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개념
Ⅲ.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배경
Ⅳ.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특성
Ⅴ.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내용
Ⅵ.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교육적 시사점
1. 발판역할
2. 교수적 대화
3. 상보적 교수(reciprocal teaching)
4. 협동학습
참고문헌
Ⅱ.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개념
Ⅲ.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배경
Ⅳ.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특성
Ⅴ.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내용
Ⅵ.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교육적 시사점
1. 발판역할
2. 교수적 대화
3. 상보적 교수(reciprocal teaching)
4. 협동학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정되는 잠재적 발달 수준과의 간격이다.
또한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달리 환경의 자극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도구(tools)를 매개로 하여 반응하며, 인간의 정신활동도 도구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며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언어를 매개로 한다. 그러므로 사회적 정신, 즉 문화를 내면화하는 것이 개인의 정신발달이며, 정신의 발달을 위한 사회와의 상호작용은 근접발달대(ZPD) 내에서 발생하여야 한다(Rogoff & Wersch, 1984, Vygotsky, 1978). 그리고 근접발달대는 이미 발달한 능력이 아니라 가까운 장래에 발달할 잠재능력으로 근접발달대 내에서의 교수는 현재의 발달 수준보다 선행하는 발달을 이끄는 교수이다. 따라서 Vygotsky는 교수가 학습과 발달을 유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보기 때문에 교수가 발달보다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근접발달대와 유사한 개념으로 scaffolding을 들 수 있다(Wood, 1980).
Ⅵ.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교육적 시사점
1. 발판역할
교사는 아동의 근접발달지역을 파악하여 이를 자극하는 발판역할을 해야 한다.
2. 교수적 대화
교수적 대화는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계획된 것으로 학생 모두를 실제 토론에 참가시켜 학생들이 언어를 창조하고 조작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어야 한다.
3. 상보적 교수(reciprocal teaching)
교사는 기술에 대한 시범을 보임으로써 문제해결의 단계를 안내하고, 문제의 일부를 풀어 주며, 세부적인 피드백을 주고 교정을 해줌으로써 학습에 도움을 줘서, 점차적으로 학생들 스스로의 힘으로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4. 협동학습
학습능력이 다른 학생들로 구성되는 협동학습은, 능력이 뛰어난 학생에게는 막 이해한 부분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생에게는 근접발달지역 내에서 기능 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므로 아동의 지적 발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문헌
비고츠키의 사회 속의 정신-고등심리과정의 발달, 양서원
신명희 -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1998
엘레나 보드로바·데보라 J. 리옹 - 정신의 도구 : 비고츠키 유아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조선미 -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탐색, 석사논문, 인천교육대 교육대학원, 2001
한순미 - 비고스키와 교육, 교육과학사, 1999
또한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달리 환경의 자극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도구(tools)를 매개로 하여 반응하며, 인간의 정신활동도 도구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며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언어를 매개로 한다. 그러므로 사회적 정신, 즉 문화를 내면화하는 것이 개인의 정신발달이며, 정신의 발달을 위한 사회와의 상호작용은 근접발달대(ZPD) 내에서 발생하여야 한다(Rogoff & Wersch, 1984, Vygotsky, 1978). 그리고 근접발달대는 이미 발달한 능력이 아니라 가까운 장래에 발달할 잠재능력으로 근접발달대 내에서의 교수는 현재의 발달 수준보다 선행하는 발달을 이끄는 교수이다. 따라서 Vygotsky는 교수가 학습과 발달을 유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보기 때문에 교수가 발달보다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근접발달대와 유사한 개념으로 scaffolding을 들 수 있다(Wood, 1980).
Ⅵ.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의 교육적 시사점
1. 발판역할
교사는 아동의 근접발달지역을 파악하여 이를 자극하는 발판역할을 해야 한다.
2. 교수적 대화
교수적 대화는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계획된 것으로 학생 모두를 실제 토론에 참가시켜 학생들이 언어를 창조하고 조작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어야 한다.
3. 상보적 교수(reciprocal teaching)
교사는 기술에 대한 시범을 보임으로써 문제해결의 단계를 안내하고, 문제의 일부를 풀어 주며, 세부적인 피드백을 주고 교정을 해줌으로써 학습에 도움을 줘서, 점차적으로 학생들 스스로의 힘으로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4. 협동학습
학습능력이 다른 학생들로 구성되는 협동학습은, 능력이 뛰어난 학생에게는 막 이해한 부분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생에게는 근접발달지역 내에서 기능 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므로 아동의 지적 발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문헌
비고츠키의 사회 속의 정신-고등심리과정의 발달, 양서원
신명희 - 교육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1998
엘레나 보드로바·데보라 J. 리옹 - 정신의 도구 : 비고츠키 유아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조선미 -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탐색, 석사논문, 인천교육대 교육대학원, 2001
한순미 - 비고스키와 교육, 교육과학사, 1999
추천자료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
피아제 vs 비고츠키 인지발달 이론 비교
[교육심리학]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 비교분석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 이론
학자별 정리 리포트 (프로이드의 심리성욕 이론,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
피아제 vs 비고츠키 -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접근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에 대해 비교 서술하시오.
[아동발달]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을 비교하여 설명한 후 공통점과 차이점 및 시...
아동의 인지발달 - 피아제의 인지발달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 및 정보처리 이론
비고츠키의 인지적 발달 이론에 대한 이해와 피아제 이론 비교 분석
비고츠키(Vygotsky)인지발달 이론과 피아제(Piaget)인지발달 이론 비교 설명
행동주의 이론과 인지발달 이론을 비교, 설명하시오.(파블로프, 스키너, 반두라, 피아제, 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