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기독교 죄][죽음][속죄]죄(기독교 죄)의 개념, 죄(기독교 죄)의 일반성, 죄(기독교 죄)의 기원, 죄(기독교 죄)의 만연, 죄(기독교 죄)의 깨우침, 죄(기독교 죄)와 죽음, 죄(기독교 죄)와 속죄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죄][기독교 죄][죽음][속죄]죄(기독교 죄)의 개념, 죄(기독교 죄)의 일반성, 죄(기독교 죄)의 기원, 죄(기독교 죄)의 만연, 죄(기독교 죄)의 깨우침, 죄(기독교 죄)와 죽음, 죄(기독교 죄)와 속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죄(기독교 죄)의 개념

Ⅱ. 죄(기독교 죄)의 일반성
1. 문제
2. 죄의 실제적 일반성
3. 아담의 죄

Ⅲ. 죄(기독교 죄)의 기원
1. 내부적 혁명
2. 우주적 혁명
3. 인간가족에 있어서의 혁명
4. 사람 자신의 구성에 있어서의 분열

Ⅳ. 죄(기독교 죄)의 만연

Ⅴ. 죄(기독교 죄)의 깨우침
1. 불신앙의 죄
2. 그리스도의 의
3. 사단의 심판

Ⅵ. 죄(기독교 죄)와 죽음
1. 벌로서의 죽음
2. 벌의 필연적 결과로서의 죽음
3. 모순된 표상들

Ⅶ. 죄(기독교 죄)와 속죄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나는 열매로 파악한 표상은 사실 서로 균형을 잃고 있다. 이 불합리성을 바울은 다른 용어를 선택함으로 은폐하고 있다.
Ⅶ. 죄(기독교 죄)와 속죄
히브리어로 속죄라는 말은 \"가리다\"(cover)를 의미하는데 영어 성경 흠정역 에는 여러 가지 말로 번역되었다. 속죄하다,(죄를)속하다, 화해시키다, 진정시키다, 용서하다, 자비스럽게 대하다, 연기하다 등 여러 가지 뜻으로 번역 되었다.
히브리 원어의 속죄라는 말은 죄와(시78:38, 79:9, 레5:18), 죄인(레4:20)을 가리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죄를 사한 다는 것은 하나님의 진노를 불러 이르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님이 보시지 않도록 죄를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알프레드 케이브(Alfred Cane) 박사의 글을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히브리 언어로 속죄라는 말은 \"가린다\"의 뜻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이 보시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리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시선을 다른 곳에 집중시키게 하는 것을 또한 뜻한다. 즉 다시 말하면 하나님의 의분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죄를 속한다는 것은 죄가 보이지 않도록 빛나는 베일로 죄를 가리어 완전히 시선을 다른 데로 집중시키는 것을 뜻한다. 신약에서는(의의) 새로운 옷이란 말을 사용하고 있는데 구약에서는 \"속죄\"를 의미하였다. 율법 하에서 속죄가 행하여 질 때에는 죄와 더러움을 보고 노여워 불타오르는 하나님의 눈을 죄를 가린 옷으로 진정 시켰던 것이다.
좀 더 비추어져 들어났을 때에 그 빛으로부터 감싸지는 것을 말한다. 속죄는 죄인을 가리는 것을 의미하므로 어떤 의미에 있어서 죄는 보이지 않으며 또한 존재치 않음으로 죄가 인간과 그의 창조주 사이에 이 이상 더 끼어 들 수 없는 것이다. 독일 신학자의 말을 빌리면 \'범죄한 영혼이 하나님의 거룩하심이 거하 는 하나님의 제단 앞에 나올 때에 범죄한 영혼의 죄의 본질은 그와 하나님의 제 단 앞에 나올 때에 범죄한 영혼의 죄의 본질은 그와 하나님 사이에 끼어든다. 그러나 속죄의 능력이 죄를 가림으로 고발된 그의 죄는 도말되는 것이다.\"
제사장이 제단에 피를 받쳤을 때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자기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이 자기를 위하여 실현되었다고 확신하였다. \"내가 피를 볼 때에 너희를 넘어가리니\"(출12:13).
속죄의 결과는 어떤 것들인가? 죄가 말살되었다(렘18:23 사43:25,44:22).죄가 제거되었다 (사6:7). 죄가 가리어졌다(시32:1). 죄가 깊은 바다에 던지어졌다.(미7:19). 죄가 하나님의 등 뒤에 던져졌다(사38:17). 죄가 사해졌다(시78: 38). 위에 인용한 성경 구절을 상고하여 보면 속죄의 결과는 죄가 제거되고 보이지 않게 되고 무효로 되어 종당에는 죄가 가리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호와께서는 이상 더 죄를 보시지 않는다. 그리고 죄도 그에게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 한다.
그리스도의 죽음은 인류의 죄를 제거하기 위한 죽음이기 때문에 속죄의 죽음이다(히9:26,28,2:17,10:12-14,9:14). 또한 그의 죽음은 희생의 죽음으로서 죄와 관련된 죽음이다. 그러면 그 관계는 어떤 관계인가?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벧전2:24) \"하나님이 죄를 알지도 못하신 자로 우리를 대신하여 죄를 삼으신 것은 우리로 하여금 저의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고후5:21). 죄를 속하는 것은 죄를 범한 사람으로부터 죄를 제거하는 것 을 뜻한다. 죄를 범한 사람이 속죄함을 받음으로써 모든 불의를 떠나 의롭다함을 받게 되며 온갖 더러움으로부터 깨끗함을 받아 하나님의 백성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깨끗하게 한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의 글자 그대로의 뜻은 \"죄를 제거한다.\"를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속죄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죄인들의 죄는 제거된다. 곧 저들은 그리스도를 위하여 살고자 죄에 대하여 죽는 것이다.
참고문헌
* 이상돈(2003), 죄형법정주의, 고시계
* 유명렬(2006), 하나님의 형상 이해에 기초한 성화 연구, 총신대학교 신학 석사(Th.M), 학위 청구 논문
* 조영엽(2000), 신론·인죄론,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 존 오웬(종교기관단체인) 저, 조계광 역(2007), 죄와 유혹(국판), 생명의말씀사
* 홍영택(2004), 하나님의 용서와 사람의 용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헹겔 저, 전경연 역(2003), 신약성서의 속죄론 마르틴, 대한기독교서회

키워드

,   기독교,   속죄,   죽음,   깨우침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5.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