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건강가족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Otto. Stinnett 계

2. Olson 계

3. Olson과 Defrain

*참고문헌

본문내용

갈등이 나타나
기는 하지만 대부분 신속하게 처리되며, 따라서 안정지향적 상태와 변화지향적 상태가
공존한다(유영주 2001:66).
Epstein, Bishol(1978)등은 캐나다의 McMaster대학 정신과에 재직하면서 가족기
능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데 뛰어난 개념적 준거 틀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McMaster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을 가족기능을 다음의 여섯 가지 측면에서 평가한다.
(1)문제해결 : 가족이 효과적인 기능을 유지하면서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모든 가족은 유사한 범위 내에서 어려움을 갖게 되지만 효과적인 가족은 문제를 해
결하고 효과적이지 못한 가족은 문제에 대처하지 못한다. 또한 건강한 가족은 가족
성원이 새로운 문제상황에 직면하면 문제에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
려는 노력을 보인다.
(2)의사소통 : 의사소통기능이란 가족 내에서 정보가 어떻게 교환되는가 하는 것으
로 이 모델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구체적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배제하고 주로 언어적 의사소통에 국한하고 있다.
(3)가족의 역할 : 가족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개인의 행동유형
이다. 과제발성을 하기 위해서는 역할이 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어야 하며, 가족성원
은 분배된 역할에서 요구하는 활동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강한 가족일수록
가족기능이 대부분의 가족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역할의 분담과 책임도 명백하다.
(4)정서적 반응성 : 정서적 반응성은 가족이 주어진 자극에 따라 적절한 내용과 절적한
양의 감정으로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정서생활을 하는 가족의
경우 질적 또는 양적인 면에서 모두 적절한 정서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
다. 적절한 수준의 정서적 반응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정서를 표현하는지는 문
화적 특성에 따라 다르다. 건강한 가족은 적절한 강도와 지속성을 가지고 다양한 정
서로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반대로 역기능적 가족은 반응하는 정서의
범주가 극도로 한정되어 있거나 반응의 질이나 양적인 면에서 항상 부적절하다.
(5)정서적 관여 : 정서적 관여란 가족 서로에 대한 관심과 배려의 양과 질의 문제로 가
족 전체가 각 개인의 관심사, 활동, 가치관에 얼마나 관심을 보이는가를 의미한다.
이 모델에서는 정서적으로 관여하는 정도에 따라 수준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있
다. 첫째, 전혀 관여하지 않는 수준으로 가족성원은 서로에게 소원하거나 무관심하
다. 둘째, 감정이 배제된 관여로 가족성원끼리의 관여는 의무감이나 다른 가족의 통
제가 필요하거나 단순한 호기심이 있을 때만 서로가 관여한다. 셋째, 자기도취적 관
여로 다른 사람에 대한 관여가 주로 자기중심적일 때 일어난다. 넷째, 공감적 관여
의 단계는 상대방의 필요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그 사람과 관계하는 바람직한 관여
의 상태이다. 다섯째, 공생적 관여의 단계로 지나치게 관여하여 가족성원의 발달장
애를 초래한다. 가장 효과적이지 못한 관여는 양극에 해당하는 관여의 결핍과 공생
적 관여에 해당한다.
(6)행동통제 : 가족성원은 지금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어떤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
하여 다른 가족성원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가족성원의 행동을
통제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고, 이 모델에서는 행동통제를 경직, 유연, 방임, 혼돈
의 4유형으로 분류하였다(김유숙,1997:258-264).
이상의 가족기능모델들(Olson등의 Circumplex모델, Beavers등의 Beavers system모델,
Epstein등의 McMaster모델)은 때개 가족체계이론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가족기능을 다
루는 구성개념들도 유사하다. 그러나 몇몇 가족기능모델은 실제로 가족에 적용하는 데 문
제가 있다. 예를 들어 척도의 문항 수가 100문항을 넘어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거나,
점수를 부호화하는 방식이나 해석하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거나, 신뢰도와 타당도
에 관련된 경험적 연구가 누적되지 못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 가운데 Olson의 순환모델
은 척도의 구성과 해석방법이 간단하여 측정이 경제적이며,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
련된 경험적 연구가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어 가장 널리 이용되는 모델 중의 하나이다(김
수연, 김득성b 1997:2).
한편 Laurence와 Bamhill(1981)에 의한 healthy family에 관한 연구는 가족을 정신병
리의 기본 단위라고 보는 가족치료적 정신의학적 관점이다. 즉, 인간의 정신건강의 근
원지가 가족이며, 병리적 현상은 가족의 기능약화불균형에서 기인한다는 것이다. 그
는 건강한 가족기능의 차원을 정체감 과정, 변화, 정보처리, 역할구조화의 4개의 차원에
서 부정적 측면이 많을 때 개인의 정신건강을 해치고 병리적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러한healthy family system에 관한 연구는 주로 가족치료 학자들의 주된 관심이 되고
있다(Ackerman, 1968; Minuchin, 1971)
(3) Olson 과 Defrain
최근에 Olson은 Defrain(1994; 1999)과 함께 가족기능의 세 가지 차원인 응집, 적응,
의사소통과 가족의 기능성, 건강성에 관해 연구를 거듭하여 더욱 향상된 좋은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건강가족을 정의함에 있어서 가족을 사회적 단위로 보고 그 내부 가족원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개인성 존중, 격려, 칭찬 등 개인발달에 강조점을 두고 있
어 미국사회가 개인중심적 사회임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 미국은 건강가정에 대
한 연구를 주로 사회학자들이 많이 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태희(2008). 건강가정론. 형지사
-최외선 외(2002). 체계론적 가족치료. 형설출판사
-정혜경(2007). 저출산과 가족정책
-정민자(2007). 건강가정기본법의 제정과 그 담론
-조은희(2007). 가족관련법의 입법적 동향에 대한 검토
-김형식 외(2008). 사회복지행정론. 양서원
-송혜림, 김소영(2007).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네트워크 구축
-양정남, 최선령(2006).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90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