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ction Research
Action Research의 목적과 장점
Action Research Project의 주요 7단계
ARP의 사례
Formal Research vs. Action Research(Mettetal, 2001)
성공적인 Action Research의 조건들
Action Research의 영향력 향상을 위한 이론 활용
Action Research 연구 사례
Action Research의 목적과 장점
Action Research Project의 주요 7단계
ARP의 사례
Formal Research vs. Action Research(Mettetal, 2001)
성공적인 Action Research의 조건들
Action Research의 영향력 향상을 위한 이론 활용
Action Research 연구 사례
본문내용
Science
Argyris와 Schon의 연구(1974)에서는 Action Research의 설계에 대한 토대를 제시하였다. 이때 두 가지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① Differences in collaborators' theories-in-action
theories-in-action은 ‘실천가의 현장과 관련된 실제적 행동’으로, 연구가 기존 연구와 유사한 상태일지라도 해당 연구의 구성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데 공유적·합의적인 접근 방식을 시도하고, 그러한 협력적 노력의 과정으로 참여자간의 theories-in-action 차이의 줄여 나가야 한다.
② Discrepancies between one's esposed theory and one's theory-in-action
esposed theories(신봉이론)는 ‘실천의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실천가의 신념’으로, 실천을 위한 기초가 된다. 이것과 실천가의 theories-in-action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3) Increasing the validity
타당도(validity)는 주로 실증주의 인식론에서 제기되어 왔는데, Action Research에서 타당 도 는 그것과 다르게 해석주의 인식론에서 질적 자료와 질적 준거가 제시되어야 한다.
Anderson과 Herr(1999)는 Action research를 평가하기 위한 다섯 가지 타당도 준거를 제시하였다.
① Outcome validity
: 연구 목적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달성해 가는지와 관련이 있다. 문제를 재규정해 가면서 새로운 연구 질문을 만들어가야 한다. 성찰과 함께 직면에 있는 문제를 드러내기 위한 새로운 실천 방법을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강조된다.
② Process validity
: 연구 단계별 처리 과정의 정확성과 관련이 있다. 관점과 자료의 다양성을 강조하는triangulation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내러티브 방법으로 연구되었을 때, 독자에게 연구자의 주관적인 설명이나 관심 영역 보다는 무엇이 나타났는지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Democratic validity
: 모든 이해 당사자의 관점과 관심사를 고려해 다양한 목소리가 들어가 있어야 한다.
④ Catalytic validity
: 현장에 잠재되어 있는 억압과 사회적 정의로부터 해방된 관점으로 인식을 바꾸는 것이다. 연구자는 자신이 지각한 것의 변화와 성찰을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⑤ Dialogic validity
: 협력적 연구를 위해서 다른 실천가, 연구자와 비판적·성찰적 대화를 나눌 있어야 한다.
이렇게 제시된 타당도의 준거들은 Action research에서의 신뢰도(credibility)와 공신력(trustworthiness)을 반영하게 된다.
Action Research 연구 사례
Lehmann, A.W.(2000). Student-generated discussion in the senior secondary English classroom. Networks: An On-line Journal for Teacher Research, 3(2). http://www.oise.utoronto.ca/~ctd/networks/
※ Discussion
1. Action Research가 갖는 장점과 교육적 의미가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실제 적용에서의 어려움과 한국의 교육 연구 풍토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은 무엇인지 논의해 봅시다.
2. 한국에서 제기되는 여러 가지 교육 쟁점 중에서 Action Research를 시행하면 성과가 있을 것 같은 주제는 무엇인지 고민해 봅시다.
Argyris와 Schon의 연구(1974)에서는 Action Research의 설계에 대한 토대를 제시하였다. 이때 두 가지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① Differences in collaborators' theories-in-action
theories-in-action은 ‘실천가의 현장과 관련된 실제적 행동’으로, 연구가 기존 연구와 유사한 상태일지라도 해당 연구의 구성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데 공유적·합의적인 접근 방식을 시도하고, 그러한 협력적 노력의 과정으로 참여자간의 theories-in-action 차이의 줄여 나가야 한다.
② Discrepancies between one's esposed theory and one's theory-in-action
esposed theories(신봉이론)는 ‘실천의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실천가의 신념’으로, 실천을 위한 기초가 된다. 이것과 실천가의 theories-in-action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3) Increasing the validity
타당도(validity)는 주로 실증주의 인식론에서 제기되어 왔는데, Action Research에서 타당 도 는 그것과 다르게 해석주의 인식론에서 질적 자료와 질적 준거가 제시되어야 한다.
Anderson과 Herr(1999)는 Action research를 평가하기 위한 다섯 가지 타당도 준거를 제시하였다.
① Outcome validity
: 연구 목적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달성해 가는지와 관련이 있다. 문제를 재규정해 가면서 새로운 연구 질문을 만들어가야 한다. 성찰과 함께 직면에 있는 문제를 드러내기 위한 새로운 실천 방법을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강조된다.
② Process validity
: 연구 단계별 처리 과정의 정확성과 관련이 있다. 관점과 자료의 다양성을 강조하는triangulation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내러티브 방법으로 연구되었을 때, 독자에게 연구자의 주관적인 설명이나 관심 영역 보다는 무엇이 나타났는지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Democratic validity
: 모든 이해 당사자의 관점과 관심사를 고려해 다양한 목소리가 들어가 있어야 한다.
④ Catalytic validity
: 현장에 잠재되어 있는 억압과 사회적 정의로부터 해방된 관점으로 인식을 바꾸는 것이다. 연구자는 자신이 지각한 것의 변화와 성찰을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⑤ Dialogic validity
: 협력적 연구를 위해서 다른 실천가, 연구자와 비판적·성찰적 대화를 나눌 있어야 한다.
이렇게 제시된 타당도의 준거들은 Action research에서의 신뢰도(credibility)와 공신력(trustworthiness)을 반영하게 된다.
Action Research 연구 사례
Lehmann, A.W.(2000). Student-generated discussion in the senior secondary English classroom. Networks: An On-line Journal for Teacher Research, 3(2). http://www.oise.utoronto.ca/~ctd/networks/
※ Discussion
1. Action Research가 갖는 장점과 교육적 의미가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실제 적용에서의 어려움과 한국의 교육 연구 풍토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은 무엇인지 논의해 봅시다.
2. 한국에서 제기되는 여러 가지 교육 쟁점 중에서 Action Research를 시행하면 성과가 있을 것 같은 주제는 무엇인지 고민해 봅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수 학습이론
미술 교수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
교수.학습 이론에 관한 고찰
2008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E형(기록작업의 교육적의미)
2007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D형(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기록작업의 교육적 의미)
2010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E형(유아교육의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
2010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D형(레지오에밀리아 프로그램 기록작업)
[교수학습이론과매체]유아교육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하고 좋은 소프트웨...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이론
교수방법론 보고서 - 제 학습이론과 교수법, 다양한 교수매체를 활용한 수업
유아교육 교수-학습 이론들 가운데 놀이를 교수-학습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활용하려는 이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