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발달단계와 무의식,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성격구조와 초자아,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오이디푸스콤플렉스,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영화예술분석 사례,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비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발달단계와 무의식,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성격구조와 초자아,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오이디푸스콤플렉스,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영화예술분석 사례,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비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프로이드의 약력

Ⅲ.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정의와 목적

Ⅳ.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발달단계
1. 구강기(oral stage 0-2세)
2. 항문기(anal stage 2-3세)
3. 남근기(phallic stage 3-5세)
4. 잠복기(latent stage 6-12세)
5. 성기기(genital stage 12세 이후)

Ⅴ.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무의식

Ⅵ.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성격구조
1. 이드 id
2. 자아 ego
3. 초자아 superego

Ⅶ.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초자아

Ⅷ.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오이디푸스콤플렉스

Ⅸ.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영화예술분석 사례

Ⅹ.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비판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예술과 영상예술의 갈등관계를 표출시키는 포석이다. 이브의 아빠는 시나리오 작가이다. 그는 존 웨인과의 관계를 떠벌리며 이 유명한 영화배우와 함께 찍은 가족사진을 자랑하기도 하고 영화 포스터들이 병원 입원실에 붙어있기도 하다. 그런 아빠가 끊임없이 내뱉는 ‘별 볼일 없는 물건’에 대한 빈정거림, 특히 우람한 존 웨인의 상대적으로 ‘왜소한’ 물건에 대한 빈정거림은 상처받은 문자예술의 자의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의 죽음은 남편과 가정을 떠난 여자로 말미암은 것이며, 이때 그 여자는 문자예술의 지배적 상황을 벗어난 영상예술의 자신감 넘치는 자의식을 구현한다. 영화에서는 시종일관 여자들의 전화 목소리가 판을 휩쓸고 있으며, 이는 이런 맥락에서 결코 우연이 아니다. 문자예술과 영상예술의 갈등관계가 다름 아닌 전화로 부각되는 목소리와 그 목소리에 이어 표현되는 영상이라는 시청각 매체를 빌려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텔런트인 막내 매디와 이벤트 기획자 이브가 마지막 시퀀스에서 잡지의 편집인인 조지아의 검은 옷에 밀가루를 뿌리고 그녀를 놀리며 서로 웃고 즐기는 장면은 인상적이다. 이 영화에서도 영상예술의 자신만만한 자의식이 거듭 확인되고 있는 셈이다. 재미있는 것은 문자예술의 진영에 자리잡고 있는 조지아의 자신만만한 자의식이 밀가루 해프닝을 통해 어느새 그녀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이브와 매디가 구현하는 영상예술의 자의식으로 옮겨가 있다는 사실이다.
<아메리칸 뷰티> 또는 <눈을 크게 감고/아이즈 와이드 셧>
<아메리칸 뷰티>의 가장 재미있는 허구적 설정은 주인공 레스터와 리키의 아버지인 옆집 남자와의 관계이다. 리키의 아버지는 동성애와 마리화나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다. 그런 그가 레스터를 동성애자로 잘못 간주하고 그에게 자신의 동성애적 경향을 드러낸다. 그는 딸의 친구 안젤라를 사랑하는 레스터를 결국 살해한다.
한편 레스터의 딸 제인은 아빠를 죽이고 싶다며 리키에게 아빠를 죽여달라고 부탁하기까지 한다. 성의 풍속도가 적나라하게 노출되며 미국 중산층에 대한 신랄한 풍자를 연출하고 있는 이 영화는 동성애, 부친살해, 근친상간 등의 정신분석학적 소재를 마음껏 자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영화를 정신분석학에 대한 풍자로도 이해할 수 있다. 영화를 발현몽으로 보고 그 잠재몽을 캐보려는 헛된 노력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수많은 정신분석학적 소재가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등장인물들의 영혼을 치료해주는 인물로 설정된 사람이 리키다. 그리고 그는 가장 상처받은 영혼인 제인의 일거수 일투족을 기록하여 보관한다. 꿈에 등장하는 인물인 안젤라에 주목하는 관객과 달리 리키는 꿈을 꾸는 인물인 제인을 주목한다. 그가 정신병동에 수감되었다가 나온 인물이라는 설정 또한 흥미롭다. 정신분석학적 요인이 많은 영화에서 굳이 정신분석 의사에 가까운 인물을 찾자면 리키가 그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영화는 그런 만큼 더욱 풍자적 성격을 갖게 된다. 영화관객의 엿보기 심리를 구현하고 있는 듯이 보이는 리키는 그의 아버지가 믿듯이 동성연애자도 아니고 또는 그의 아버지처럼 부정적인 정신병 환자도 아니다. 엿보기를 꿈꾸는 사람은 오히려 관객 쪽이다. 뒤집어진 사회, 거꾸로 된 사회의 초상화가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리키라는 이름의 ‘정신과 의사’에게 자신의 유아심리를 투사하는 관객의 전이심리가 사실은 문제되고 있는 것이다.
관객은 스스로 믿듯이, 영화감독이 마련해준 자리에서 여유를 부리며 착각하듯 그렇게 정상적인 사람이 아니다. 영화에서는 오히려 관객의 노출되지 않은 복합심리가 ‘의사’에게 전이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며, 이 점이 이 영화의 뛰어난 연출효과를 보여준다. 영화에서 정신분석학은 겉보기에는 풍자의 대상이다. 그것은 이미 우디 앨런의 영화에서 충분히 다루어졌던 사실이기도 하다. 이 영화의 상업적 성공은 말하자면 그런 풍자를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이 영화가 예술적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차원을 뛰어넘는 자기 성찰의 시각, 즉 전이와 역전이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정신분석학의 시각이 있었기에 가능하다. 감독은 한편으로는 정신분석학을 상업화하기도 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그 창조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영화예술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영화예술과 정신분석학은 서로 충돌, 작용하며 발전하고 있다.
스탠리 큐브릭의 <눈을 크게 감고>는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소설 <꿈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것이다. 원작의 충실한 재현이 성공적으로 실현된 영화에서 눈에 띄게 차이가 나는 대목은 어찌 보면 당연하게도 <꿈의 소설>이라는 제목에서 강조되어 있는 바로 그 꿈의 장면이다. 소설에서 알베르티네가 남편인 프리돌린의 요구에 따라 들려주는 꿈의 내용은 길고 복잡하여 영화로 만들면 훨씬 더 강렬한 효과를 낼 수 있었을 터인데도 말이다. 7장으로 구성된 소설의 제5장에서 밝혀지는 꿈의 내용에 주목한 독자는 영화에서는 더 큰 기대감으로 이 장면을 기다리기 때문에 그 실망감은 더욱 더 크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Ⅹ.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비판
① 경험적 지지가 부족한 점에 대한 비판
-검증의 문제와 과학적 타당화의 어려움
-Kline(1981): 이론의 일반적 가정들이 경험적으로 검증될 수 없다고 결론내림.
-측정과 검증의 불가
Giovacchini(1983): 치료를 통한 심리적 통합- 측정 및 조작적으로 정의될 수 없다.
② 여성들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
③ 개념화에 대한 비판
-생물학적 추동에 대한 지나친 강조
-자신이 치료한 사례에서 개념이 발달한 점
대표성의 부족
비정상+상류층
자신의 이론과 관련된 부분만 추출했을 가능성
이론과 부합되도록 환자를 유도했을 가능성
참고문헌
김정희 외9명, 심리학의 이해
김현택 외(1996), 심리학, 학문사
로버트 D. Nyu(1991), 프로이드, 스키너, 로져스 심리학과 인간이해, 중앙적성출판사
송명자 저(1995), 발달심리학, 학지사
캘빈 S.홀, 민희식 역(2003), 프로이드 심리학, 정민 디디어
캘빈 S. 홀, 안귀여루(1996), 프로이드 심리학 입문, 범우사
H. 마르쿠제·E. 프롬, 포로이트 심리학 비판, 선영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5.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