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생애
2.사상
3.감상
2.사상
3.감상
본문내용
만약 내가 왕이었다면 민협의회 따위를 주장하는 신하는 단번에 목을 벴을 텐데, 그것을 살려둔 왕이나 위험을 무릎 쓰고 그런 생각을 만들어낸 신하다 모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그런 왕과 신하가 있었기에 우리가 지금 이렇게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하면 참 고마운 마음이 생긴다.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조현규, 새문사, 2002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조현규, 새문사, 2002
추천자료
경세치용학파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실학] 실학이란...
실학경제사상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에 관하여
실학에 대하여, 그리고 나의 생각
실학사상의 의의와 계승발전 방안
[실학사상]조선후기 실학사상
실학사상의 내용과 특징
실학파의 경제사상
강간 및 패륜에 대한 조선시대의 형률과 정약용의 인식에 대한 고찰하시오
교육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의...
조선 후기 실학에 대하여 [실학 사상 전개과정, 실학파 계보, 실학자, 실학 종류]
고전 함께 읽기 1 만약 정약용이 나에게 목민심서를 가르쳐준다면 나는 목민심서의 어떤 덕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