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맵][마인드맵 지도 사례]마인드맵의 의미, 마인드맵의 발달, 마인드맵의 목적, 마인드맵의 장점, 마인드맵의 교과 적용, 마인드맵의 지도 사례, 마인드맵의 훈련, 향후 마인드맵의 활성화 방안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인드맵][마인드맵 지도 사례]마인드맵의 의미, 마인드맵의 발달, 마인드맵의 목적, 마인드맵의 장점, 마인드맵의 교과 적용, 마인드맵의 지도 사례, 마인드맵의 훈련, 향후 마인드맵의 활성화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마인드맵의 의미
1. 방사사고(Radiant Thinking)의 표현
2. 사고력 중심 두뇌 계발 프로그램
3. 새로운 학습기법
4. 창의성, 기억력 증진 필기법

Ⅲ. 마인드맵의 발달

Ⅳ. 마인드맵의 목적과 장점
1. 마인드맵의 목적
2. 마인드맵의 좋은 점
3. 마인드맵을 통해 기를 수 있는 창의성 관련 요소

Ⅴ. 마인드맵의 교과 적용

Ⅵ. 마인드맵의 지도 사례
1. 준비물
2. 이렇게 지도했어요(지도의 5단계)
1) 1단계 : 생각나는 단어를 써 봐요
2) 2단계: 단어들을 분류해요
3) 3단계 : 대표 선수 뽑기(주가지 선정)
4) 4단계 : 부가지, 세부가지 뻗기
5) 5단계 : 단어를 대신할 이미지(그림) 넣기
3. 저학년 마인드맵 지도 방안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4단계

Ⅶ. 마인드맵의 훈련

Ⅷ. 향후 마인드맵의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사가 4개의 주 가지를 선정해서 제시해 줄 수도 있다.
차츰 익숙해지면 스스로 4개의 주 가지를 각자의 의도대로 선정하도록 한다.
4) 4단계
· 주 가지와 관련된 하위 가지 뻗어 나가기-(부가지가 됨)
· 부 가지와 관련된 하위 가지 뻗어 나가기-(세부가지가 됨)
Ⅶ. 마인드맵의 훈련
가. 사고 확장 연습-가장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 단어나 이미지를 중심 이미지로 그리고 연결돼 나오는 부 가지들을 자유롭게 작성하다 보면 마인드맵에 자신을 갖게 되며, 사고가 확장되어서 상상력, 추리력이 발달된다.
나. 편지나 일기 써 보기-부담이 적은 일기를 매일 마인드맵으로 만들어서 써 보고 일기에 숙달된 후, 편지로 방향을 바꾼다.
다. 아이디어 발상-일상 생활에서 글감과 연관된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즉시 미니 마인드맵으로 작성한다.
라. 노트 필기 활용- 책제목을 중심 이미지로, 장 제목을 주 가지로, 소제목을 첫 번째 부 가지로, 단어들을 가지로 연결하면서 마인드맵을 만든다.
마. 회의-친구나 가족들과의 가벼운 대화, TV의 대담 프로나 이야기 쇼 등을 마인드맵으로 기록하다 보면 시간 절약과 결정이 용이하고, 상대방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과 자신의 의사도 분명하고 조리 있게 표현하는 능력이 생긴다.
Ⅷ. 향후 마인드맵의 활성화 방안
우선 아침 교과 시간 전, 러그미팅 때 발표할 다양한 정보를 종류에 따라(날씨, 새소식, 독후감, 연구·조사한 내용) 간단한 마인드맵으로 작성하면 주의 집중과 함께 발표에 자신이 없어하는 아동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연구조사 활동의 일환으로 소그룹 단위의 주제학습이나 보다 광범위한 탐구활동인 프로젝트 학습의 개요를 작성할 때,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협력학습에 의한 수업방법인 지그소우(Jigsaw) 학습과정에서 각기 조사한 학습 내용을 마인드맵으로 작성하여 발표력을 키울 수 있고, 상호평가와 반성도 집단별 마인드맵으로 만들어 다음 학습 때 고쳐서 더 나은 발표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흥미와 관심이 있는 과제를 선택하여 자율적으로 활동하는 오픈타임에서는 마인드맵을 적용함으로써 자신의 고유한 방법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남의 간섭이나 규제를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즐거운 마음으로 활동할 수 있다.
학습시간 외에 아동 각자 자유롭게 무엇이나 기록할 수 있는 낙서장, 또는 상상력 기록장, 푸른 꿈 공책 등의 이름을 붙인 공책을 가지고 다니며 언제, 어디에서나 떠오르는 기발한 생각이나 상상을 마인드맵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내재된 잠재력과 창의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한다.
교실 환경을 꾸밀 때, 주간 또는 월행사 계획에 이용하면 많은 글을 쓸 때보다 더 기억하기 쉽다. 그 외 교실 한 쪽 벽면에 아동 전체가 이용할 수 있는 백지에 교사나 아동이 의도적으로 주지시키고자 하는 내용을 중심 이미지로 그려주거나, 신문의 주요 기사 중 핵심 단어나 그림을 오려 붙여 주고 나머지 가지들을 아무나 메워 갈 수 있게 한다면 그날의 주제에 따라 사고의 폭을 넓혀 가며 ‘나’ 혼자만이 아닌 ‘우리’라는 공동체 속에서 연대감을 느끼게 되는 계기도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교사들의 능력에 따라 응용할 수 있는 학습 영역이 많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현석 외 3명(2007), 논술 실전 창의력 훈련, 삼성출판사
김정희(1994), 시각적 사고와 감상교육의 연관성, 사향미술교육학회, 서울교육대학교 미술연구학회
이성호(1999), 교수방법론, 서울 : 열화당
이영만(2001), 통합 교육 과정, 서울 : 학지사
존R앤더슨, 인지심리학, 을유문화사
한국 부잔센터(2006), 사고력 중심의 두뇌 개발 프로그램, 반갑다 마인드맵, 사계절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9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