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섹터 모델) 페스토프의 삼각관계 모델, 빌리스 등의 수요공급 모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3대 섹터 모델

Ⅰ. 페스토프의 삼각관계 모델

Ⅱ. 빌리스 등의 수요공급 모델

1. 공급 모델: 조직 특성
2. 수요 모델: 휴먼서비스


*참고문헌

본문내용

받지 않고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일하고 활동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
기를 뜻하며, 이런 분위기를 조성하는 가장 적극적인 섹터를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공동체란 지역사회 주민들이 모임을 갖고 대화하고, 즐
기며 상부상조할 수 있는 분위기, 즉 시민사회의 활성화를 위한 무수
한 클럽, 협회, 모임 등의 제도적 기반을 의미하므로 곧 제3섹터 혹은
시민사회 영역의 확대와 활성화를 지칭한다.
· '공공섹터'는 사회의 소외층 혹은 빈곤층에 대한 휴먼서비스 차
원에서 사회보장 제도와 같은 제도적 장치를 통해 다른 섹터들
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재정적' 지원을 해줄 수 있다. 그럼에도
'사회적' 영역에서는 소극적인 입장에 있고, 특히 '개인적' 지원
과 '공동체' 지원에는 모호한 위치에 있다. 일부 개인적 및 공동
체 휴먼서비스 영역에서는 정부기관이 제3섹터보다 더욱 적극적
일 수 있지만 그밖에 다른 무수한 영역에서는 제3섹터 기관들보
다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의미에서 정부기관보다 제3섹터 기
관의 역할이 더욱 중시되는 추세에 있다.
· 영리섹터'는 '개인적' 영역에서는 경우에 따라 적극 혹은 소극적
일 수 있지만, '재정', '사회' 및 '공동체' 영역에서는 다른 섹터
들에 비해 가장 소극적인 위치에 있다. 즉, 휴먼서비스를 가장 기
대할 수 없는 것이 '영리섹터'인 것이다. 영리섹터의 한계 때문에
도 제3섹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 '자원섹터'는 '재정'을 제외한 다른 모든 영역에서 가장 적극적이
다. 개인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될 때 가족이나 친지 이외에 종
교기관 등 제3섹터 기관들이 무이자로 대출해주는 대여기관 역
할을 하는 사례들이 이스라엘 및 유대인 집단생활 지역에서는 활
성화된 전통이 있으나(Jaffe 1995), 다른 사회에서는 제3섹터가
'재정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개인
차원의 휴먼서비스 지원뿐 아니라 개인과 집단의 사회생활 및 공
동체 생활에서 가장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사회기관이
다.
*참고문헌
-주성수(2003). ‘기업시민정신과 NGO’
-박재영(1998). ‘국제기구정치론’. 법문사
-서영진, 주성수(2000). ‘UN, NGO, 글로벌 시민사회’
-김선미(2003). ‘정책과정에서의 NGO의 영향력과 분석모델’
-이형진 역(2000). ‘NPO란 무엇인가’
-조희연(2000). ‘한국 시민사회단체(NGO)의 역사, 현황과 과제’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5.0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0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