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NGO에 대한 비판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한국 NGO에 대한 비판

Ⅱ. 한국 NGO의 문제점

Ⅲ. 한국 NGO의 발전방안

본문내용

계적으로 교육해야 한다. 그리고 대학도
교양 과정에서 시민사회, 시민운동, NGO, 자원봉사활동, 민주시민
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공영방송도 공익광고와 기획 프로그
램 등을 통해 시민참여의 중요성을 알려나가야 한다. 온라인에서의
담론의 활성화가 오프라인에서의 참여로 전환된다는 점에서 온라인
의 통신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한국 NGO가 중앙에만 집중하고 지방에서 공동화 된다.
는 것은 매우 심각하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울에 집중된
대형 NGO들이 지방의 NGO를 활성하기 위한부화기(incubator) 역할
을 해야 한다. 중앙과 지방 간의 상호연대, 정보교환, 상근자 순환
근무, 사무관리 교육 등을 실시함으로써 지방 NGO의 양적 확대와
질적 고양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지방의 지식인들이 지방정치의
활성화와 지방민의 참의 질을 증대하기 위해 지방의 시민사회가 활성
화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지방 NGO의 활성화를 위한 매개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나아가 지방정부도 지방 NGO의 활성화가 지방자치
의 실질적인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지방 NGO의 육성
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방 NGO의 정책참여 확대, 로컬
거버넌스의 강화, 지역 NGO센터의 건립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넷째, NGO 내부의 민주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NGO 상근자
가 적절한 재교육을 통해 민주적 리더십을 학습하고 과학적 관리능력
을 증대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국의 주요 거점에 있는 대학에서
다양한 NGO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시민
사회 내에서 시민사회의 역량증대를 위한 대학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정부가 정책적으로 강화할 수도
있다. 내부의 도덕성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훈련, 체험, 좌담, 명상
등과 같은 전문적인 재교육을 실시하고 조직문화를 강화해야 한다.
단체 내에서 회원 간의 다양한 내부조직을 활성화하고 이들이 단체의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것도 조직의 민주성과 도덕성을 증대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다섯째, 한국NGO의 미래는 젊은 세대들의 역량에 달려 있다는
점에서 젊은 세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조직적문화적 환경
을 만들어가야 한다. 이를 위해 민주적 의사결정, 네트워크형 조직,
탈물질적 가치의 수용, 다양한 문화적 체험, 시스템의 자기학습능력,
사이버 시민운동 등이 가능한 조직으로 만들어가야 한다. 국제사회에
서 한국NGO가 일정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국제협력과 연대를
강화해야 한다. 한국 NGO는 이제 제3세계에 대한 지원과 원조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아시아에서는 한국 NGO가 서구 근대문명을
넘는 새로운 문명을 창출하기 위해 아시아적 가치의 재발견, 아시아
NGO 간의 연대 활성화, NGO학 연구와 교육을 위한 허브(hub) 역할
등을 중시해야 한다. 나아가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와 통일 문제는
한국 NGO가 북한, 연변, 연해주 등으로 행동반경을 확대해야 함을
암시한다.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5.0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