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족의 사회권과 빈곤 및 우리나라 한부모가족 현실과 현황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부모가족의 사회권과 빈곤

1. 여성 사회권 측정자로서의 한부모가족 사회권
2. 한부모가족의 사회권 유형과 빈곤율
1) 한부모가족의 증가와 빈곤가구의 증가
2)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고용형태
3)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사회적 지원유형: 모성권vs노동권

Ⅲ. 우리나라 한부모가족의 현실과 사회권 진단

1. 우리나라 한부모가족 빈곤실태와 정책적 대응
1) 한부모가족 빈곤율
2) 한부모가족을 위한 정책방향과 지원수준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한부모가족이 사회적으로 배제되지
않고 온전한 삶을 살아갈 것인가는 여성 사회권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아동의 사
회권 보장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이다. 모든 개인이 성별에 관계없이, 가족형태에
관계없이 일과 가정을 양립해나갈 수 있어야 하며, 노동권과 부모권에 기초하여 기
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제도를 구성할 때 비로소 모든 사회구성원이 온전
한 시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성 사회권의 기본적 모순은 여성을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시민-노동자로 전제
하기보다는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의거한 의존적 행위자로서, 즉 가족 내 아동과
노인을 돌보는 행위로 인하여 가족(남성)에게 경제적으로 의존되는, 모순구조에 기인
한다. 이로 인해 여성의 사회권은 전업양육자일 경우에도, 노동자일 경우에도 양 트
랙(Track)에서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rloff, 1993 ; Sainsbury, 1999).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등장은 이제 새롭게 여성사회권을 조명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여성 한부모가족의 빈곤화 경우에서 명확히 드러나듯, 여성이 노동하는 주체이자 가
족을 돌보는 주체로서 양 영역에서의 권리를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여성
사회권 실현에 내재한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것은 남성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즉 남성도 노동하는 주체이자 가족을 돌보는 주체로서 양 영
역에서의 노동권과 부모권을 확보하는 것이 새로운 가족형태의 등장과 고용불안정의
일상화가 확산되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으로서의 기본적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는 방
안이다.
이상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부모가족의 사회권 실현을 위한 몇 가지 제만
을 하면, 첫째, 여성의 사회권 실현의 기본단초인 노동시장에의 접근성과 통합성 강
화가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198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50% 수준에서 정체되어 있으며, 노동시장 내 여성의 지
위는 독자적인 가족생활을 꾸려 나갈만한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노동시장 내 여성
차별적 고용관행과 성별 임금격차를 줄여나가는 장기적 방안과 함께, 단기적 방안으
로 직업훈련 강화, 직업훈련 연계 생계비 지급, 한부모 여성가장 고용할당 등을 통한
일자리 확보가 수반되어야 한다. 2005년도 근로빈곤층 여성가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여성가장은 1년 정도의 직업훈련 기간 확보와 훈련기간 중 생계비
지원, 고용연계 등을 자립적인 생활보장을 위한 방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전반적으로 여성가장석 탈빈곤을 위한 가장 실질적인 복지대책으로서의 괜
찮은 일자리로의 유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둘째, 지속적으로 고용과 가정을 양립해야만 하는 한부모가족에게 있어 질 높은
보육서비스의 확충, 더 나아가서는 방과후 프로그램의 확대와 같은 돌봄의 탈가족화
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가족 내 양육 분담이 가능치 않은 한부모가족에게 있어 경
제활동과 양육의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안정적인 보육구조의 확립과 비
용부담을 완화하는 것은 여성 가장의 유급노동 진입 장벽을 실질적으로 보완하는 정
책이다.
첫째, 출산과 양육기의 노동단절을 극복하고 가족으로의 통합과 노동시장으로의
재통합을 보장할 수 있는 육아휴직휴가 기간의 확보와 소득대체을 수준의 향상은 어
느 누구보다도 이들 한부모가족에게 필요한 정책이다.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우리나
라의 육이'직은 그 대상자의 범위도 정규직 노동자에 한정되어 있으며, 소득보전분
도 40만 원 정액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의도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소득수준이 중산
층 이상인 남성을 가진 여성들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되어 있다. 자녀를 혼자서
키워나가야 하는 한부모가족 가장에게 있어 우리나라와 같은 육아휴직제도는 이들의
탈상품화, 부모권의 권리를 부정한다. 육아휴직은 노동자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면서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노동권과 부모권이 교차되는 접
점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육아휴직제도 이용대상자 범위의 확
대는 소득대체율 수준의 향상은 부차적으로 취급되어 왔다. 향후 휴직제도 대상자
범위의 확대, 재원 확보방안 등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부모가족의 여성가장이 일과가정을 양립시켜가면서 자율적이고 독
립적인 가구를 유지해갈 수 있도록 일정한 수준의 아동양육과 연관된 소득지원이 펼
요하다. 모부자복지법 대상자석 범위와 지원액 정도를 통해서 살펴보았듯이 우리나
라에서는자녀양육에 대한직접적 소득지원은 거의 없었던 바, 양육에 대한 소득지
원 방안이 향후 사회적으로 논의가 되어야 할 것이다. 돌봄과 양육이 시민으로서의
의무이자 권리의 기초가 되도록 하려면 돌봄에 대한 사회적 가치인정과 사회분담화
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최근의 복지국가의 재편은 소득보장중심에서 근로
연계복지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뿐만 아니라 한부모가족에
게도 예외일 수 없다. 따라서 사회적 기준에 의하여(최소 30시간 이상) 일하고 있는 노
동자로서 자녀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상자에게는 양육자 역할에 기반한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해주는 방안이 강구될 수 있다.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자격기준이
순수히 경제적 소득 수준에 기초한 빈곤에 초점을 맞춰 최저생활을 보장한다는 취지
하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가족내 양육자 역할이나 돌봄에 대한사회권 보장은 담보
할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한부모가족의 빈곤이 구조화, 제도화되는 맥락에 대한
성인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 가족의 사회권과 탈빈곤이 대안적 차원에서 논의되
어야 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폴브레, 낸시(2007). 윤자영 역. 보이지 않는 가슴: 돌봄경제학, 또 하나의 문화
-조흥식 외(2006). 가족복지론. 학지사
-김영화, 이진숙, 이옥희(2006).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양서원
-장혜경(2005), 모자가족 지원정책 및 서비스 연구
-강창현(2006). 가족지원서비스공급을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구조 연구. 가족과 문화
-송다영(2005). 가족가치 논쟁과 여성의 사회권에 관한 고찰, 사회복지정책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9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