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유교의 의의
Ⅱ. 유교의 종교화
Ⅲ. 유교의 결혼관
Ⅳ. 유교의 대동세계
Ⅴ. 유교의 개혁운동
Ⅵ. 유교의 양심
Ⅶ. 유교의 삼대문제
참고문헌
Ⅱ. 유교의 종교화
Ⅲ. 유교의 결혼관
Ⅳ. 유교의 대동세계
Ⅴ. 유교의 개혁운동
Ⅵ. 유교의 양심
Ⅶ. 유교의 삼대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교에 헌신적이라 교화가 활발하다. 그러나 유교의 교화는 극히 소극적인지라, 그 발전을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더구나 현시대는 세계문호가 널리 열리고, 인류가 경쟁하는 시대이므로 공맹지도의 공덕을 널리 실현히기 위해서는 그 교화에 전력투구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 근거는 역시 오심의 양지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양지는 사람 마음의 주인으로 그것은 유행불식의 원리, 범응불체의 원리, 생생불식의 역동적 원리이기 때문이다(왕양명실기, 전서 권중, 48쪽). 무한동력의 실체인 양지가 오심의 주인인 이상, 적극적 교화는 오심의 양지에 합당한 교화라 할 수 있다.
셋째, 지리한만한 주자학을 개량하여 간이직절한 양명학에 종사하자는 것이다. 겸곡에 의하면 주자학은 그 학문의 범위가 넓어서 미치지 않는 곳이 없으나 지리하고 한만하므로 일생을 공부해도 해득하기 어려운 것이 그 결점이다. 현대는 각종 과학이 날로 발전하고 인생사업이 날로 빨라지는 시대이므로, 지리한만한 주자학에 종사하기 어렵게 되었다. 즉 간이직절한 양명학으로 전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가 양명학으로 유교를 개혁하려는 그 중요한 이유는 양명학은 간이직절할 뿐 아니라 실용적이기 때문이다. 그는 양명학의 치양지는 직지본심으로 초범입성하는 길이며, 지행합일은 심술지미에 있어서 성찰법이 긴절하고 사물응용에 있어서는 과감력이 활발한 법문이라 하며, 양명파의 기절이 뛰어나고 사업에 있어서도 뛰어난 공효가 많은 것도 바로 양명학이 간단절요하고 실천적인 활법의 덕택이라 하여 양명학을 현시대적 유학으로 적극 권장하였다. 따라서 그는 공맹지도의 전통을 잃지 않고 그것을 활성화하고자 한다면 필히 간단직절한 법문인 양명학으로 후진을 지도해야 함을 역설하였다(동게서, 47쪽). 이로써 보면 양명학의 간이성, 실용성은 양명학의 특성으로 양지에 부합되는 것으로 과학시대의 정신에도 합당하여 이는 널리 인류의 종교로 발전할 수 있는 요소라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겸곡의 유교구신론은 곧 유교가 민중을 위한 종교, 전 인류를 위한 종교로 크게 발전할 수 있는 활로를 제시하고 있다. 즉 특수층의 유교를 일반대중의 유교로, 구세주의 지향에 소극적 교화를 적극적 교화로, 지리한만한 주자학을 간이직절한 양명학으로 일대 전환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 유교구신론의 민중종교 지향 · 적극적 교화 지향 · 교리의 간이성 실용성은 유교만이 아닌 전통종교 즉 유·불·도 삼교가 인류의 종교로 거듭 발전할 수 있는 삼대원칙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형효 외, 민본주의를 넘어서 : 동양의 민본사상과 새로운 공동체 모색, 서울 : 청계, 2000
금장태,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전통문화연구회, 1995
이성배, 유교와 그리스도교, 왜관 : 분도출판사, 1979
장승구, 유교의 민본주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2000
한종만, 유교와 불교의 현실관, 원광대학교 출판국, 1981
함재봉, 유교, 자본주의, 민주주의, 서울 : 전통과 현대, 200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선조 유교사상과 유교정치문화, 1992
셋째, 지리한만한 주자학을 개량하여 간이직절한 양명학에 종사하자는 것이다. 겸곡에 의하면 주자학은 그 학문의 범위가 넓어서 미치지 않는 곳이 없으나 지리하고 한만하므로 일생을 공부해도 해득하기 어려운 것이 그 결점이다. 현대는 각종 과학이 날로 발전하고 인생사업이 날로 빨라지는 시대이므로, 지리한만한 주자학에 종사하기 어렵게 되었다. 즉 간이직절한 양명학으로 전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가 양명학으로 유교를 개혁하려는 그 중요한 이유는 양명학은 간이직절할 뿐 아니라 실용적이기 때문이다. 그는 양명학의 치양지는 직지본심으로 초범입성하는 길이며, 지행합일은 심술지미에 있어서 성찰법이 긴절하고 사물응용에 있어서는 과감력이 활발한 법문이라 하며, 양명파의 기절이 뛰어나고 사업에 있어서도 뛰어난 공효가 많은 것도 바로 양명학이 간단절요하고 실천적인 활법의 덕택이라 하여 양명학을 현시대적 유학으로 적극 권장하였다. 따라서 그는 공맹지도의 전통을 잃지 않고 그것을 활성화하고자 한다면 필히 간단직절한 법문인 양명학으로 후진을 지도해야 함을 역설하였다(동게서, 47쪽). 이로써 보면 양명학의 간이성, 실용성은 양명학의 특성으로 양지에 부합되는 것으로 과학시대의 정신에도 합당하여 이는 널리 인류의 종교로 발전할 수 있는 요소라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겸곡의 유교구신론은 곧 유교가 민중을 위한 종교, 전 인류를 위한 종교로 크게 발전할 수 있는 활로를 제시하고 있다. 즉 특수층의 유교를 일반대중의 유교로, 구세주의 지향에 소극적 교화를 적극적 교화로, 지리한만한 주자학을 간이직절한 양명학으로 일대 전환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 유교구신론의 민중종교 지향 · 적극적 교화 지향 · 교리의 간이성 실용성은 유교만이 아닌 전통종교 즉 유·불·도 삼교가 인류의 종교로 거듭 발전할 수 있는 삼대원칙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형효 외, 민본주의를 넘어서 : 동양의 민본사상과 새로운 공동체 모색, 서울 : 청계, 2000
금장태,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전통문화연구회, 1995
이성배, 유교와 그리스도교, 왜관 : 분도출판사, 1979
장승구, 유교의 민본주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2000
한종만, 유교와 불교의 현실관, 원광대학교 출판국, 1981
함재봉, 유교, 자본주의, 민주주의, 서울 : 전통과 현대, 200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선조 유교사상과 유교정치문화, 1992
추천자료
고려시대의 종교상 고찰 - 유교와 불교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경제발전과 유교와의 관계
우리나라 현대 정치와 유교
조선시대 선비정신과 유교정치문화의 특징적 성격
귀신신앙의 발전과 유교적 내세관
삼국유사 속에 등장하는 유교
공자와 맹자의 이론에서 반추한 유교와 교육간의 관계 조망의 글
오늘날 동아사아 유교
(유아교육개론) 유교의 유아교육 발표용 PPT
유아교육개론: 유교의 유아교육 보고서
(신)자유주의와 유교공동체주의의 윤리관 비교
[감상문] 유교 2500년의 여행
한국문화의 특성 (유교의 문화, 불교의 문화, 도교의 문화, 무속신앙의 문화)
[종교와 경제] 유교와 여성 그리고 페미니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