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정도구
2. 이상의 수집된 자료에서 간호문제
3. 간호진단 및 중재
2. 이상의 수집된 자료에서 간호문제
3. 간호진단 및 중재
본문내용
6
변기에 앉고 일어서기
+
7
옷을 입고 벗기
+
8
목욕하기
+
9
걷기 또는 휠체어 타기
+
10
계단을 오르내리기
+
11)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내용
혼자 할 수 있다.
도움을 받아 할 수 있다.
전혀 못 한다.
식사준비
+
청소
+
세탁
+
전화사용
+
쇼핑
+
대중교통 이용
+
투약
+
재정관리
+
2. 이상의 수집된 자료에서 간호문제
정서적 지지 부족
3. 간호진단 및 중재
간호진단
사회지지체계의 부적절한 활용과 관련된 정서적 지지 부족
기대결과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적절한 정서적 지지를 받는다.
구체적 목표:
1. 6개월 이내에 두 아들과 월 4회 이상 전화통화를 한다.
2. 6개월 이내에 사회지지자원을 월 4회 이상 이용한다.
3. 1년 이내에 대상자는 외로움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계획 및 중재
간호계획:
1. 대상자는 두 아들과 월 4회 이상 전화통화를 한다.
-가족상담 프로그램을 연계한다.
2. 사회지지자원을 월 4회 이상 이용한다.
-취미 활동프로그램을 연계한다.
-복지관과 사회복지센터에서 노인 음악교실, 한글 교실 등을
교육 받는다.
-경로당과 교회 방문을 지지한다.
3. 대상자가 자신의 상황을 인식하고 사회지지체계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상호작용한다.
-대상자가 자신의 상황을 인식하고 외로움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주3회 30분 이상 경로당 또는 교회에서 활동하는 시간을 갖는다.
평가계획:
1. 월 통화 횟수 확인
2. 사회지지자원 이용현황 확인
3. 대상자의 사회지지자원이용 만족도조사
평가
평가계획 항목 자료 수집 결과 목표수준 달성.
변기에 앉고 일어서기
+
7
옷을 입고 벗기
+
8
목욕하기
+
9
걷기 또는 휠체어 타기
+
10
계단을 오르내리기
+
11)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내용
혼자 할 수 있다.
도움을 받아 할 수 있다.
전혀 못 한다.
식사준비
+
청소
+
세탁
+
전화사용
+
쇼핑
+
대중교통 이용
+
투약
+
재정관리
+
2. 이상의 수집된 자료에서 간호문제
정서적 지지 부족
3. 간호진단 및 중재
간호진단
사회지지체계의 부적절한 활용과 관련된 정서적 지지 부족
기대결과
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적절한 정서적 지지를 받는다.
구체적 목표:
1. 6개월 이내에 두 아들과 월 4회 이상 전화통화를 한다.
2. 6개월 이내에 사회지지자원을 월 4회 이상 이용한다.
3. 1년 이내에 대상자는 외로움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계획 및 중재
간호계획:
1. 대상자는 두 아들과 월 4회 이상 전화통화를 한다.
-가족상담 프로그램을 연계한다.
2. 사회지지자원을 월 4회 이상 이용한다.
-취미 활동프로그램을 연계한다.
-복지관과 사회복지센터에서 노인 음악교실, 한글 교실 등을
교육 받는다.
-경로당과 교회 방문을 지지한다.
3. 대상자가 자신의 상황을 인식하고 사회지지체계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상호작용한다.
-대상자가 자신의 상황을 인식하고 외로움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주3회 30분 이상 경로당 또는 교회에서 활동하는 시간을 갖는다.
평가계획:
1. 월 통화 횟수 확인
2. 사회지지자원 이용현황 확인
3. 대상자의 사회지지자원이용 만족도조사
평가
평가계획 항목 자료 수집 결과 목표수준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