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향법실현
- 다음주 문법론 휴강이니 모두 집으로 감.
감(가-음)
- 다음주 문법론 휴강이니 모두 집으로 가기.
4. 의향법의 통사 특성
① 시제법 제약
=> 현실법(-느/-), 완결법(-었-), 미정법(-겠-), 회상법(-더-)
예) 서술법 : 평서법 - 철수는 책을 읽는다/읽었다/읽겠다/읽더라
감탄법 - 하늘이 참 맑구나/맑았구나/맑겠구나/맑더구나
약속법 내가 그 일을 하마/*했으마/*하겠으마/*하더마
의문법 : 철수는 책을 읽느냐/읽었느냐/읽겠느냐/읽더냐?
명령법 : 네가 그 일을 해라/*하였어라/*하겠어라/*하더어라
청유법 : 우리가 그 일을 하자/*하였자/*하겠자/*하더자
② 높임법 제약
=> 청유법과 약속법에서 주체높임법의 제약이 있다.
→ 청유법은 행동수행의 주체가 청자와 화자이고, 약속법은 화자 자신이기 때문에, 현대 한국어에서 화자 자신을 높이는 것은 용인되지 않는다.
우리가 그 일을 하시자.
내가 그 일을 하시마.
예외) → 청자를 높이려는 의향이 강할 경우
우리 함께 갑시다.
선생님, 함께 가십시다.
③ 주어 제약
=> 행동수행성의 특성을 가지는 의향법(명령법, 청유법, 약속법)은 주어가 반드시 행동수행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명령법 : 행동수행의 주체가 청자이므로 청자만 주어로 허용
예) 네가 그 일을 하여라.
청유법 : 행동수행의 주체가 청자와 화자이므로 청자와 화자를 함께 주어로 허용
예) 우리가 그 일을 하자.
약속법 : 행동수행의 주체가 화자이므로 화자만 주어로 허용
예) 내가 그 일을 할게.
④ 서술어 제약
=> 행동수행성의 특성을 가지는 명령법, 청유법, 서술법의 약속법 등은 동사만 허용한다
⑤ 부정법 제약
=> 서술법과 의문법에서는 <아니하다> 부정어가 쓰이고, 명령법과 청유법에서는 <말다> 부정어가 쓰인다.
예) 철수는 책을 읽지 않았다./않았느냐?
책을 읽을 때에는 한눈을 팔지 말아라/말자.
⑥ 접속문 구성 제약
=> 선행절에 결합된 접속어미에 따라 후행절의 의향법이 제약된다.
서술법 제약 : <-거든>
예) 날씨가 풀리거든 산에 간다.
의문법 제약 : <-거든, -지만, -으되, -느니, -거니와> 등
예) 철수는 공부도 잘하거니와, 운동도 잘한다./*운동도 잘하느냐?
명령법, 청유법, 약속법 제약 : <-어야, -건만, -어서, -느라고, -자, -다시피, -은들, -으라고> 등
예) 너도 알다시피, 빨리 가거라/가자.
철수도 가거니와, 너도 가거라/우리도 가자.
⑦ 완형 동사구 내포문 구성 제약
=>완형 동사구 내포문 구성(인용절 구성)에서는 내포문의 의향어미가 제약된다.
서술법 : 내포문의 의향어미는 <-다>만 허용된다.
예) 나는 철수가 그 책을 읽었다(*읽었네)고 말했다.
의문법 : 내포문의 의향어미는 <-으냐>만 허용된다.
예) 철수가 그 책을 읽었느냐(*읽었는가)고 물었다.
명령법 : 내포문의 의향어미는 <-으라>만 허용된다.
예) 나는 그 책을 읽으라(*읽어라)고 말했다.
청유법 : 내포문의 의향어미는 <-자>만 허용된다.
예) 나는 그 책을 읽자(*읽읍시다)고 제안했다.
- 다음주 문법론 휴강이니 모두 집으로 감.
감(가-음)
- 다음주 문법론 휴강이니 모두 집으로 가기.
4. 의향법의 통사 특성
① 시제법 제약
=> 현실법(-느/-), 완결법(-었-), 미정법(-겠-), 회상법(-더-)
예) 서술법 : 평서법 - 철수는 책을 읽는다/읽었다/읽겠다/읽더라
감탄법 - 하늘이 참 맑구나/맑았구나/맑겠구나/맑더구나
약속법 내가 그 일을 하마/*했으마/*하겠으마/*하더마
의문법 : 철수는 책을 읽느냐/읽었느냐/읽겠느냐/읽더냐?
명령법 : 네가 그 일을 해라/*하였어라/*하겠어라/*하더어라
청유법 : 우리가 그 일을 하자/*하였자/*하겠자/*하더자
② 높임법 제약
=> 청유법과 약속법에서 주체높임법의 제약이 있다.
→ 청유법은 행동수행의 주체가 청자와 화자이고, 약속법은 화자 자신이기 때문에, 현대 한국어에서 화자 자신을 높이는 것은 용인되지 않는다.
우리가 그 일을 하시자.
내가 그 일을 하시마.
예외) → 청자를 높이려는 의향이 강할 경우
우리 함께 갑시다.
선생님, 함께 가십시다.
③ 주어 제약
=> 행동수행성의 특성을 가지는 의향법(명령법, 청유법, 약속법)은 주어가 반드시 행동수행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명령법 : 행동수행의 주체가 청자이므로 청자만 주어로 허용
예) 네가 그 일을 하여라.
청유법 : 행동수행의 주체가 청자와 화자이므로 청자와 화자를 함께 주어로 허용
예) 우리가 그 일을 하자.
약속법 : 행동수행의 주체가 화자이므로 화자만 주어로 허용
예) 내가 그 일을 할게.
④ 서술어 제약
=> 행동수행성의 특성을 가지는 명령법, 청유법, 서술법의 약속법 등은 동사만 허용한다
⑤ 부정법 제약
=> 서술법과 의문법에서는 <아니하다> 부정어가 쓰이고, 명령법과 청유법에서는 <말다> 부정어가 쓰인다.
예) 철수는 책을 읽지 않았다./않았느냐?
책을 읽을 때에는 한눈을 팔지 말아라/말자.
⑥ 접속문 구성 제약
=> 선행절에 결합된 접속어미에 따라 후행절의 의향법이 제약된다.
서술법 제약 : <-거든>
예) 날씨가 풀리거든 산에 간다.
의문법 제약 : <-거든, -지만, -으되, -느니, -거니와> 등
예) 철수는 공부도 잘하거니와, 운동도 잘한다./*운동도 잘하느냐?
명령법, 청유법, 약속법 제약 : <-어야, -건만, -어서, -느라고, -자, -다시피, -은들, -으라고> 등
예) 너도 알다시피, 빨리 가거라/가자.
철수도 가거니와, 너도 가거라/우리도 가자.
⑦ 완형 동사구 내포문 구성 제약
=>완형 동사구 내포문 구성(인용절 구성)에서는 내포문의 의향어미가 제약된다.
서술법 : 내포문의 의향어미는 <-다>만 허용된다.
예) 나는 철수가 그 책을 읽었다(*읽었네)고 말했다.
의문법 : 내포문의 의향어미는 <-으냐>만 허용된다.
예) 철수가 그 책을 읽었느냐(*읽었는가)고 물었다.
명령법 : 내포문의 의향어미는 <-으라>만 허용된다.
예) 나는 그 책을 읽으라(*읽어라)고 말했다.
청유법 : 내포문의 의향어미는 <-자>만 허용된다.
예) 나는 그 책을 읽자(*읽읍시다)고 제안했다.
추천자료
미국 루즈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과 사회보장법 제정(1935)에 대하여 서술
사회보장 기본법에서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사회보험에 대해 서술.
정책, 프로그램, 법, 사회복지, 사회복지정책, 사회정책의 개념을 비교하여 서술.
사회복지시대의 엘리자베스구빈법(1601년)과 신구빈법(1834)을 비교하여 서술.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수급권의 보호 및 보호규정 이유를 설명하고 수급권포기 및 제한에...
사회권 개념이 사회복지법의 제정에 미친 영향에 대해 서술
국민건강보험법(國民健康保險法)과 의료급여법(醫療給與法)의 관련성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공공부조법에 근거한 공공부조 제도의 실시로 인해 국가와 수혜자 차원의 각각의 효과에 대해...
강의법과 시범의 정의 및 개념, 장단점을 기술하고, 두 교수법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서술
국민연금법의 목적, 이념, 적용대상, 급여형태, 전달체계에 대해 서술하시오.
최근에 제정된 저출산 고령사회기본법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느낀 점을 서술하...
사회복지법의 발전과정에서 정치적 목적이 가미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건강가정기본법의 실천기술을 이해하고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