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호르몬의 화학적 구분
2.호르몬의 작용
(1).스테로이드성 호르몬
(2).비스테로이드성 호르몬
3.호르몬 분비의 조절
(1).네가티브 피드백
(2).수용기의 숫자
2.호르몬의 작용
(1).스테로이드성 호르몬
(2).비스테로이드성 호르몬
3.호르몬 분비의 조절
(1).네가티브 피드백
(2).수용기의 숫자
본문내용
매시킨다. cAMP는 특정적인 생리적 반응을 가져 올 수 있는데 그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효소들의 활성화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
단백질 합성의 증진
세포 대사의 변화
세포 분비의 촉진
그러므로, 비스테로이드성 호르몬은 통상적으로 세포의 cAMP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며 cAMP는 세포 내부 작용에 있어서 변화를 가져온다.
3.호르몬 분비의 조절
호르몬은 비교적 짧은 순간에 많은 양이 급작스럽게 분비되는 것처럼 보이며 따라서 호르몬의 혈장 수준은 1시간 또는 그보다 짧은 시간 내에서도 변화한다. 그렇지만 호르몬 수준은 보다 긴 시간 동안에 걸쳐서도 변화하며 하루 또는 심지어 월단위의 주기를 보여준다.(ex-여성들의 월경 주기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변화). 어느 때에 호르몬을 분비해야 하는지를 내분비선들은 어떻게 알 수 있을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네가티브 피드백
대부분의 호르몬 분비는 네가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방식으로서 조절된다. 호르몬의 분비는 이체 내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데 이러한 변화는 호르몬의 추가적인 분비를 억제한다. 호르몬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생각해 보자.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자동 온도조절기(thermostat)는 신호를 보내서 화로(furnace)를 가동시킨다.
실내 온도가 설정된 수준으로 상승하면 자동 온도조절기의 신호가 중단되면서 화로의 가동이 정지된다. 온도가 설정된 수준 이하로 또다시 떨어지면 이러한 과정이 반복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느 특정적인 호르몬의 분비는 어떠한 특정적인 생리적 변화에 의해 시작 또는 중단된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분비계가 사용하는 기본적인 조절 방식은 네가티브 피드백 형태이다. 혈장 글루코스 수준과 호르몬 인슐린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혈장 글루코스 농도가 높으면 췌장(pancreas)은 인슐린을 분비한다. 인슐린은 세포의 글루코스 사용을 증가시킴으로서 혈장 글루코스 농도를 감소시킨다. 혈장 글루코스 농도가 정상으로 되돌아가면 인슐린의 분비는 혈장 글루코스 수준이 다시 상승할 때까지 억제된다.
(2) 수용기의 숫자
어느 특정한 호르몬의 혈장 수준이 바로 그 호르몬의 실질적인 작용의 가장 좋은 지표는 항상 아니지만 그것은 특정 호르몬에 대한 세포의 민감도(sensitivity)는 세포 수용기 숫자의 변화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편적으로, 특정 호르몬의 증가는 바로 그러한 호르몬과 결합할 수 있는 세포 수용기의 숫자를 감소시킨다. 이같은 변화가 일어나면, 세포는 그러한 호르몬에 대해 민감도가 떨어지는데 그 이유는 수용기의 숫자가 줄어들면 결합할 수 있는 호르몬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down-regulation 또는 desensitization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일부 비만인 사람들에서는 그들 세포의 인슐린 수용기 숫자가 감소되는 것처럼 보여진다.
그들의 신체는 췌장으로부터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로서 반응하며 따라서 혈장 인슐린 수준이 상승한다. 정상적인 건강한 사람들과 같은 정도로 혈장 글루코스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양의 인슐린을 분비해야만 한다.
이와는 달리, 적은 양의 호르몬이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세포는 그러한 호르몬에 대한 수용기의 숫자를 증가시킴으로서 반응할 수 있다. 이 같은 변화가 일어나면, 세포는 그러한 호르몬에 대해 보다 민감해지게 그것은 어느 순간에라도 더 많은 호르몬이 수용기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up-regulation이라고 부른다. 그 밖에도, 어느 한 호르몬은 때로는 다른 호르몬의 수용기를 조절할 수 있다.
효소들의 활성화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
단백질 합성의 증진
세포 대사의 변화
세포 분비의 촉진
그러므로, 비스테로이드성 호르몬은 통상적으로 세포의 cAMP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며 cAMP는 세포 내부 작용에 있어서 변화를 가져온다.
3.호르몬 분비의 조절
호르몬은 비교적 짧은 순간에 많은 양이 급작스럽게 분비되는 것처럼 보이며 따라서 호르몬의 혈장 수준은 1시간 또는 그보다 짧은 시간 내에서도 변화한다. 그렇지만 호르몬 수준은 보다 긴 시간 동안에 걸쳐서도 변화하며 하루 또는 심지어 월단위의 주기를 보여준다.(ex-여성들의 월경 주기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변화). 어느 때에 호르몬을 분비해야 하는지를 내분비선들은 어떻게 알 수 있을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네가티브 피드백
대부분의 호르몬 분비는 네가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방식으로서 조절된다. 호르몬의 분비는 이체 내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데 이러한 변화는 호르몬의 추가적인 분비를 억제한다. 호르몬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생각해 보자.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자동 온도조절기(thermostat)는 신호를 보내서 화로(furnace)를 가동시킨다.
실내 온도가 설정된 수준으로 상승하면 자동 온도조절기의 신호가 중단되면서 화로의 가동이 정지된다. 온도가 설정된 수준 이하로 또다시 떨어지면 이러한 과정이 반복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느 특정적인 호르몬의 분비는 어떠한 특정적인 생리적 변화에 의해 시작 또는 중단된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분비계가 사용하는 기본적인 조절 방식은 네가티브 피드백 형태이다. 혈장 글루코스 수준과 호르몬 인슐린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혈장 글루코스 농도가 높으면 췌장(pancreas)은 인슐린을 분비한다. 인슐린은 세포의 글루코스 사용을 증가시킴으로서 혈장 글루코스 농도를 감소시킨다. 혈장 글루코스 농도가 정상으로 되돌아가면 인슐린의 분비는 혈장 글루코스 수준이 다시 상승할 때까지 억제된다.
(2) 수용기의 숫자
어느 특정한 호르몬의 혈장 수준이 바로 그 호르몬의 실질적인 작용의 가장 좋은 지표는 항상 아니지만 그것은 특정 호르몬에 대한 세포의 민감도(sensitivity)는 세포 수용기 숫자의 변화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편적으로, 특정 호르몬의 증가는 바로 그러한 호르몬과 결합할 수 있는 세포 수용기의 숫자를 감소시킨다. 이같은 변화가 일어나면, 세포는 그러한 호르몬에 대해 민감도가 떨어지는데 그 이유는 수용기의 숫자가 줄어들면 결합할 수 있는 호르몬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down-regulation 또는 desensitization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일부 비만인 사람들에서는 그들 세포의 인슐린 수용기 숫자가 감소되는 것처럼 보여진다.
그들의 신체는 췌장으로부터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로서 반응하며 따라서 혈장 인슐린 수준이 상승한다. 정상적인 건강한 사람들과 같은 정도로 혈장 글루코스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양의 인슐린을 분비해야만 한다.
이와는 달리, 적은 양의 호르몬이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세포는 그러한 호르몬에 대한 수용기의 숫자를 증가시킴으로서 반응할 수 있다. 이 같은 변화가 일어나면, 세포는 그러한 호르몬에 대해 보다 민감해지게 그것은 어느 순간에라도 더 많은 호르몬이 수용기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up-regulation이라고 부른다. 그 밖에도, 어느 한 호르몬은 때로는 다른 호르몬의 수용기를 조절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