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본문내용
된다. 종양의 체적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고선량율과 높은 방사능을 필요로하나 정상조직의 만성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동시에 수반되어야 한다.
주
주별 학습내용(주당 3page 정도)
교육보조
자 료
과제
내용
14주
● 금주의 학습 목표 : 온열 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질 보장
14-1 온열에 의한 생물학적 효과 (교재 P377~380)
열에 의해 종양의 크기가 줄어든다는 보고는 100년 전부터 있었으나
좀더 체계적으로 임상에서 종양치료에 열이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약20
년 전부터이다.
1. 열 감수성(Thermal sensitivity)과 열 내성(Thermal tolerance)
2. 종양의 크기에 의한 기온 시간의 변화
3. 온열요법의 치료가능비(hyperthermia therapeutic ratio)
4. 온열요법의 적용과 제한
14-2 온열요법 방식 (교재 P381~387)
온열요법의 성패는 조직 내에서의 정확한 온도 측정과 치료의 재현성이다.
탐침(probe)을 조직에 삽입하여 몇몇 고정된 위치의 온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가와 계획된 치료 방침에 따라 얼마나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1. 국소 온열요법
1) 라디오파 가온(Radio-frequency heating)
2) 마이크로파 가온(Microwave heating)
3) 초음파 가온(Ultrasound heating)
① 전원 발생부
② Applicator
③ Bolus
④ 냉각부(cooling system)
⑤ 온도 감지기(thermometry system)
⑥ 제어판과 데이터 기록부
14-3 임상에서 온열요법을 시행하기 위한 고려사항 (교재 P387~390)
임상에서 온열요법의 필요성은 환자구성에 따라 다르며, 방법은 첫째
종양의 유형에 따라 국소적 온열요법 또는 전신(whole body)온열요법의
시행여부를 결정하고, 조직 내 치료 방법과 체외 치료방법 중 택일재
(superficial),3cm 이상이면 심부(deep)요법을 시행한다.
1. 전신온열요법
화학요법(chemotherapy), 방사선치료(radiotherapy), 면역요법
(immuno-therepy)과 병행하여 시행된 전신온열요법에 대한 임상에서의
실험적 연구가 최근에 다양한 종양질환의 치료 접근 방법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주
주별 학습내용(주당 3page 정도)
교육보조
자 료
과제
내용
14주
● 금주의 학습 목표 : 온열 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질 보장
14-4 방사선치료의 질 보장 (교재 P391~400)
1. 질 보장(QA, quality assurance)의 필요성
2. 역사적 배경
3. 조직 및 장비
1) 조직 및 장비
2) QA 프로그램
4. 용어의 정의
1) 질 보장,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ISO 9000)
2) 방사선치료에 있어서의 풀질보증(WHO, 1988)
3) 품질관리(quality control, ISO 9000)
4) 품질검사(quality audit)
5) 품질체계(quality system)
6) 기계적/기하학적 변수(mechanical/geometricl parameters)
7) 선량측정(dosimetric performance)
8) 안전관리체계(safety system)
9) 재현성(reproducibility)
10) 신뢰성(reliability)
11) 생산보전(producitve maintenance)
14-5 치료장비의 유지관리 (교재 P401~403)
1. 개요
2. 임상 적용의 안전성(safety)과 적합성(fitness)
3. 문서관리
4. 의료의 질(quality of care) 검사
14-6 치료과정(treatment process) (교재 P403~406)
1. 개요
2. 환자 자료(patients data)
3. 치료기준(trearment protocol)
4. 치료선량의 처방과 치료계획(trearment prescription &
treatment planning)
5. 환자의 방사선치료
주
주별 학습내용(주당 3page 정도)
교육보조
자 료
과제
내용
14주
● 금주의 학습 목표 : 온열 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질 보장
14-7 QA 방법 및 절차 (교재 P406~413)
1. 기계적인 정확성(mechanical accuracy)
1) 겐트리 각도지시기(gantry angle indicator)
2) 콜리메터 각도지시기(collimator angle indicator)
3) 광거리 지시기(ODI, optical distance indicator)
4) 조사야 크기 지시기(field size indicator)
5) 콜리메터의 회전에 따른 중심십자선(cross hair line)위치의 안전성
6) 동중심축(isocenter)상 레이저의 정렬
7) 치료용 테이블(treatment couch)의 위치 지시기
8) 회전중심축 검사
9) jaw의 대칭 시험
2. 방사선 선량의 정확성(radiation accuracy)
1) X선 출력선량 측정
2) 전자선 출력선량 측정
3) 회전조사의 정확성 측정
4) 조사면 내 선량의 대칭도(symmetry)
5) 조사면 내 선량의 평탄도(flatness)
6) 광 조사면과 방사선 조사면(light/radiation field)의 일치 시험
3. 안전관리체계(safety system)의 기능성
1) 충돌방지(collison avoidance)장치
2) 환자 감시장치(vidio & audio)
3) 조사시작 및 정지스위치(beam on/off switch)
4) 출입문 안전장치(door interlock)
5) 치료 보조기구
14-8 장비별QA기준 (교재 P413-422)
1. 외부 치료장치(external radiation therapy unit)
1) 선형 가속장치(LINAC)
2) Co-60 원격치료장치(Co-60 teletherapy unit)
2. 근접치료기
3. 모의 치료 촬영기(simulator)
4. 치료계획장비(treatment planning system)
주
주별 학습내용(주당 3page 정도)
교육보조
자 료
과제
내용
15주
● 금주의 학습 목표 : 종합평가
상대적으로 고선량율과 높은 방사능을 필요로하나 정상조직의 만성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동시에 수반되어야 한다.
주
주별 학습내용(주당 3page 정도)
교육보조
자 료
과제
내용
14주
● 금주의 학습 목표 : 온열 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질 보장
14-1 온열에 의한 생물학적 효과 (교재 P377~380)
열에 의해 종양의 크기가 줄어든다는 보고는 100년 전부터 있었으나
좀더 체계적으로 임상에서 종양치료에 열이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약20
년 전부터이다.
1. 열 감수성(Thermal sensitivity)과 열 내성(Thermal tolerance)
2. 종양의 크기에 의한 기온 시간의 변화
3. 온열요법의 치료가능비(hyperthermia therapeutic ratio)
4. 온열요법의 적용과 제한
14-2 온열요법 방식 (교재 P381~387)
온열요법의 성패는 조직 내에서의 정확한 온도 측정과 치료의 재현성이다.
탐침(probe)을 조직에 삽입하여 몇몇 고정된 위치의 온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가와 계획된 치료 방침에 따라 얼마나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1. 국소 온열요법
1) 라디오파 가온(Radio-frequency heating)
2) 마이크로파 가온(Microwave heating)
3) 초음파 가온(Ultrasound heating)
① 전원 발생부
② Applicator
③ Bolus
④ 냉각부(cooling system)
⑤ 온도 감지기(thermometry system)
⑥ 제어판과 데이터 기록부
14-3 임상에서 온열요법을 시행하기 위한 고려사항 (교재 P387~390)
임상에서 온열요법의 필요성은 환자구성에 따라 다르며, 방법은 첫째
종양의 유형에 따라 국소적 온열요법 또는 전신(whole body)온열요법의
시행여부를 결정하고, 조직 내 치료 방법과 체외 치료방법 중 택일재
(superficial),3cm 이상이면 심부(deep)요법을 시행한다.
1. 전신온열요법
화학요법(chemotherapy), 방사선치료(radiotherapy), 면역요법
(immuno-therepy)과 병행하여 시행된 전신온열요법에 대한 임상에서의
실험적 연구가 최근에 다양한 종양질환의 치료 접근 방법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주
주별 학습내용(주당 3page 정도)
교육보조
자 료
과제
내용
14주
● 금주의 학습 목표 : 온열 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질 보장
14-4 방사선치료의 질 보장 (교재 P391~400)
1. 질 보장(QA, quality assurance)의 필요성
2. 역사적 배경
3. 조직 및 장비
1) 조직 및 장비
2) QA 프로그램
4. 용어의 정의
1) 질 보장,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ISO 9000)
2) 방사선치료에 있어서의 풀질보증(WHO, 1988)
3) 품질관리(quality control, ISO 9000)
4) 품질검사(quality audit)
5) 품질체계(quality system)
6) 기계적/기하학적 변수(mechanical/geometricl parameters)
7) 선량측정(dosimetric performance)
8) 안전관리체계(safety system)
9) 재현성(reproducibility)
10) 신뢰성(reliability)
11) 생산보전(producitve maintenance)
14-5 치료장비의 유지관리 (교재 P401~403)
1. 개요
2. 임상 적용의 안전성(safety)과 적합성(fitness)
3. 문서관리
4. 의료의 질(quality of care) 검사
14-6 치료과정(treatment process) (교재 P403~406)
1. 개요
2. 환자 자료(patients data)
3. 치료기준(trearment protocol)
4. 치료선량의 처방과 치료계획(trearment prescription &
treatment planning)
5. 환자의 방사선치료
주
주별 학습내용(주당 3page 정도)
교육보조
자 료
과제
내용
14주
● 금주의 학습 목표 : 온열 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질 보장
14-7 QA 방법 및 절차 (교재 P406~413)
1. 기계적인 정확성(mechanical accuracy)
1) 겐트리 각도지시기(gantry angle indicator)
2) 콜리메터 각도지시기(collimator angle indicator)
3) 광거리 지시기(ODI, optical distance indicator)
4) 조사야 크기 지시기(field size indicator)
5) 콜리메터의 회전에 따른 중심십자선(cross hair line)위치의 안전성
6) 동중심축(isocenter)상 레이저의 정렬
7) 치료용 테이블(treatment couch)의 위치 지시기
8) 회전중심축 검사
9) jaw의 대칭 시험
2. 방사선 선량의 정확성(radiation accuracy)
1) X선 출력선량 측정
2) 전자선 출력선량 측정
3) 회전조사의 정확성 측정
4) 조사면 내 선량의 대칭도(symmetry)
5) 조사면 내 선량의 평탄도(flatness)
6) 광 조사면과 방사선 조사면(light/radiation field)의 일치 시험
3. 안전관리체계(safety system)의 기능성
1) 충돌방지(collison avoidance)장치
2) 환자 감시장치(vidio & audio)
3) 조사시작 및 정지스위치(beam on/off switch)
4) 출입문 안전장치(door interlock)
5) 치료 보조기구
14-8 장비별QA기준 (교재 P413-422)
1. 외부 치료장치(external radiation therapy unit)
1) 선형 가속장치(LINAC)
2) Co-60 원격치료장치(Co-60 teletherapy unit)
2. 근접치료기
3. 모의 치료 촬영기(simulator)
4. 치료계획장비(treatment planning system)
주
주별 학습내용(주당 3page 정도)
교육보조
자 료
과제
내용
15주
● 금주의 학습 목표 : 종합평가
키워드
추천자료
방사선 요법
식품위생안전을 위한 방사선 실태조사연구
방사선요법 Radiation Therapy
방사선요법과 항암화학요법
항암요법 환자 간호와 자궁암환자 방사선 요법 간호
진단 방사선에 사용되는 방사선 발생장치의 구조와 발생 원리
방사선 상해
방사선 요법과 간호-강내조사와 외부조사 비교
화학요법,방사선간호
방사선
[심전도검사][뇌혈류검사][위내시경검사][방사선검사][요추검사][운동부하검사][치매검사][심...
[심장][심실보조장치][대동맥순환보조펌프][순환기]심장과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 심장과 심...
건강조직에 대한 방사선 효과와 고 LET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 (의약학)
암환자간호(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암환자응급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