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책을_통한_언어교육홀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작가 전략
2. 협동적 학습 전략
3. 게임 전략
4. 이해를 위한 전략

본문내용

(미국도서협회, 1989)이라는 논문에서 SWBS란 Somebody, Wanted, But, So의 약어임을 밝혔다. 이것은 특히 짧은 이야기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예컨대, 누군가가 무엇을 원했으나, 문제가 있다. 그 문제는 원하는 것을 얻는데 방해가 된다. 따라서 그 누군가가 문제를 풀어야 한다.
「씩씩한 마들린느(Madeline's Rescue)」를 도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S(somebody) : 주인공
마들린느와 클라벨 향을 포함한 다른 11명의 소녀들.
W(wanted) : 원했다.
마들린느를 구한 강아지를 기르고 싶었다.
B(but) : (그런데) 문제가 있다
장학사는 강아지를 학교에서 내보내라고 했다.
S(so) : (그리도) 해결했다.
강아지가 11마리의 새끼를 낳아 학교에 다시 돌아와 11명의 소녀는 모두
강아지를 갖게 되었다.
(2) 큰 책 만들기
상업적으로 만든 큰 책은 어린이 그림책을 크게 만든 것이다. 삽화와 활자의 크기가 커서 함께 읽는 시간에 학급 전체 어린이들이 쉽게 볼 수 있다. 어린이에게 인기 있는 많은 그림책은 큰 책으로 출판되었다. 큰 책은 도서 영역에 비치하기에도 편리하며 교육적으로도 좋은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큰 책의 핵심은 큰 책이 교수 형태의 일부가 되도록 하여 교사와 어린이 모두가 최대한의 학습을 하도록 하는 것(Holdaway, 1979)이다. 교사는 상업적으로 만들어진 큰 책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교사와 어린이는 직접 큰 책을 만들 수도 있다. 어린이는 만들고 싶은 작은 책을 고르고 난 다음, 큰 책으로 만드는 작업을 한다. 즉, 그림을 그리고 큰 책 크기에 맞게 큰 글자를 쓰거나 워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적어 넣는다.
이와 같은 과정은 어린이들이 창작 이야기를 큰 책으로 만들 대도 똑같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또 다시 숲 속으로」를 읽은 후, 「공원에서」라는 제목으로 바꾸어 큰 책을 만드는 활동을 할 수 있다. 큰 책을 만든 후, 행진곡을 배경 음악으로 하고 「공원에서」를 함께 읽는 공연을 확장 활동으로 전개한다.
(3) 소리내어 읽기
총체적 언어에서는 그림책을 전체적 맥락에서 읽는 것을 강조한다. 함께 ‘읽기’ 과정은 어린이들이 인쇄된 글에 의미를 부여하는 상호 작용의 과정인 것이다(Raines & Canady, 1990).
읽기에는 혼자 조용히 읽기도 있으나 짝꿍과 함께 읽기, 큰 소리로 읽기, 반복해서 읽기, 예측하기를 위한 읽기가 있다. 이 중 큰 소리를 내서 읽는 동안 어린이는 인쇄된 글자를 자세히 살피고 글자의 소리와 의미를 예측하게 된다. 또한 어린이가 본문을 읽을 때 음미하고, 정보를 확인하는 중에 기존의 지식에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게 된다.
큰 소리로 읽는 것은 문학을 생동감 있게 하여 어린이가 등장 인물과 줄거리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리고 집중하여 듣는 능력을 길러준다.
(4) 벤다이어그램
사회 영역에서 잘 이용되는 벤다이어그램, 어린이가 비교하고 대조하는 활동을 하는 중에 개념을 이해하게 한다. 총체적 언어에서도 벤다이어그램을 활용한다. 대개 두 권의 그림책이나 인물에 대해 읽은 후에 각 원에 그 책에 해당하는 특징(차이점)을 적는다. 두 원의 겹쳐진 부분에는 공통되는 점을 기록한다.
(5) 단어 가지 만들기
단어 가지 만들기의 목적은 읽기와 쓰기의 어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그림책을 읽기 전에 그림책과 연관된 단어를 연관지어 주기 위해 단어 가지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다.
단어 가지를 만드는 방법은, 먼저 교사가 단어 하나를 큰 종이 가운데 적어 넣는다. 어린이들은 문장을 완성시키는 단어를 생각해 낸다. 생각해 낸 문장을 방사선으로 뻗어 나온 선 옆에 쓴다. 예를 들어 그림책 「아기 오리들한테 길을 비켜 주세요」로 활동을 한다면, 원 중심에 ‘오리는’이라고 쓴다.
어린이와 함께 전개한 예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가 생각한 문장을 원에서 뻗어 나간 방사선 끝에 적는 동안 어린이는 글자의 생김새를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어린이는 그 단어의 뜻을 전체적 맥락에서 이해하게 되고, 시각적으로도 볼 수 있게 된다.
단어 가지 만들기를 할 때 교사는 많은 어휘를 생각해 내도록 유도한다. 교사는 어린이들의 경험과 연관하여 생각해 보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점에 갔을 때 무엇이 있었나?”,“얼마나 즐거웠나” 와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그러는 가운데 어린이들은 알고 있는 많은 어휘를 사용하여 말할 것이며, 문장을 길게 잇거나 개념적 정의도 포함하여 설명할 것이다. 어린이들이 말할 때 사용하는 어휘는 쓰기 어휘와 연결되어 단어 벽을 만드는 데 기초가 된다.
처음에 어린이들과 단어 가지를 만들어 볼 때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주제들은 가족, 아파트, 건물, 창문, 문, 길, 작은 것, 큰 것, 나무, 벽돌, 봄, 여름, 가을, 겨울, 잔디, 꽃, 나무, 정원 나뭇잎, 시골, 들판, 가게, 카드, 동물, 그리고 유치원과 같은 것으로 어린이들에게 친숙한 것이다. 즉, 어린이의 생활과 연관된 것에서 단어를 찾고 그것으로 단어 가지 만들기를 쉽게 재미있게 전개될 수 있다.
‘단어 가지 만들기’를 하는 순서, ‘단어 벽’으로 활용하기, 그리고 어린이들과 책을 읽을 때 단어 가지에서 어린이들이 생각해 낸 단어를 발견하는 기쁨과 같은 것은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인 것이다. 단어 가지를 만들 대 교사가 유의해야 할 사항은 단어 하나하나를 가르치는 과업이 되지 않아야 한다. ‘단어 가지 만들기’는 교사와 어린이들이 공유하는 즐겁고 자연스러운 ‘생각 모으기’의 짧은 과정인 것이다.
(6) 동화 구연
동화 구연은 어린이가 이야기를 ‘짓는’ 가장 재미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글씨체, 철자법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 지우는 번거러움도 없이 그냥 ‘지어서 이야기해 보는 것’이다.
동화 구연은 짝과 함께, 대집단, 소집단, 또는 개별적으로 할 수 있다. 어린이가 혼자서 혹은 짝과 함께 이야기를 구연할 때, 가지고 있는 어휘력, 상상력, 창의력이 같지 않아 구연되는 이야기도 같지는 않을 것이다. 동화 구연은 사건의 순서 짓기, 완전한 문장 사용하기, 그리고 주의 깊게 듣기를 위한 학습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4.16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7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