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소개
2.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적 검사
5) 치료
6) 간호중재
7) 특수치료
8) 합병증
3.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2) 간호과정 기록지
-대사 이상과 관련된 지식부족과 영양결핍
-질병과 관련된 근육소모와 피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소개
2.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적 검사
5) 치료
6) 간호중재
7) 특수치료
8) 합병증
3.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2) 간호과정 기록지
-대사 이상과 관련된 지식부족과 영양결핍
-질병과 관련된 근육소모와 피로
본문내용
여 용량은 개인별로 약물효과와 내약성을 근거로 결정되어야 하며, 1일 추천 최대 용량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이 약은 위장관계 이상반응을 감소시키고 적절한 혈당조절에 필요한 최소용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반드시 저용량으로 투여를 시작해야 하며, 1일 2~3회, 1회 500mg을 식사와 함께 투약한다. 용량의 증가는 매주 500mg씩 점차적으로 증량하며, 2000mg까지 투약할 경우는 보통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분할하여 투약한다. 2000m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일 3회로 나누어 식사와 함께 투약하고 1일 최대용량은 2500mg이다.
투약 개시 및 용량 조절 시 이 약에 대한치료반응을 측정하고 최소 유효용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공복 시 혈당을 측정해야 한다. 혈중 당화 혈색소 농도를 약 3개월 간격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이 약의 치료 목표는 단일요법으로 투여하거나, 설폰요소계 또는 인슐린과병용투여 시, 최소 유효용량으로 투여하여 공복 시 혈당과 혈중 당화 혈색소 농도를 정상 수준 혹은 정상과 가까운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사요법만으로 혈당이 조절되던 환자가 일시적으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이 약을 단기간 투여하는 것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금기 : 심혈관계 허탈(쇽), 급성심근경색과 패혈증과 같은 상태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신장질환이나 신기능부전(혈청크레아티닌치가 남자는 1.5mg/dL 이상, 여자는 1.4mg/dL 이상인, 또는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비정상인) 환자
약물치료가 필요한 울혈성심부전 환자
방사선 요오드 조영물질을 정맥내 투여하는 검사(예 : 정맥요로 조영술, 정맥 담관 조영술, 혈관 조영술, 조영제를 사용한 컴퓨터단층촬영술 등)를 받는 환자(급성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고, 이 약을 투여 받는 환자에서는 유산산증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검사가 계획된 환자에서는 이 약을 적어도 투여 48시간 전에 중지해야 하고, 48시간 이후에 신기능을 재평가하고 정상으로 판명된 이후에만 치료를 재개한다.)
이 약 또는 비구아니드계 약물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제 1형 당뇨병, 혼수를 수반하거나 그렇지 않은 당뇨병케톤산증을 포함하는 급성 또는 만성 대사성산증 환자 및 케톤산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제1형 당뇨병과 당뇨병케톤산증은 인슐린으로 치료한다.]
중증감염증 또는 중증 외상성 전신장애 환자에서는 이 약의 치료는 일시적으로 중지되어야 하고 환자의 경구적 섭취가 회복되고 신기능이 정상으로 판명될 때 치료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수술 과정의 경우에(음식과 수액의 섭취에 제한이 없는 가벼운 수술은 제외) 이 약은 수술 48시간 전에 일시적으로 중지되어야 하고, 최소 48시간이 지난 후신기능이 정상이라고 판명된 후에 치료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영양불량상태, 기아상태, 쇠약상태, 뇌하수체 기능부전 또는 부신기능부전 환자
간 기능장애(손상된 간 기능은 유산산증의 몇몇 경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임상적 또는 실험실적으로 간 질환의 증거가 있는 환자에게는 이 약의 투여를 피해야 한다.), 폐경색, 중증의 폐기능 장애 환자 및 기타 저산소혈증을 수반하기 쉬운 상태, 과도한 알코올 섭취자, 탈수증, 설사, 구토 등의 위장장애 환자
` 임부,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
- 주의사항 : 불규칙한 식사, 식사 섭취량 부족
격렬한 근육운동
상호작용이 있는 약물을 투여하는 환자
4.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대사 이상과 관련된 지식부족과 영양결핍
7.19
7.22
2
질병과 관련된 근육소모와 피로
7.19
7.22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대사 이상과 관련된 지식부족과 영양결핍 ( 7 월 19 일 )
Subjective Data
`"당뇨조절이 안돼요"
Objective Data
갈증 허약감, 피로감 체중감소
다음, 다뇨, 다식 조절되지 않는 식욕 부적절한 식사습관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BST가 120~150으로 감소한다.
당뇨조절이 잘 된다고 말한다.
plan
환자의 당뇨질환에 대한 지식수준을 사정한다.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처방된 열량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제공한다.
처방된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투여한다.
고혈당이나 저혈당의 증세와 대처 방법을 교육한다.
Implication
환자의 당뇨질환에 대한 지식수준을 평가하였다.
당뇨질환에 대한 책자를 제공 후 교육하였다.
당이 많이 함유된 간식을 절제하도록 하였다(설탕, 꿀, 쨈 등).
처방된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주면서 저혈당 증세에 대해 교육하였다.
규칙적으로 BST검사를 하였다.
evaluation
FBS 74Mg/dl checked.
당뇨질환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였다.
# 2. Nsg Dx : 질병과 관련된 근육소모와 피로 ( 7 월 19 일 )
Subjective Data
`"피곤해요"
Objective Data
피로감 묻는 말에 귀찮아 함 계속 누워있음
Dizziness 권태감, 허약감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피로하지 않다고 말한다.
묻는 말에 대답도 잘 하고 꾸준한 산책도 다니며 운동을 한다.
plan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휴식을 취하게 한다.
균형 잡힌 식이를 제공한다.
처방된 수액 및 영양제를 공급한다.
안정 후 점진적으로 활동량을 증가시킨다.
Implication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휴식기간은 하루 동안 고르게 분배하며 환자나 가족이나 친구들의 방문을
조절하였다.
고 칼륨, 저 염, 고 탄수화물, 고단백식이를 먹도록 교육하였다.
처방된 수액을 IV하였다.
급성기후 안정을 하면서 견딜 수 있을 정도의 활동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evaluation
fafigue 덜함.
원내 산책 다님
참고문헌
1.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2. 임상간호메뉴얼 (한윤복 외) / 수문사
3. 서길희 외, 기본간호학 상 하, 수문사, 2000
이 약은 위장관계 이상반응을 감소시키고 적절한 혈당조절에 필요한 최소용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반드시 저용량으로 투여를 시작해야 하며, 1일 2~3회, 1회 500mg을 식사와 함께 투약한다. 용량의 증가는 매주 500mg씩 점차적으로 증량하며, 2000mg까지 투약할 경우는 보통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분할하여 투약한다. 2000m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일 3회로 나누어 식사와 함께 투약하고 1일 최대용량은 2500mg이다.
투약 개시 및 용량 조절 시 이 약에 대한치료반응을 측정하고 최소 유효용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공복 시 혈당을 측정해야 한다. 혈중 당화 혈색소 농도를 약 3개월 간격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이 약의 치료 목표는 단일요법으로 투여하거나, 설폰요소계 또는 인슐린과병용투여 시, 최소 유효용량으로 투여하여 공복 시 혈당과 혈중 당화 혈색소 농도를 정상 수준 혹은 정상과 가까운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사요법만으로 혈당이 조절되던 환자가 일시적으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이 약을 단기간 투여하는 것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금기 : 심혈관계 허탈(쇽), 급성심근경색과 패혈증과 같은 상태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신장질환이나 신기능부전(혈청크레아티닌치가 남자는 1.5mg/dL 이상, 여자는 1.4mg/dL 이상인, 또는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비정상인) 환자
약물치료가 필요한 울혈성심부전 환자
방사선 요오드 조영물질을 정맥내 투여하는 검사(예 : 정맥요로 조영술, 정맥 담관 조영술, 혈관 조영술, 조영제를 사용한 컴퓨터단층촬영술 등)를 받는 환자(급성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고, 이 약을 투여 받는 환자에서는 유산산증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검사가 계획된 환자에서는 이 약을 적어도 투여 48시간 전에 중지해야 하고, 48시간 이후에 신기능을 재평가하고 정상으로 판명된 이후에만 치료를 재개한다.)
이 약 또는 비구아니드계 약물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제 1형 당뇨병, 혼수를 수반하거나 그렇지 않은 당뇨병케톤산증을 포함하는 급성 또는 만성 대사성산증 환자 및 케톤산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제1형 당뇨병과 당뇨병케톤산증은 인슐린으로 치료한다.]
중증감염증 또는 중증 외상성 전신장애 환자에서는 이 약의 치료는 일시적으로 중지되어야 하고 환자의 경구적 섭취가 회복되고 신기능이 정상으로 판명될 때 치료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수술 과정의 경우에(음식과 수액의 섭취에 제한이 없는 가벼운 수술은 제외) 이 약은 수술 48시간 전에 일시적으로 중지되어야 하고, 최소 48시간이 지난 후신기능이 정상이라고 판명된 후에 치료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영양불량상태, 기아상태, 쇠약상태, 뇌하수체 기능부전 또는 부신기능부전 환자
간 기능장애(손상된 간 기능은 유산산증의 몇몇 경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임상적 또는 실험실적으로 간 질환의 증거가 있는 환자에게는 이 약의 투여를 피해야 한다.), 폐경색, 중증의 폐기능 장애 환자 및 기타 저산소혈증을 수반하기 쉬운 상태, 과도한 알코올 섭취자, 탈수증, 설사, 구토 등의 위장장애 환자
` 임부,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
- 주의사항 : 불규칙한 식사, 식사 섭취량 부족
격렬한 근육운동
상호작용이 있는 약물을 투여하는 환자
4.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대사 이상과 관련된 지식부족과 영양결핍
7.19
7.22
2
질병과 관련된 근육소모와 피로
7.19
7.22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대사 이상과 관련된 지식부족과 영양결핍 ( 7 월 19 일 )
Subjective Data
`"당뇨조절이 안돼요"
Objective Data
갈증 허약감, 피로감 체중감소
다음, 다뇨, 다식 조절되지 않는 식욕 부적절한 식사습관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BST가 120~150으로 감소한다.
당뇨조절이 잘 된다고 말한다.
plan
환자의 당뇨질환에 대한 지식수준을 사정한다.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처방된 열량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제공한다.
처방된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투여한다.
고혈당이나 저혈당의 증세와 대처 방법을 교육한다.
Implication
환자의 당뇨질환에 대한 지식수준을 평가하였다.
당뇨질환에 대한 책자를 제공 후 교육하였다.
당이 많이 함유된 간식을 절제하도록 하였다(설탕, 꿀, 쨈 등).
처방된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주면서 저혈당 증세에 대해 교육하였다.
규칙적으로 BST검사를 하였다.
evaluation
FBS 74Mg/dl checked.
당뇨질환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였다.
# 2. Nsg Dx : 질병과 관련된 근육소모와 피로 ( 7 월 19 일 )
Subjective Data
`"피곤해요"
Objective Data
피로감 묻는 말에 귀찮아 함 계속 누워있음
Dizziness 권태감, 허약감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피로하지 않다고 말한다.
묻는 말에 대답도 잘 하고 꾸준한 산책도 다니며 운동을 한다.
plan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휴식을 취하게 한다.
균형 잡힌 식이를 제공한다.
처방된 수액 및 영양제를 공급한다.
안정 후 점진적으로 활동량을 증가시킨다.
Implication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휴식기간은 하루 동안 고르게 분배하며 환자나 가족이나 친구들의 방문을
조절하였다.
고 칼륨, 저 염, 고 탄수화물, 고단백식이를 먹도록 교육하였다.
처방된 수액을 IV하였다.
급성기후 안정을 하면서 견딜 수 있을 정도의 활동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evaluation
fafigue 덜함.
원내 산책 다님
참고문헌
1.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2. 임상간호메뉴얼 (한윤복 외) / 수문사
3. 서길희 외, 기본간호학 상 하, 수문사,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