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요법,방사선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화학요법
(목표, 사용, 치료전략, 금기. 간호사정, 간호중재)

2. 방사선요법
(암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의 역활, 치료방법, 주의사항, 간호중재)

3.참고자료

본문내용

다.
⑥방서선 치료의 부작용과 간호
: 방사선 치료의 독작용은 방사선의 강도, 노출 정도, 세포의 감수성, 개인 차이 등에 따라 다르다. 특히, 피부의 골수는 감수성이 강하여 손상받기 쉽다. 전신적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발열, 식욕상실, 권태, 피부반응, 골수 기능저하, 구내염이나 구강건조증, 조사부위의 암발생, 기형아 출생, 혈액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ㄱ.피부반응
-건성 홍반·피부박리·습성홍반·비정상적인 색소침착·탈모·화상 등이 발생되고, 드물게 위축·모세혈관 확장증· 색소 탈색이 오며 심각한 부작용으로 괴사, 궤양, 피부암이 발생할 수 있다.
ㄴ.전신적 반응
-오심, 구토, 발열, 식욕상실, 권태가 나타날 수 있다. 신체적인 안위를 도모하기 위해 진정제를 투여할 수 있으며 오심을 일으키지 않는 액체와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제공한다. 휴식할 수 있도록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보호자나 주위 사람들에게 대상자를 이해하도록 인식시킨다.
ㄷ.골수기능 저하
-골수는 방사선에 감수성이 강하다 적혈구보다 백혈구와 혈소판이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관찰사항과 간호는 화학요법 시와 동일하다.
ㄹ.구강합병증
-방서선 치료 시 구강 합병증이 많이 발생된다. 구내염은 보통 치료 시작 1~2주 후에 발생하며 치료가 끝난 후 2~3주면 회복된다. 구강 건조증은 침샘기능의 위축으로 나타난다. 미각의 변화는 치료 후 보통 2~6개월 후면 회복된다.
*참고문헌
-이향련외(2008) 성인간호학Ⅰ 서울: 수문사 pp.265-273
-한국교육간호학회편(2004) 질환·증상별 치료와 간호지침 서울: 한우리, pp248~250
  • 가격1,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8.30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