 분석방법
7. 연구일정
8. 예산 : 외부의 지원을 받는 연구인 경우 예산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수.
위의 요소를 고려하여 연구계획서를 제출할 경우 일반적인 양식
*표지 : 연구제목, 연구자성명, 연락처
*연구의 요약문
*연구의 목적과 배경
*기존연구의 검토
*연구의 방법과 범위
*연구의 공헌과 한계
*연구의 내용
*잠정적인 결론 : 예상되는 기대 효과 및 활용도
*연구일정
*참고문헌
*부록 : 설문지, 면담지 등.
제2절 연구보고서의 작성 및 활용
연구보고서의 작성은 조사연구의 마지막 단계가 된다.
1. 연구보고서의 기능
* 구체적인 자료외 이에 대한 생각 및 해석들을 독자들에게 전달
* 전문적 지식체계에 기여
2. 연구보고서 작성할 때 고려사항
* 독자를 고려한다.
* 연구보고서의 형태에 따라 형식과 길이를 조절한다.
* 목적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연구보고서의 구성
단행본 형태의 연구보고서의 구성
* 제목 및 표지
* 목차
* 요약
* 서론
* 본론
* 결론 및 제언
* 부록
변이계수는 분산의 상대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계치이다. 평균값이 상이한 자료들의 분산도를 정화하게 비교하기 위해서 평균의 변화를 받지 않는 비교기준이 필요한 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변이계수이다. 변이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누어서 구하며, 때로는 이 값에 100을 곱한 값을 이용하기도 한다.
(6)표준점수
사회현상 속에 측정된 값은 그 자체로서의 의미보다는 주어진 집단 내의 분포와의 관련성 속에서 진정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된다. 표준점수는 원점수와 평균과의 차이를 표준편차로 나눈 것이다.
5)분포형태의 측정수단
자료의 가장 이상적인 분포형태는 정상분포이겠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정상분포곡선을 기준으로 좌우의 대칭성을 기준으로 보는 비대칭도와 상하의 집중도를 기준으로 보는 첨도가 있다.
(1)비대칭도
비대칭도(skewness, 편포도)는 분포의 비대칭성에 대한 특정치이다.
(2) 첨도
첨도란 변수값들이 얼마나 중아에 집중되어 있는지, 즉 분포가 뾰족한지 아니면 분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측정치이다.
2. 이원 및 다원적 기술통계분석
이원적 기술통계분석이란 두 변수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여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이원적 분석의 경우에는 변수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변수간의 관계)
제4절 추리통계에서 가설검증방법
추리통계란 표본을 통해 모집단의 특성, 즉 모수(parameter)를 추정하거나 모집단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는 통계방법을 말한다.
*모수의 추정 : 전혀 모르고 있는 모집단의 특성을 추리한다는 것.
*가설의 검증 : 표본의 통계치간의 차이나 관계가 모집단의 차이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인지 아니면 표집과정에서 우연히 생긴 결과인지를 검증.
1. 가설검증의 원리와 방법
1)가설의 종류
추리통계에서 가설은 연구가설과 영가설로 구분된다. 연구가설은 연구자가 실제로 검증해보고자 하는 가설, 영가설(귀무가설)은 연구가설에 의해 결정되는 가설로써 연구가설에 대한 일종의 반명제이다.
*가설검증을 할 때 연구가설과 영가설을 설정하는 이유는 논리적인 필요성 때문이다. 특히, 영가설을 설정하는 이유는 후건긍정의 오류를 피하기 위함이다.
*후건긍정의 오류 : 뒤에 오는 부분을 참으로 받아들이므로 앞에 부분이 참이라고 할 때 발생하는 오류.
2)유의수준과 임계치
가설검증의 경우 두 모집단으로부터 각각 표본을 추출하여 두 표본간에 차이가 있을 때 두 모집단간에 차이가 있다고 추론하게 되는데 차이가 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값을 산정하는 데 기초가 되는 값을 유의수준이라고 하며 a로 표시한다.
유의수준은 연구자가 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a=0.05나 a=0.01을 많이 사용한다.
*임계치 : 주어진 유의수준에서 영가설의 채택과 기각에 관련된 결정을 할 때 기준이 되는 점을 말한다.
3) 가설검증의 오류
일정한 유의수준을 설정하고, 그 유의수준 하에서 영가설을 채택하거나 기각하게 될 때 항상 일정한 수준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ex. 95% 신뢰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유의수준 a=0.05를 설정했다면 5%이내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2. 가설검증 추리통계
*모수적 통계 : 표본이 추출되는 모집단의 모수에 대한 몇 가지 가정에 근거한 통계.
첫째, 모집단이 정상분포를 이루고 있으며 둘째, 변수의 수준이 적어도 등간변수 이상일 것이라는 가정.
*비모수적 통계 : 모집단이 정상분포일 것이라는 가정을 하지 않고 모집단을 추리할 때 사용하는 통계로써 주로 명목 및 서열변수간 관계의 가설을 검증하는 데 사용됨.
*사회과학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가설검증 통계
카이자승 검증(명목변수간의 관계, 비모수적 통계), t-검증(두집단 비교, 모수적 통계), 변량분석(ANOVA: 세집단 이상 비교, 모수적 통계)
*카이자승 검증 : 독립변수, 종속변수 모두 명목, 서열척도인 경우 주로 사용하지만 조건만 맞으면 척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독립변수 내 각 범주별로 종속변수에서의 분포가 같은지 다른지를 검증할 때 사용한다.
* t-검증 : 독립(2개 범주로 된 척도), 종속(등간이상 서열인 경우)
Independent Samples t-tes는 독립변수는 성별, 직업 유무 등과 같이 두개의 범주를 가지고 있으며 종속변수는 등간척도 이상으로 되어 있어 종속변수의 평균차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증하는 소표본 통계. Paired Samples t-test는 동일한 표본에서 두 변수의 평균의 차이를 비교할 경우 사용한다.(ex. 금연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이전에 흡연에대한 인식과 참여 후 흡연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는가를 분석할 때 사용)
* 변령분석 : 독립변수가 2개 이상의 값을 가지면서 종속변수는 평균을 구할 수 있는 등간, 비율척인 경우,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
10장 연구계획서 및 연구보고서의 작성과 활용
제1절 연구계획서의 작성 및 활용
*연구계획서의 내용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기존 문헌 검토
3. 연구대상 및 범위
4. 측정
5. 자료수집방법
6. 분석방법
7. 연구일정
8. 예산 : 외부의 지원을 받는 연구인 경우 예산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수.
위의 요소를 고려하여 연구계획서를 제출할 경우 일반적인 양식
*표지 : 연구제목, 연구자성명, 연락처
*연구의 요약문
*연구의 목적과 배경
*기존연구의 검토
*연구의 방법과 범위
*연구의 공헌과 한계
*연구의 내용
*잠정적인 결론 : 예상되는 기대 효과 및 활용도
*연구일정
*참고문헌
*부록 : 설문지, 면담지 등.
제2절 연구보고서의 작성 및 활용
연구보고서의 작성은 조사연구의 마지막 단계가 된다.
1. 연구보고서의 기능
* 구체적인 자료외 이에 대한 생각 및 해석들을 독자들에게 전달
* 전문적 지식체계에 기여
2. 연구보고서 작성할 때 고려사항
* 독자를 고려한다.
* 연구보고서의 형태에 따라 형식과 길이를 조절한다.
* 목적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연구보고서의 구성
단행본 형태의 연구보고서의 구성
* 제목 및 표지
* 목차
* 요약
* 서론
* 본론
* 결론 및 제언
* 부록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사의 주요 단계와 절차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
[사회복지조사론 공통, 교육학과 3학년] 양적 조사를 수행한 논문이나 보고서 중 하나를 선정...
[사회복지조사론] 사회조사방법의 성격과 과정 - 조사연구의 성격과 조사연구의 목적 및 분석...
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와 조사연구의 관계,역사적 변천, , 개념, 사회과학과 관계, 조사방법론
사회복지조사방법의 형태와 절차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조사의 통계처리방법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기능에 따른 종류, 변수의 수 및 관계에 ...
사회복지와 관련하여 어떤 상황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하고, 왜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
(사회복지조사론 공통)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사회복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조사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과학...
[2017 사회복지조사론 3공통]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
(사회복지조사론2017)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할...
^^사회복지조사론2017^^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
[사회복지] 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