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년 개념][희년 내용][안식일 의미][안식일과 하나님 나라][안식년 기원][안식년과 재물 상대화]희년의 개념, 희년의 내용, 안식일의 의미, 안식일과 하나님 나라, 안식년의 기원, 안식년과 재물의 상대화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희년 개념][희년 내용][안식일 의미][안식일과 하나님 나라][안식년 기원][안식년과 재물 상대화]희년의 개념, 희년의 내용, 안식일의 의미, 안식일과 하나님 나라, 안식년의 기원, 안식년과 재물의 상대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희년의 개념
1. 나사렛 회당에서의 예수님의 메시야 선언 : 성령 강림과 희년 선포
2. 희년의 본질적 의미: 하나님의 임재
3. 희년의 사회적 의미 : 땅과 집과 몸의 회복 --> 가족 공동체의 회복

Ⅱ. 희년의 내용
1. 토지무르기(23 - 28절)
2. 가옥환원(29 - 34절)
3. 이식없는 대부(35 - 38절)
4. 노예해방(39 - 55절)

Ⅲ. 안식일의 의미

Ⅳ. 안식일과 하나님 나라

Ⅴ. 안식년의 기원

Ⅵ. 안식년과 재물의 상대화
1. 안식년과 재물의 상대화
2. 빚탕감과 나누어 줌

참고문헌

본문내용

재물의 상대화
1. 안식년과 재물의 상대화
안식년이나 희년에는 땅을 쉬게 해야 했다(레 25:4, 11). 그런데 경작을 하지 않고 한 해를 보낸다는 것은 대단한 믿음을 필요로 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먹여 살리실 것이라는 믿음이 없이는 땅을 쉬게 하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무엇을 먹을까 하는 인간의 염려를 내다보시고 그러한 염려를 버리고 담대하게 안식년과 희년을 지킬 것을 명하신다. 레 25:20-21: “혹 너희 말이 우리가 만일 제 칠 년에 심지도 못하고 그 산물을 거두지도 못하면 무엇을 먹으리요 하겠으나, 내가 명하여 제 육 년에 내 복을 너희에게 내려 그 소출이 삼 년 쓰기에 족하게 할지라.\" 우리는 예수님의 산상설교에서 동일한 내용의 말씀을 발견한다. 마 6:31: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입을까 하지 말라.\" 마 6:25: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구약의 안식년과 희년 준수는 재물보다는 하나님을 신뢰하도록 하는 신앙고백이었다. 신약에서도 재물보다 하나님을 신뢰하도록 하는 가르침은 연속된다. 마 6:24: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며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며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 신약은 한 걸음 더 나가서 재물을 땅에 쌓아두지 말라고 구약의 안식년의 정신을 철저화한다. 마 6:19-20: \"19.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땅에 쌓아 두지 말라 거기는 좀과 동록이 해하며 도적이 구멍을 뚫고 도적질하느니라. 20. 오직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하늘에 쌓아 두라. 거기는 좀이나 동록이 해하지 못하며 도적이 구멍을 뚫지도 못하고 도적질도 못하느리라.\" 나아가 예수님은 아예 재물의 상대화 정도가 아니라 포기를 명하신다. 눅 14:33: \"너희 중에 누구든지 자기의 모든 소유를 버리지 아니하면 능히 내 제자가 되지 못하리라\" 아마도 소유를 계속 관리하는 상태에서 소유권을 포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무튼 그리스도인은 아무 것도 자기의 것으로 소유하지 않은 자여야만 하는 것을 예수님은 가르치신 것이다. 예수님의 제자가 되려면 재물을 소유하는 자의 자리에서 관리하는 자로 물러서야 할 것이다.
2. 빚탕감과 나누어 줌
\"매 7년 끝에 면제(즉, 빚을 탕감)하라\"(신 15:1)는 구약의 안식년 빚탕감법은 신약으로 오면서 예수님의 말씀에서 더욱 철저하게 발전하여 완성된다. 빚탕감법을 완성하시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살펴보자.
예수님은 빌려줄 때 받을 생각을 말고 주라고 하셨다. 즉, 빌려줄 때 바로 탕감을 하라는 것이다. 이것은 안식년에만 빚을 탕감하는 구약을 더욱 철저하게 완성시키는 것이다. 눅 6:35: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빌리라(빌려주라).\" 눅 6:30도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다. : \"무릇 네게 구하는 자에게 주며, 네 것을 가져가는 자에게 다시 달라지 말며\" 나아가 예수님은 이렇게 동시에 빚을 탕감하면서 빌려주는 것, 즉 구제하는 것을 자랑하지 말고 남이 모르게 하라고 하신다. 마 6:4: \"네 구제함이 은밀하게 하라.\"
예수님은 가난한 자들에게 빚탕감을 일상화시키는 것 즉 구제로 안식년 빚탕감법을 완성시키는데서 그치지 않는다. 예수님의 율법의 완성은 더욱 철저하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가진 것을 팔아서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고 하신다.
\"네 있는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자들을 주라\"(막 10:21)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을 주라\"(마 19:21).
\"네 있는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자들을 나눠주라\"(눅 18:22)
\"너희 소유를 팔아 구제하여
낡아지지 아니하는 주머니를 만들라\"(눅 12:33).
빚을 탕감하는 것이 힘든가? 소유를 다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는 것이 더 무거운가? 예수님의 가르치심은 구약 안식일보다 더욱 지키기 힘든 완성된 율법이다. 이처럼 신약은 구약을 영적으로 하나님 나라 복음으로 완성할 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법을 통하여 율법적으로도 완성하는 것이다. 예수께서 명하신 소유를 포기하는 구제는 초대교회에서 코이노니아를 통해 실천된다.
참고문헌
민영진 - 희년의 의미, 민중과 한국신학,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82
박만 - 우리시대의 문화는 무엇인가?, 하나님 나라와 문화,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부, 2004
위르겐 몰트만 - 오시는 하나님
장진광 - 희년과 복음, 서울 : 두란노, 1994
M.짜뺄라 저 - 박요한·영식 역, 희년의 기원, 성바오로출판사, 1999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5.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