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장자 道(도)개념][장자 예술관][비유][노자][노자 사상][노자 도덕경]장자의 일생, 장자의 道(도)개념, 장자의 예술관, 장자의 비유, 노자의 사상, 노자의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대한 해석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자][장자 道(도)개념][장자 예술관][비유][노자][노자 사상][노자 도덕경]장자의 일생, 장자의 道(도)개념, 장자의 예술관, 장자의 비유, 노자의 사상, 노자의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에 대한 해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장자의 일생

Ⅱ. 장자의 道(도)개념

Ⅲ. 장자의 예술관
1. 언(言)과 의(意)
2. 도(道)와 기(技)

Ⅳ. 장자의 비유
1. 거울의 比喩
2. 빈배의 比喩
3. 물의 比喩

Ⅴ. 노자의 사상

Ⅵ. 노자의 도덕경

Ⅶ. 노자의 도덕경에 대한 해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지시하는 말로서 빛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주의 신비는 “우리의 감각 능력이나 인식 능력을 초월하는, 빛으로 가득 찬 어두움”이다. 그렇다면 노자는 분명히 신비주의자이다. 그러나 노자는 어느 정도 신비주의자일까? 왜냐하면 신비주의에도 단순한 명상에서부터 황홀경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갖가지 단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노자의 신비주의에 대해 어떤 단정을 내린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우선 도덕경 그 자체가 도가의 신비주의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해주지 않고 있다. 단지 장자에 이러한 문제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몇 가지 암시적인 구절이 있을 뿐이다.
Ⅶ. 노자의 도덕경에 대한 해석
* 老子에 대한 역사적 해석은 크게 4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전국중후기 법가에서 시작되어 서한시기 황로학파로 이어지는 老子 해석이다. 이 해석의 전형은 韓非子 <解老>와 <喩老> 두 편이다. 두 번째는 동한시기 황로학파의 老子 해석이다. 이 해석의 전형은 老子河上公章句이다. 세 번째는 위진시기 현학의 老子 해석이다. 그 전형은 王弼의 老子注이다. 네 번째는 수당시기 重玄派의 老子 해석이다. 그 전형은 成玄英의 道德經義疏와 李榮의 道德眞經注이다.
* 韓非子 <解老>와 <喩老> 두 편은 모두 老子에 대한 해석이다. 전자는 주요한 단어나 어구의 함의를 함축적으로 해석하고 있고, 후자는 역사적인 실례를 들어서 어구의 의미를 비유적으로 설명한다. 두 편 공통적인 점은 노자를 정치현상과 연관하여 해석하는 점이다. 특히 집권자의 입장에서 어떤 정치적 책략을 써야 권력을 유지할 수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이러한 해석은 서한시기까지 매우 유행하였다. 그러나 그 논점은 진대를 거치면서 변한다. 그것은 법가의 강력한 법질서를 통한 통제정치를 지양하고, 국가권력의 과도한 간섭을 피하고 인민의 자율적인 영역을 용인하면서 권력을 유지하는 방법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의 변화는 진이 국가권력의 과도한 간섭과 통제로 인해 망하였다는 인식에 기인한 것이며, 한 초기 국가권력이 인민을 통제할 수 있는 경제적 군사적 힘이 부족한 상황에 맞추어 성립된 것이다. 그러나 문제 이후 황로학파의 입장은 인민에 대한 통치보다 집권자와 관료 특히 지방의 호족과 중앙의 국가권력 사이에 끊임없이 발생하는 권력투쟁의 과정에서 그 권력투쟁을 합리화하는 논의로 초점이 바뀐다.
* 노자 해석의 첫 번째 변화는 정치현상과 연관하여 노자를 이해하는 입장으로부터 養生이론으로 노자를 해석하는 입장으로 변화한다. 서한 武帝가 儒學으로 사상을 통일하면서 황로학파는 정치적으로 失勢가 된다. 이후 황로학파는 민간의 도교운동과 함께 養生이론을 추구하는 神仙術을 중심으로 발전한다. 동한 시기에 이르러 古文經學이 발달하면서, 이와 더불어 노자에 대한 새로운 주석서가 나타나는데 바로 河上公章句이다. 章句體는 동한 시기 고문경학자들이 주도적으로 활용의 연구방식이다. 河上公의 정체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러한 장구체의 영향을 받아 노자를 주석한 것으로 보인다. 하상공장구는 한 대의 황로학파가 정치원리보다 양생원리에 우선적인 관심을 두는 쪽으로 변화한 것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漢代 元氣論의 영향을 받으면서 노자를 양생원리의 철학적 성찰을 제시하는 것으로 재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은 위진과 수당을 통해 도교 각 파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따라서 唐代에는 河上公章句가 도교의 중요한 경전 중 하나가 된다.
* 노자 해석의 두 번째 변화는 위진 현학가들이 玄學의 입장에서 노자를 해석하면서 발생한다. 그 현학운동의 주역은 왕필이다. 왕필은 주역과 논어에 대한 성찰을 통해 老子의 의미를 인생에 대한 철학적 성찰로 새롭게 해석하고 그것을 老子注를 통해서 드러낸다. 그는 漢代 금문경학의 象數論과 황로학파의 養生術을 모두 비판하고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 성찰을 새롭게 제시한다. 특히 그는 당시 문제가 된 聖人 개념과, 名敎와 自然의 상관관계 등 두 문제에 대한 성찰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수립하고 있다. 그리고 후대에 貴無論으로 특징지워지는 철학적 입장에 입각하여 周易과 老子에 대한 주석서를 남긴다. 河上公章句와 비교하여 볼 때 老子注의 특징은 먼저 章句體를 거부한 것이다. 장구체는 章句를 구분하는 것을 통하여 老子라는 텍스트를 재해석하는 데 주요한 초점을 둔다. 따라서 장구체는 文句의 의미에 집착하는 漢代 訓學의 전통에 있게 된다. 왕필은 이러한 장구체를 벗어나 텍스트 전체의 문맥을 중시하고, 텍스트 전체가 표방하는 의도를 간파하는데 중점을 두고 자신의 견해를 자유롭게 기술한다. 따라서 왕필의 노자에 대한 해석은 창의적이며, 자신의 철학적 성찰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개성을 보인다. 반면에 문구의 語義와 상관없거나 텍스트의 문맥이 아니라 자신의 입장에서 기술하는 일탈성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해석방식은 위진시기 淸談派가 활동하는 철학적 사유방식의 한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왕필의 老子注는 河上公章句와 함께 수당대를 통해 유행하면서 서로 경쟁하는 관계가 된다.
* 老子 해석의 세 번째 변화는 위진 이후 불교가 중국사회에 수용되면서 불교이론의 영향을 받아 노자를 해석하는 학자들에 의해 발생한다. 이것은 당대에 특히 重玄派로 불리는 도가사상가들에 의해 제시되었다. 그 대표자는 成玄英과 李榮이다. 성현영은 왕필의 老子注와 郭象의 莊子注에 대하여 주석한 老子義疏와 莊子義疏를 쓴다. 중현파의 입장은 中觀佛敎 이론에서 일체의 집착을 타파하는 이론을 수용하여 노자와 장자의 의미를 집착에 대한 타파를 중심적으로 논한 것으로 재해석한다. 즉 중관불교가 空 개념을 통하여 존재의 실재성을 부정하고, 실재성에 대한 일체의 집착을 타파하는 것이 해탈을 가장 주요한 관건으로 설명하는 것처럼, 중현파는 玄 개념을 통해 집착에 대한 타파를 노자와 장자가 설파하는 것으로 재해석한다.
참고문헌
◎ 김학모, 노자의 무위자연과 장자의 소요
◎ 김만겸, 장자철학의 세계, 이문, 2005
◎ 박이민, 노장사상, 문학과 지성사, 1980
◎ 이강수, 노자와 장자, 길, 1997
◎ 임원빈, 장자의 지식론,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6
◎ 최효선 역, 장자, 고려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4.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0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