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특징 : 공유성, 학습성, 축적성, 통합성, 변동성, 객관성, 생활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화의 특징

Ⅰ. 공유성

Ⅱ. 학습성

Ⅲ. 축적성

Ⅳ. 통합성

Ⅴ. 변동성

Ⅵ. 객관성

Ⅶ. 생활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 지금은
70세이다. 또 조선시대 여성의 지위는 지금의 여성과 비교하면 엄
청난 차이를 보인다. 조선시대에 미니스커트와 배꼽티 그리고 혼전
동거를 상상할 수 있겠는가? 마찬가지로 지금으로부터 100
년 뒤의 한국의 여성의 지위는 지금과 같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우
리의 생활에 조그만 변화가 첨가되면 거기에 따라 개인의 사고와
행동이 달라지게 되고 이런 과정을 거쳐 문화는 계속 변동하는 것
이다. 인류의 역사는 바로 이런 문화변동의 역사인 것이다.
6) 객관성
문화는 모든 사람이 공유하는 것으로 객관성을 지닌다. 따라서 문화
는 개인을 구속한다. 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식당에서 코를
푸는 사람에게 심한 눈총을 줄 것이다. 그러나 트림을 하는 것은 아
무 문제없고, 숭늉을 마시고 입을 헹구는 것도 용인된다. 우리나라
에서는 냉면과 자장면을 가위로 잘라주지만 미국식당에서는 가위
를 사용하는 경우가 절대로 없다. 사회제도, 규범, 도덕, 풍속, 관습
등이 개인을 구속하는 것은 문화에 객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누구나 미니스커트와 핫팬츠를 입고 다니지만 몇 십 년 전만 하더
라도 상상할 수 없었던 일이다.
문화의 객관성은 문화의 사회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흔
히 사회성이란 인간이 사회적 상황에 적응하는 능력을 말한다. 특히
인간이 대인관계를 통해 사회적 관련을 갖는 것으로 사회생활에 적
응하는 성질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관계에 있어 집단 활
동을 추구하며 협동적이고, 친구가 많고, 친절하고 명랑하여 남과
잘 지내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성의 발달 과정은 각 개
인이 사회적으로 승인된 행동이 무엇인지를 배우는 과정, 소속된 집
단에서 자신에게 기대하는 사회적 역할이 무엇인지를 배우는 과정
등을 포함하고, 이러한 발달 과정은 그 집단의 독특한 문화에 의해
영향 받는 것이다. 즉 문화의 사회성이란 개인의 사고와 행동이 문
화적 인 기준에 의해 비판받지 않고 승인되는 것이며, 집단적으로 공
유하는 것이며, 대인관계에 있어 서로 기대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7) 생활성
문화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문화는 인간의 삶 속에서
축적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 개인의 사고와 행동은 다양한 문화
적 틀 속에서 결정된다. 우리는 가부장문화, 남성중심문화, 집단이기
주의문화, 아줌마문화, 엽기문화 등에 의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영향을 받는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한 문화들이 생겨나면서 우
리의 일상생활을 좌우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도문화에서 소를 신성시하는 이유는 그들의 농경생활
과 관련이 있다. 인도는 인구가 많아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무척
높다. 땅을 갈기 위해서는 소가 필요한데 쟁기를 끄는 것은 모두 수
소이며 따라서 암소는 거의 쓸모가 없다. 우리가 인도의 거리에서
보는 한가한 소들은 주로 암소이며, 먹이를 찾기 위해 쓰레기통을
뒤지고 있다. 그렇다고 쓸모없는 암소를 잡아먹으면 송아지는 어떻
게 낳는가? 암소가 없으면 수소도 없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농사를
지을 수 없어 많은 사람들이 굶주리게 된다. 그러므로 소를 숭배하
는 문화가 생겨난 것이다. 이처럼 문화는 그 지역에서 사는 사람들
의 생활에 의해 형성되고 또 생활에 영향을 준다.
*참고문헌
-구준모 외(2000). ‘문화산업의 발전방안’, 을유문화사.
-이강수(1998). ‘대중문화와 문화산업론’, 나남출판사.
-정태환(1995). ‘문화대국으로 가는 길’, 지식산업사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1998). ‘문화정책 포럼’
-안병성(2000). ‘21세기 황금시장, 문화산업’
-아동연(1997). ‘문화연구의 새로운 토픽들’, 문화과학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25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