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작자및 사상과 문학 3
1)작자 3
2)사상과문학 3~6
2.본문 6~8
3.작품분석 8
1)등장인물의 성격 8
2)이생규장전과 만복사저포기 비교 9
3)구성과 시점 9
4)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9~10
4.작품감상 10
5. 김시습의 문학관 10
6.참고문헌11
1)작자 3
2)사상과문학 3~6
2.본문 6~8
3.작품분석 8
1)등장인물의 성격 8
2)이생규장전과 만복사저포기 비교 9
3)구성과 시점 9
4)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9~10
4.작품감상 10
5. 김시습의 문학관 10
6.참고문헌11
본문내용
대체로 만년의 작품 가운데에서 수작(秀作)이 많다.
≪ 금오신화 ≫ 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蒲記 〉 등 5편이 전부이며, 이것들은 김시습의 사상을 검증하는 호재(好材)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 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 〉 를 제외한 그 밖의 것들은 모두 감미로운 시적 분위기로 엮어진 괴기담(怪奇譚)이다.
이 전기의 틀을 빌려 그에게 있어서 가장 결핍되어 있던 사랑을 노래함으로써, 우리 나라 역대 시인 가운데에서 가장 많은 염정시(艶情詩)를 남긴 시인이 되었다. 그의 역사사상은 과거의 역사를 현재의 문제를 풀어 가는 소재로 인식하였으며, 역사의 근본적인 문제를 다룬 한국 최초의 역사철학자라고 할 수 있다.
〈 고금제왕국가흥망론 古今帝王興亡論 〉 이란 논문에서 역사적 위기도 인간의 노력으로 막을 수 있다고 파악하고, 항상 인간의 마음씀을 중시하였다. 그가 마음을 바르게 하여야 한다고 한 점은 단순히 성리학적 견해만이 아니라 불교의 근본이론이기도 하다.
또한 〈 위치필법삼대론 爲治必法三代論 〉 에서는 삼대의 군주들이 백성들의 생활에 공헌을 하였기 때문으로 해석하였으며 인간의 고대문화의 발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내렸다.
그는 우리 나라의 역사도 단군조선으로부터 당대인 세종대까지의 역사를 문화사, 사상적으로 파악하여 발전적 역사관을 보였으며, 금오신화 중의 〈 취유부벽정기 醉遊浮碧亭記 〉 는 역사소설이라 할 수 있다.
3.작품분석
1)등장인물의 성격
이생(李生) : 고루한 유교 교리를 신봉하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우유부단한 인간이었으나, 최랑과의 관계를 통하여 고통스러운 생활 체험을 극복해 나가면서 적극적인 성격으로 변화됨
최랑 : 이생과 대조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진보적인 성격의 소유자. 홍건적의 위협 앞에서도 굳건히 버티며 이생과의 사랑을 성취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여인. 유교 도덕이 강요하는 사회 현실로부터 벗어나 개성적으로 살고 숨쉬려는 인간형
2) 이생규장전과 만복사저포기 비교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주제
삶과 죽음을 넘어선 신비로운 만남과 사랑
삶과 죽음을 넘어선 소망과사랑
구성
뜻밖의 신비로운 만남 뒤에 슬픈 이별이 닥쳐옴
위기와 해결이 되풀이되면서 운명과의 갈등이 더심기하게 전개됨
문체
한을 남기고 죽은 여인과 사랑이 깊은청년
진실된 사랑을 지닌 남녀
3)구성과 시점
작품의 구성은 서사 문학의 전통적 방식으로 사건의 시간적 순서대로 이야기가 진행되며,
세 차례의 만남과 시련 및 이별이 거듭되는 복합구성의 양식을 보인다.
두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세 번의 시련은
1. 애정 문제를 다룬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모님의 반대2. 난리로 인한 최씨 부인의 죽음3. 삶과 죽음을 가르는 명부의 법칙이다.
이 중에서 첫 번째의 시련은 두 사람의 지극한 사랑으로 해결되지만,
두 번째의 위기는 해결의 가능성이 없는 절망적인 것이다.
그러나 김시습은 비극적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창작 의식으로써,
전래 설화에서 볼 수 있는 명혼, 즉 산 사람과 죽은 사람 사이의
사랑·결혼이라는 화소를 도입하여 환상적이고도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엮어 냈다.
서술의 시점 역시 가장 일반적인 수법인 3인칭 전지적 관찰자 시점이 쓰였고,
시애 설화<(necrophile 시체 애호자, 시간자(屍姦者)>도 참고할 만하다.
4)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금오신화'는 비현실적 세계를 무대로 한다는 점, 주인공이 재자가인(才子佳人)이라는 점,
문장 표현이 한문 문언문으로서 사물을 지극히 미화시켜 표현한 점, 일상적·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낭만적 사랑이나 신비로운 내용의 사건을 다룬다는 점에서 전기라 일컬을 만하다.
또한 자아와 세계가 서로 상대에게 우위를 보이며 대결한다는 점에서 소설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특히 이야기의 결말구조가 모두 세계에 대한 패배를 형상화하고 있는 점도 시대상의
반영으로 보여진다. '금오신화'는 인간성을 긍정하고 현실 속에서 제도·인습·전쟁·인간의 운명 등과 강력히 대결하는 인간의 의지를 표현하였으며, 고려 시대 설화 문학을 계승하여 소설이라는 문학 영역을 확립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고, 후대에 쓰인 임제의 '원생몽유록'과 같은 몽유록 계열의 소설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4.작품감상
이생규장전에서는 이승과 저승을 뛰어넘는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을 보여준다 .본문 전반부에 보여준 이생과 최 여인의 사랑은 당시 유교사회에서는 용납될수없는 사랑이었다 이처럼 사회의 관념을 깨트리는 사람을 소설에서 보여준것은 작자의 대담한 애정관이 반영되있다. 그런데 이들의 사랑도 그리 오래 가지는 못한다 .
이것으로 보아 당시현실적으로 뛰어넘을수 없던 현실의 벽을 반영한것도 아닌지 생각하게 된다. 이생규장전은 명나라에 '전등신화' 에 영향을 받아 모방을 했다는 설이있는데 우리나라의 현실상과 사상을 반영하고 독창성이 충분히 발휘되었던것을 봐서는 하나의 완전한 창작 소설로 보아야 할것이다.
5. 김시습의 문학관
김시습은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갈등 속에서 일생을 살았는데, 그의 사상과 문학은
이러한 고민에서 우러난 것이라 하겠다. 성리학을 받아들여 주기론적인 방향으로 발전시켰고, 민생을 중시하는 민본·애민적인 사상가였다. 그리고 불교의 노장 사상을 현실주의적인 입장으로 해석했으며,그 비합리적이고 허무주의적인 측면을 비판했다. 이러한 사상은 그의 시편과 산문을 통해서 표현되고 있다. 그는 봉건적 인습이나 사회 현실이 자신뿐만 아니라, 동시대인의 요구를 끝내 좌절시킬 때, 경험적 현실의 구속을 일부 배재하는 낭만적 환상을 빌려 자신의 현실적 요구와 사회적 이상을 실현하거나, 원혼의 환신을 빌려 자신과 동시대인을 패배시킨 사회의 모순을 삶의 심각한 문제로 제기하였다. '금오신화'는 이와 같이 현실적 갈등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현실성이 작품에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그 작자 의식은 오늘날까지 높이 평가되는 것이다. '금오신화' 속의 주인공은
작중의 주인공일 뿐만 아니라 작자 자신의 현실적 소망을 환상적으로 투영한 작자 자신이며, 작자가 살고 있던 당시의 한국 사회라 볼 수 있는 것이다.
≪ 금오신화 ≫ 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蒲記 〉 등 5편이 전부이며, 이것들은 김시습의 사상을 검증하는 호재(好材)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 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 〉 를 제외한 그 밖의 것들은 모두 감미로운 시적 분위기로 엮어진 괴기담(怪奇譚)이다.
이 전기의 틀을 빌려 그에게 있어서 가장 결핍되어 있던 사랑을 노래함으로써, 우리 나라 역대 시인 가운데에서 가장 많은 염정시(艶情詩)를 남긴 시인이 되었다. 그의 역사사상은 과거의 역사를 현재의 문제를 풀어 가는 소재로 인식하였으며, 역사의 근본적인 문제를 다룬 한국 최초의 역사철학자라고 할 수 있다.
〈 고금제왕국가흥망론 古今帝王興亡論 〉 이란 논문에서 역사적 위기도 인간의 노력으로 막을 수 있다고 파악하고, 항상 인간의 마음씀을 중시하였다. 그가 마음을 바르게 하여야 한다고 한 점은 단순히 성리학적 견해만이 아니라 불교의 근본이론이기도 하다.
또한 〈 위치필법삼대론 爲治必法三代論 〉 에서는 삼대의 군주들이 백성들의 생활에 공헌을 하였기 때문으로 해석하였으며 인간의 고대문화의 발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내렸다.
그는 우리 나라의 역사도 단군조선으로부터 당대인 세종대까지의 역사를 문화사, 사상적으로 파악하여 발전적 역사관을 보였으며, 금오신화 중의 〈 취유부벽정기 醉遊浮碧亭記 〉 는 역사소설이라 할 수 있다.
3.작품분석
1)등장인물의 성격
이생(李生) : 고루한 유교 교리를 신봉하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우유부단한 인간이었으나, 최랑과의 관계를 통하여 고통스러운 생활 체험을 극복해 나가면서 적극적인 성격으로 변화됨
최랑 : 이생과 대조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진보적인 성격의 소유자. 홍건적의 위협 앞에서도 굳건히 버티며 이생과의 사랑을 성취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여인. 유교 도덕이 강요하는 사회 현실로부터 벗어나 개성적으로 살고 숨쉬려는 인간형
2) 이생규장전과 만복사저포기 비교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주제
삶과 죽음을 넘어선 신비로운 만남과 사랑
삶과 죽음을 넘어선 소망과사랑
구성
뜻밖의 신비로운 만남 뒤에 슬픈 이별이 닥쳐옴
위기와 해결이 되풀이되면서 운명과의 갈등이 더심기하게 전개됨
문체
한을 남기고 죽은 여인과 사랑이 깊은청년
진실된 사랑을 지닌 남녀
3)구성과 시점
작품의 구성은 서사 문학의 전통적 방식으로 사건의 시간적 순서대로 이야기가 진행되며,
세 차례의 만남과 시련 및 이별이 거듭되는 복합구성의 양식을 보인다.
두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세 번의 시련은
1. 애정 문제를 다룬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모님의 반대2. 난리로 인한 최씨 부인의 죽음3. 삶과 죽음을 가르는 명부의 법칙이다.
이 중에서 첫 번째의 시련은 두 사람의 지극한 사랑으로 해결되지만,
두 번째의 위기는 해결의 가능성이 없는 절망적인 것이다.
그러나 김시습은 비극적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창작 의식으로써,
전래 설화에서 볼 수 있는 명혼, 즉 산 사람과 죽은 사람 사이의
사랑·결혼이라는 화소를 도입하여 환상적이고도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엮어 냈다.
서술의 시점 역시 가장 일반적인 수법인 3인칭 전지적 관찰자 시점이 쓰였고,
시애 설화<(necrophile 시체 애호자, 시간자(屍姦者)>도 참고할 만하다.
4)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금오신화'는 비현실적 세계를 무대로 한다는 점, 주인공이 재자가인(才子佳人)이라는 점,
문장 표현이 한문 문언문으로서 사물을 지극히 미화시켜 표현한 점, 일상적·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낭만적 사랑이나 신비로운 내용의 사건을 다룬다는 점에서 전기라 일컬을 만하다.
또한 자아와 세계가 서로 상대에게 우위를 보이며 대결한다는 점에서 소설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특히 이야기의 결말구조가 모두 세계에 대한 패배를 형상화하고 있는 점도 시대상의
반영으로 보여진다. '금오신화'는 인간성을 긍정하고 현실 속에서 제도·인습·전쟁·인간의 운명 등과 강력히 대결하는 인간의 의지를 표현하였으며, 고려 시대 설화 문학을 계승하여 소설이라는 문학 영역을 확립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고, 후대에 쓰인 임제의 '원생몽유록'과 같은 몽유록 계열의 소설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4.작품감상
이생규장전에서는 이승과 저승을 뛰어넘는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을 보여준다 .본문 전반부에 보여준 이생과 최 여인의 사랑은 당시 유교사회에서는 용납될수없는 사랑이었다 이처럼 사회의 관념을 깨트리는 사람을 소설에서 보여준것은 작자의 대담한 애정관이 반영되있다. 그런데 이들의 사랑도 그리 오래 가지는 못한다 .
이것으로 보아 당시현실적으로 뛰어넘을수 없던 현실의 벽을 반영한것도 아닌지 생각하게 된다. 이생규장전은 명나라에 '전등신화' 에 영향을 받아 모방을 했다는 설이있는데 우리나라의 현실상과 사상을 반영하고 독창성이 충분히 발휘되었던것을 봐서는 하나의 완전한 창작 소설로 보아야 할것이다.
5. 김시습의 문학관
김시습은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갈등 속에서 일생을 살았는데, 그의 사상과 문학은
이러한 고민에서 우러난 것이라 하겠다. 성리학을 받아들여 주기론적인 방향으로 발전시켰고, 민생을 중시하는 민본·애민적인 사상가였다. 그리고 불교의 노장 사상을 현실주의적인 입장으로 해석했으며,그 비합리적이고 허무주의적인 측면을 비판했다. 이러한 사상은 그의 시편과 산문을 통해서 표현되고 있다. 그는 봉건적 인습이나 사회 현실이 자신뿐만 아니라, 동시대인의 요구를 끝내 좌절시킬 때, 경험적 현실의 구속을 일부 배재하는 낭만적 환상을 빌려 자신의 현실적 요구와 사회적 이상을 실현하거나, 원혼의 환신을 빌려 자신과 동시대인을 패배시킨 사회의 모순을 삶의 심각한 문제로 제기하였다. '금오신화'는 이와 같이 현실적 갈등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현실성이 작품에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그 작자 의식은 오늘날까지 높이 평가되는 것이다. '금오신화' 속의 주인공은
작중의 주인공일 뿐만 아니라 작자 자신의 현실적 소망을 환상적으로 투영한 작자 자신이며, 작자가 살고 있던 당시의 한국 사회라 볼 수 있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