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테일러와 진정성의 정치철학-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공동체주의 윤리
에서처럼 핵심적인 것으로 간주되면 곤란하다는 것이다. 현대사회의 기반
인 다원성과 자유가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유주의적 공동
체주의는 좋음의 역할에 대한 수정자유주의의 이런 부분적 시인이 결코 충
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테일러는 자신의 논변을 "공화주의적 레제(republican thesis)"라고 부른
다. 이는 "공화주의적 연대성이 자유의 근간'이며, 공화정의 또 다른 이름
인 "시민적-인본주의적 전통에 대한 복무가, 자유는 자발적 정치 참여에
의해 이해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롤스의 정치적 자
유주의에서 강조되는 참여의 정도나, 계약론적 잠정 협정을 넘어서는 "중
첩적 합의"에 근거한 헌신성으로는 현대 정체(政體)의 안정성과 유기적 담
보 능력이 충분치 못하다는 테일러의 확신에서 비롯된다. 현대 자유주의
정치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되는 소외나 저조한 참여율, 사회 기율의
붕괴는 그 명백한 증거이다.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시민들이 자신이 속한 정치조직체에 대해 갖는 따
뜻한 소속감과 동료 시민들에 대해 갖는 연대의식이야말로 "직접적 공동
선"의 원형이기 때문이다. 이는 코스모폴리탄적 보편주의를 위협하는 맹
목적인 애국심이 아니라, 문화다원주의 시대에 "인정의 정치"를 가능하게
할 소중한 문화적 자원이기도 하다. 따라서 자유주의가 결코 포기하지 않
으려 하는 절차주의적 합리성은 성찰적이면서도 행복한 살의 비전을 구체
화시키는 데는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좋음과 옳음의 선차성 논제와 관련
된 절차주의 일반의 적합성에 대한 테일러의 비판은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적 합리성에 대한 의문으로까지 확장된다.
하버마스는 포괄적 합리성 개념을 근간으로 서양 모더니티에 대한 철학
적 성찰을 심원한 방식으로 수행한 바 있다.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구도는
모더니티 분석의 주된 패러다임인 베버의 합리성이론이나 "계몽의 변증
법"에서 개진된 비판이론 1세대들의 문화산업 테제, 그리고 서구적 합리성
을 계보학적으로 해체하는 푸코 등에 대한 대안적 패러다임 역할을 한다.
그러나 테일러는 하버마스 이론의 강점과 입체적 성격을 십분 인정하면서
도, 객관적 실천적 미학적 합리성을 검증하는 상호 주관적 타당성 요구라
는 도식이 "우리 자신이 도덕적 원천의 거소(居所)로서 위치 지워진 질서
지평에 대한 정합적 탐구의 여지를 박탈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진정성
의 윤리 안에 담겨진 낭만주의적 통합과 자아실현의 계기가 하버마스의 미
학적 합리성 개념에 의해서는 제대로 포착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그 자체 흥미로운 논점이다.
*참고문헌
-그레이 존, ‘자유주의’, 이후, 2007
-박길성 · 이택면, ‘경제사회학 이론’. 나남, 2007
-김흥우, ‘현상학과 정치철학', 문학과지성사, 1999
-김병국 외, ‘한국의 보수주의’, 인간사랑, 1999
-김선욱, ‘정치와 진리’, 책세상. 2001
-유홍림, ‘현대정치사상 연구’. 인간사랑. 2003
-최장집 외, ‘어떤 민주주의인가’. 후마니타스. 2007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5.0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0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