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 핵심들을 배반하는 형태로 실
행되었음이 물론이다. 가장 악명 높은 사례는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미국을 휩쓸었던 매카시즘의 광풍이었다. 그러나 한국 자유주의
의 굴절과 계곡은 냉전 체제 안에서도 그 강도와 정도가 심했으며, 오랫동
안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정치적 상상력을 피폐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절차적 민주주의가 진전되어감에 따라 수구적 한국 자유주의에 대한 반
성도 자연스럽게 제기되었다. 자유주의에 대한 이념적 자기성찰을 감당할
능력과 비전을 갖추지 못했던 보수 일색의 제도정치권 '안'이 아니라 그
'밖'에서 한국 자유주의의 개혁과 수정을 위한 중요한 노력들이 전개되었
다는 것은 우리 사회의 취약성과 강점을 동시에 증명한다. 이 가운데서도
시민사회의 힘과 역동성은 놀랄 만한 것이어서 민주화를 이끄는 견인차 역
할을 담당했다. 시민들은 결정적인 역사의 순간에 여러 번 적극적으로 개
입하여 민주주의를 비약시키고 한국 자유주의의 전향적 변화를 추동한 주
체였던 것이다. 자유주의적 시민사회의 성장은 한편으로 경실련이나 참여
연대, 환경연합 같은 시민사회 단체의 출범에 의해 의미심장한 전환을 경
험하게 된다.
그렇다면 '낡은 수구좌파와 수구우파가 주도하는 정치"를 끝장내고 '한
국적 현실에 맞는 21세기형 자유주의"를 건설한다며 2004년 말 출범했던
'자유주의 연대' 등의 뉴라이트 운동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수
구우파가 독점하다시피 한 한국 자유주의 담론의 창신(側新)을 외쳤다는
점에서 이들의 문제제기에 의미가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자유
주의 연대의 자유주의적 문제설정은 1989년 출발한 경실련이나 19년 설
립된 참여연대 등의 자유주의관보다 현저히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약점을 출발 당시부터 가지고 있었다. 중도적 자유민주주의나 사안에 따라
정의 지향적 자유주의관까지 피력하는 주류 시민단체의 지향에 비추어보
면 자유주의 연대의 자유관은 경제적 자유주의의 소극적 자유 이해를 신자
유주의적 상황에 맞추어 시대착오적으로 조합한 데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들의 실천적 레제라고도 할 수 있을 “자유주의자의 길” 이 이를 입증한
다"10개의 명제 가운데 경제 노선을천명하는 '작은 정부-큰 시장', '자
유무역협정을 통한 열린 통상대국 건설', '빈부격차의 해소가 아니라 빈곤
의 해소'를 지향한다는 명제들은 분명한 한국적 신자유주의의 길에 대한
지향이다. 문제는 성장뿐만 아니라 한국의 현실에서 균형감각과 비전을 갖
춘 개혁 지향적 자유주의 담론이라면 반드시 포함해야 할 분배정의의 중요
성에 대한 인식이 원천적으로 결여되어 있었다는 데 있다. 자유주의를 강
건하게 탈민주적 평등의 정신도 '모든 특권을 철폐하며 만민에게 기회의
평등을 보장한다'는 막연한 수사로 그치고 있는 것이다. 경제정의가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기회균등이 가능하며, 특권의 폐지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들은 침묵하고 있었을 뿐이다.
자유주의 연대 같은 신우파의 또 다른 퇴행성은 참여의 증진을 통한 민
주적 시민권의 확장에 대해 적극적 비전을 결여하고 있다는 데서 발견된
다. 이 부분은 경제정의에 대한 그들의 취약한감수성의 자연스러운 귀결
이기도 하다. 그 결과 북한 민주화의 화급성에 대한 이들의 정당한 강조조
차 국내 정치용 선전에 불과하다는 혐의를 받게 되었던 것이다. 자유주의
연대 등의 뉴라이트 운동이 드러냈던 자유주의이론의 빈곤은 국내 정치의
한 주체로 단기간에 우뚝 서고자 했던 이들의 정치적 욕망의 과잉 상태와
기묘한 방식으로 동행했다. 결국 한국의 뉴라이트 운동에는 자유주의를 전
향적으로 개량해 재구성하겠다는 차분한 지적 노력보다는, 낡아빠진 한국
자유주의를 다시 분칠해 사회정치적 권력으로서 득세하고자 했던 정치공
학적 선택이 애당초 앞섰던 것이다. 신보수로의 정권교체가 이루어짐으로
써 뉴라이트의 어용권력화가 노골적으로 진행되면서 뉴라이트 지식인조차
'뉴라이트가 죽었다'고 선언하는 상황보다 이들의 이념적 파산 상태를 극
명하게 입증하는 것도 드물 것이다.
*참고문헌
-그레이 존, ‘자유주의’, 이후, 2007
-박길성 · 이택면, ‘경제사회학 이론’. 나남, 2007
-김흥우, ‘현상학과 정치철학', 문학과지성사, 1999
-김병국 외, ‘한국의 보수주의’, 인간사랑, 1999
-김선욱, ‘정치와 진리’, 책세상. 2001
-유홍림, ‘현대정치사상 연구’. 인간사랑. 2003
-최장집 외, ‘어떤 민주주의인가’. 후마니타스. 2007
행되었음이 물론이다. 가장 악명 높은 사례는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미국을 휩쓸었던 매카시즘의 광풍이었다. 그러나 한국 자유주의
의 굴절과 계곡은 냉전 체제 안에서도 그 강도와 정도가 심했으며, 오랫동
안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정치적 상상력을 피폐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절차적 민주주의가 진전되어감에 따라 수구적 한국 자유주의에 대한 반
성도 자연스럽게 제기되었다. 자유주의에 대한 이념적 자기성찰을 감당할
능력과 비전을 갖추지 못했던 보수 일색의 제도정치권 '안'이 아니라 그
'밖'에서 한국 자유주의의 개혁과 수정을 위한 중요한 노력들이 전개되었
다는 것은 우리 사회의 취약성과 강점을 동시에 증명한다. 이 가운데서도
시민사회의 힘과 역동성은 놀랄 만한 것이어서 민주화를 이끄는 견인차 역
할을 담당했다. 시민들은 결정적인 역사의 순간에 여러 번 적극적으로 개
입하여 민주주의를 비약시키고 한국 자유주의의 전향적 변화를 추동한 주
체였던 것이다. 자유주의적 시민사회의 성장은 한편으로 경실련이나 참여
연대, 환경연합 같은 시민사회 단체의 출범에 의해 의미심장한 전환을 경
험하게 된다.
그렇다면 '낡은 수구좌파와 수구우파가 주도하는 정치"를 끝장내고 '한
국적 현실에 맞는 21세기형 자유주의"를 건설한다며 2004년 말 출범했던
'자유주의 연대' 등의 뉴라이트 운동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수
구우파가 독점하다시피 한 한국 자유주의 담론의 창신(側新)을 외쳤다는
점에서 이들의 문제제기에 의미가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자유
주의 연대의 자유주의적 문제설정은 1989년 출발한 경실련이나 19년 설
립된 참여연대 등의 자유주의관보다 현저히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약점을 출발 당시부터 가지고 있었다. 중도적 자유민주주의나 사안에 따라
정의 지향적 자유주의관까지 피력하는 주류 시민단체의 지향에 비추어보
면 자유주의 연대의 자유관은 경제적 자유주의의 소극적 자유 이해를 신자
유주의적 상황에 맞추어 시대착오적으로 조합한 데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들의 실천적 레제라고도 할 수 있을 “자유주의자의 길” 이 이를 입증한
다"10개의 명제 가운데 경제 노선을천명하는 '작은 정부-큰 시장', '자
유무역협정을 통한 열린 통상대국 건설', '빈부격차의 해소가 아니라 빈곤
의 해소'를 지향한다는 명제들은 분명한 한국적 신자유주의의 길에 대한
지향이다. 문제는 성장뿐만 아니라 한국의 현실에서 균형감각과 비전을 갖
춘 개혁 지향적 자유주의 담론이라면 반드시 포함해야 할 분배정의의 중요
성에 대한 인식이 원천적으로 결여되어 있었다는 데 있다. 자유주의를 강
건하게 탈민주적 평등의 정신도 '모든 특권을 철폐하며 만민에게 기회의
평등을 보장한다'는 막연한 수사로 그치고 있는 것이다. 경제정의가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기회균등이 가능하며, 특권의 폐지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들은 침묵하고 있었을 뿐이다.
자유주의 연대 같은 신우파의 또 다른 퇴행성은 참여의 증진을 통한 민
주적 시민권의 확장에 대해 적극적 비전을 결여하고 있다는 데서 발견된
다. 이 부분은 경제정의에 대한 그들의 취약한감수성의 자연스러운 귀결
이기도 하다. 그 결과 북한 민주화의 화급성에 대한 이들의 정당한 강조조
차 국내 정치용 선전에 불과하다는 혐의를 받게 되었던 것이다. 자유주의
연대 등의 뉴라이트 운동이 드러냈던 자유주의이론의 빈곤은 국내 정치의
한 주체로 단기간에 우뚝 서고자 했던 이들의 정치적 욕망의 과잉 상태와
기묘한 방식으로 동행했다. 결국 한국의 뉴라이트 운동에는 자유주의를 전
향적으로 개량해 재구성하겠다는 차분한 지적 노력보다는, 낡아빠진 한국
자유주의를 다시 분칠해 사회정치적 권력으로서 득세하고자 했던 정치공
학적 선택이 애당초 앞섰던 것이다. 신보수로의 정권교체가 이루어짐으로
써 뉴라이트의 어용권력화가 노골적으로 진행되면서 뉴라이트 지식인조차
'뉴라이트가 죽었다'고 선언하는 상황보다 이들의 이념적 파산 상태를 극
명하게 입증하는 것도 드물 것이다.
*참고문헌
-그레이 존, ‘자유주의’, 이후, 2007
-박길성 · 이택면, ‘경제사회학 이론’. 나남, 2007
-김흥우, ‘현상학과 정치철학', 문학과지성사, 1999
-김병국 외, ‘한국의 보수주의’, 인간사랑, 1999
-김선욱, ‘정치와 진리’, 책세상. 2001
-유홍림, ‘현대정치사상 연구’. 인간사랑. 2003
-최장집 외, ‘어떤 민주주의인가’. 후마니타스. 2007
추천자료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요와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수련시설의 개요, 필요성, 기본원리,...
(한국사회문제C형)홍익대 청소노동자와 같은 파견노동자의 노동현실 개선방안모색-파견노동자...
[사회복지개론] 노인 문제의 개념과 현황 및 대응 방안(고령화의 진입은 여러가지 노인문제를...
[공연문화][공연문화 대상][공연문화 장소][공연문화 현황][공연문화 문제점][공연문화 활성...
[은행수수료, 은행, 수수료, 은행수수료 구조, 은행수수료 체계, 은행수수료 수익현황, 은행...
방과후학교의 개요, 현황, 방과후학교의 개선방안 - 방과후학교의 개념, 추진배경, 목표, 특...
우리나라 아동복지 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아동시설의 현황과...
아동복지 실천 대상자별 중 한 분야를 선택해서 개념,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을 정리하시오 ...
교원 행정업무 부담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연구방법과 분석결과,연구방법,교원 행정업...
지역사회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파악과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 청...
노인여가(老人餘暇)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노인여가의 특성과 현황 및 문제점, ...
[감정노동자 실태와 문제점 해결방안] 감정노동자 - 감정노동자의 특징, 감정노동자 원인, 감...
[도시숲 조성사례] 도시숲의 중요성, 현황, 조성사례, 도시숲 보전방안 - 도시숲 중요성, 현...
[청년실업] 청년실업 현황, 해외 사례, 청년실업 해결방안 - 청션실업 현황, 해외 사례,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