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의 특징 및 개념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빈곤의 특징 및 개념

Ⅰ. 빈곤의 재발견

Ⅱ. 빈곤의 특징

Ⅲ. 빈곤의 개념

1. 빈곤의 정의
2. 정리

Ⅳ. 사회적 배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토대로서 소득만을 살펴보는 경우가 많다. 그
러나 유럽에서는 '빈곤'보다 '사회적 배제(사회적 소외)(social exdusion)'라
는 웅어를 더 광범위하게 사용한다(Cousins, 1999: 142-145).
사회적 배제에서는 다음에 더 주목한다. 첫째, 사회 '관계(relations)'에
더 주목한다. 둘째, 사람들이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정도에 더
주목하고, 또한 자신들과 관련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있는 정도에 더 주목한다(Pierson, 2002: 2).
사회적 배제는 박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빈곤이 많은 집단이 경
기침체, 인구변화, 노동시장의 구조조정 때문에 주류 사회에 참가하지 못
하는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서 경제적 빈곤-(economic poverty)보다 '사회적
배제'라는 표현을 사용한다(Eardley, Bradsw, Ditch Gough, & Whitefbrd,
1996: 6). 여기서 사회적 배제란 사회참여가 부적절하구 사회적 보호 사
회통합 권력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Cousins, 1999: 142-145).
Pierson(2002)에 따르면, 사회적 배제의 주요 요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 빈곤과 저소득이 있다. 이것은 사회적 배제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노동시장에 참여하는데 제약을 받는 것이 있다. 셋째, 사
회적 지지망이 없거나 부족한 것이 있다. 넷째, 지역효과나 동네효과가
있다. 다섯째, 사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것이 있다.
그리고 Levitan(Pierson(2002: 6-7)에서 재인용)은 사회적 배제와 관련하여
세 가지 담론을 제시한다.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차상위 계층을 조사할
경우, 어떤 담론을 고수하느냐에 따라서 강조하는 영역이 다르게 된다.
첫째, 재분배 담론이 있다.
이 담론에서는 빈곤층과 빈곤상태에 빠지게 하는 사회적 힘에 관심을 가진다.
둘째, 도덕적 최하층 담론(moral underclass course)이 있다. 이 담론에서는 개인의 일탈, 노동태도, 노동윤리에 관심을 가진다. 셋째, 사회통합 담론(social integradoncourse)이 있다. 이 담론에서는 유급 노동과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것에
관심을 가진다.
한편 사회적 배제란 개념은 막연한 개념이지만, 정부는 사회적 배제란
개념을 좋아한다. 그 이유로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첫째, 사회적
배제란 개념은 빈곤의 실체를 축소시키기 때문이다. 둘째, 사회적 배제란
개념은 정부가 빈곤에 대해 어떤 것을 해야 할 필요가 없게 만들기 때문
이다(Pierson, 2002: 2).
*참고문헌
-김미숙(2002). ‘노숙자 쉼터의 실태와 운영개선방안’
-서동우(2002). ‘노숙자 의료지원 정책방안’
-이태진(2002), ‘노숙자 지원정책의 구조와 방향’
-조계완(2003). ‘내일이 없는 빈곤의 굴레’
-노병일(2002), ‘사회보장론’
-노병일·윤경아(2004). ‘주거빈곤층의 삶과 터전’
-윤경아(2001) ‘도시 빈곤지역 주민의 사회복지 욕구측정’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5.01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