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원인론) 유전, 정신결함, 신체적 특징, 연령에 의한 범죄의 원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유전

1. 유전으로 인한 원인
2. 쌍생아 연구
3. 염색체이상 연구
4. 범죄인 가계연구
5. 입양아 연구

Ⅱ. 정신결함

1. 정신병질
2. 정신박약
3. 정신병

Ⅲ. 신체적 특징

Ⅳ. 연령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간질은 보통의 경우 뇌의 기질적인 문제로 인하여 발병하는 병으로 선천적 요인에 의
한 진성간질과 후천적 요인에 의한 증후성간질이 있다(천정환, 2005).
(3) 신체적 특징
이에 관한 연구로 Sheldon은 사람의 체격형을 구성하는 기본요소로 내배엽(상대적
으로 내장이 발달하고, 비만), 중배엽(상대적으로 배와 근육이 발달하고 키가 큼), 외배엽(상
대적으로 피부와 신경 등 부속기관이 발달하고, 세장형)으로 구분했고, Kretschmer는 '"신
체구조와 성격J 에서 체격형을 비만형, 투사형, 세장형으로 구분하고 혼합형과 발육이
상형을 인정했다. 한편, 글륙(Glueck)의 연구에서는 비행소년에 중배엽 우월형이 많다
고 하였으며(중배엽> 혼합형 > 내매엽 ) 외배엽 순), 리들(Riedl)의 연구에 따르면 투사형
은 상해죄가 가장 많고, 세장형은 사기죄가 가장 많으며, 비만형은 절도가 가장 많은
순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또한, 투사형은 조발범죄인이나 수형자 중에 가장 많다(천정
환, 2005).
(4) 연령
Hoche와 HoSmann은 범죄성을 나타낸 연령부터 소멸될 때의 연령까지의 과정을
그린 범죄생활곡선을 만들었고, Schwab는 누범자의 범죄 초발 연령과 체격형의 관계
를 나타낸 일반적 범죄생활곡선을 만들었다. 한편, 글륙 부부는 25-30세까지는 범죄
를 많이 하다가 그 연령기가 지나면 범죄가 감소한다는 성숙이론(나이가 들수록 범죄가
감소한다는 이론)을 발표했다. 연령대별 범죄의 특징을 보면 19세까지는 재산범죄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범죄원인은 사회적 부적응이고, 20-25세까지는 특히 강력범죄
와 과실범죄의 비율이 높다 26-40세까지는 사기, 횡령 등이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30대 중반과 후반에는 풍속범죄가 가장 많으며, 41-50세까지는 여성범죄, 공무원범
죄, 위조범죄의 증가로 전체 범죄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50대에는 재산범죄의 비율
이 높고 60대에는 위조범죄가 많다. 50-60세는 범죄량이 적어지는데 Exner의 "약함에
서의 범죄"를 특징으로 한다(천정환, 2005).
*참고문헌
-박영숙 외(2008). ‘교정복지론’. 청목출판사
-박종삼 외(2007). ‘사회복지학개론’. 학지사
-김용준 외(2005). ‘교정복지학개론’. 교학사
-양옥경 외(2000).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사
-오영근(2005). ‘형법각론’. 박영사
-이윤호(2007). ‘교정학’. 박영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5.0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