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실학과 동학, 그리고 자연관에 대해 설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실학과 동학, 그리고 자연관에 대해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달할 수 있음을 뜻한다고 하겠다.
동학의 가르침이 전해지기 이전은 선천의 세상으로 불평등과
억압, 질병이 만연하는 상태였다면, 가르침 이후는 후천개벽이 이
루어짐으로써 만인이 억압과 고통에서 벗어나 평등한 사회로 이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최제우의 동학 이념은 그의 제자 해월 최
시형(崔時亨)에게 전수된다. 실제로 동학을 부흥시키는 데 커다
란 역할을 한 사람은 최시형이다. 최제우가 도를 받아 동학을 창
시한 후 불과 4년도 못 되어 사교를 유행시켜 국기를 문란케 한
다는 죄목으로 1864년 이론 봄에 처형을 당하자 동학을 전파할
사명이 주로 최시형에게 집중되었다. 특히 조정의 무능과 관리의
학정을 견딜 수 없었던 농민들이 동학의 접주 전봉준을 주축으로
갑오농민전쟁을 촉발하고 또 여기에 동학의 이념이 적지 않게 차
용된 탓에 최시형 역시 이 사건에 연루되지 않을 수 없었다. 격동
기에 피신을 하는 와중에 동학을 전파하는 일에 나됐고, 결과적
으로 저술을 직접 남길 수 없는 형편이었으며, 전해 오는 것은 신
도들에 의해 기록된 설교가 위주였다.
최시형은 동학의 이념을 생활철학으로 뿌리를 내리는 데 전력
을 다하였다. 생활 속의 동학 이야기는 세 방향에 대한 공경으
로 구체화된다. 첫째는 경천(敬天)사상으로서 한울님을 공경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미 최제우에 의해 잘 드러난 것이다. 둘째, 사
람이 곧 한울님, 즉 인즉천(人卽天)이므로 사람 섬기기를 한울님
처럼 대하는 경인(敬人)사상을 가지라는 것이다. 예컨대 최시형
이 청주의 한 교인 댁을 지나다가 우연히 그 집 며느리가 베 짜
는 소리를 듣고 그 교인에게 한울님이 베를 판다는 방식으로 설
교를 하였다고 전한다. 이것은 사람이면 누구나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치 불교에서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
다는 것과 흡사한 내용이다. 가부장적 풍토가 혹심하게 드리워진
조선시대 말기에 시집살이하는 며느리를 한울님으로 모시라는 것
은 상민과 천민, 여성을 가리지 않고 두루 평등하게 대할 뿐만 아
니라 공경하는 자세를 취함으로써 사람은 누구나 존엄한 존재로
대우를 받는 후천개벽의 세상을 열라는 것이다. 넷째, 천지만물이
시천주 아년 것이 없으므로 만물을 한울님으로 대하라는 경물(敬
物)사상이다. 사람이 밥을 먹는 것을 보고 한울님이 한울님을 먹
는다(以天食天)고 말함으로써 천지만물에 한울님이 깃들어 있음
을 전하면서 사물에 대해서도 의당 공경하는 태도를 가지라는 것
이다. 이것은 자연의 미물에게도 한울님이 깃들어 있으니 사람이
자연에 다가갈 때 삼가 신중하고 경건한 자세를 취하라는 것이다.
동학은 창시자 최제우에서 최시형을 거쳐 후대로 내려가면서
다소 색깔의 변화를 일으킨다. 특히 조선 말기의 기층민중이 절
망적 현실에 처해 있었고 또 유불선과 천주교의 영향을 부지불식
간에 받을 수밖에 없는 여건에서 생활에 기초한 비유적 설교가
교리나 강령 수준으로 격상되면서 그런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
인다. 창시자 최제우에게서 나타난 천 개념이 다분히 초월적 인
격신의 모습이 있는데, 이것이 최시형에 이르면 범산론(pantheism)
에 가까운 형세로 변화된다. 흔히 초월신은 만물의 시원이나
주재자 또는 창조주로서 권능을 지닌 존재이므로 피조물인 자연
의 외연(extension)을 넘어서 있다. 범신론은 자연 그 자체를 신으
로 간주하므로 신이 자연의 외연 바깥에 따로 설정될 수 없다. 초
월신은 자연 초월적이고, 범신론의 신은 자연 내재적이다. 그런데
자연의 주재자로서 자연을 초월한 특성을 띠면서도 자연과 자연
물 모두에 그 신성이 것들이 있다고 여기는 견해를 만유재신론
(Panentheism)이라고 한다. 따라서 만유재신론의 신은 자연 초
월적이면서 내재적인 양면성을 띤다. 홍익인간 사상에 깃든 신
개념이 바로 이런 유형이었는데, 동학에서 다시 그것이 재현되는
형태로 부상한 것이다. 최제우와 최시형의 견해를 아우를 때 나
타나는 모습이 바로 만유재신론일 것이다. 이런 입장에서 인간이
자연을 보는 시각은 신과 인간, 자연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
고, 따라서 인간은 한울님 대하듯이 동료 인간과 자연을 대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참고문헌
-김혜숙 외, 인간관계론, 양서원. 2000
-설기문,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학지사. 1997
-양창삼, 인간관계와 갈등관리, 경문사. 1997
-이학종, 조직행동론, 세경사. 1997
-최승희, 김수옥, 심리학개론, 박영사 1997
-유기현, 인간관계론, 무역경영사. 1999

키워드

실학,   동학,   자연관,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25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