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Cloning 기본단계
@ PCR 기본단계
@ 유전자 cloning과 PCR의 중요성
@ PCR의 2가지 제한
@ DNA 분자가 벡터(vector)역할을 하기 위한 특성
@ Plasmid
@ Plasmid 복제 방법
@ Plasmid 분류
@ Bacteriophage or Phage
@ Phage 감염 양식
@ 용균주기(lytic cycle), 용균감염
@ 용원성 파아지(Lysogenic phage) - 대표적으로 λ , M13 phage
@ λ DNA 분자
@ M13 DNA 분자
@ 클로닝 vector로서의 M13
@ 총세포 DNA 추출
@ 총세포 DNA 추출의 다른 방법
@ 플라스미드 정제와 총세포 DNA 추출 사이의 차이
@ 플라스미드 DNA의 추출
@ 플라스미드 증폭
@ 높은 λ phage 적정량을 얻기 위한 배양
@ 감염된 배양액에서 파아지 수집
@ λ 파아지 입자에서 DNA 정제
@ M13 DNA 정제
@ DNA 조작 기술에서 정제된 효소의 사용
@ DNA 조작 효소의 종류
@ DNA를 절단하는 효소들 - 제한효소
@ 제한효소의 발견과 기능
@ 형태 Ⅱ 제한효소
@ 제한효소 이용, 절단 실험시 고려할 사항
@ 제한효소 비활성화 방법(효소파괴)
@ 전기영동
@ 표준 전기영동으로 DNA 분자를 분리할 수 없는 이유
@ 젤 전기영동에 의한 분자의 분리
@ 젤 전기영동 실험 결과를 보는 방법
@ DNA ligase 활동
@ Blunt 말단 분자에 Sticky 말단 도입
@ PCR 기본단계
@ 유전자 cloning과 PCR의 중요성
@ PCR의 2가지 제한
@ DNA 분자가 벡터(vector)역할을 하기 위한 특성
@ Plasmid
@ Plasmid 복제 방법
@ Plasmid 분류
@ Bacteriophage or Phage
@ Phage 감염 양식
@ 용균주기(lytic cycle), 용균감염
@ 용원성 파아지(Lysogenic phage) - 대표적으로 λ , M13 phage
@ λ DNA 분자
@ M13 DNA 분자
@ 클로닝 vector로서의 M13
@ 총세포 DNA 추출
@ 총세포 DNA 추출의 다른 방법
@ 플라스미드 정제와 총세포 DNA 추출 사이의 차이
@ 플라스미드 DNA의 추출
@ 플라스미드 증폭
@ 높은 λ phage 적정량을 얻기 위한 배양
@ 감염된 배양액에서 파아지 수집
@ λ 파아지 입자에서 DNA 정제
@ M13 DNA 정제
@ DNA 조작 기술에서 정제된 효소의 사용
@ DNA 조작 효소의 종류
@ DNA를 절단하는 효소들 - 제한효소
@ 제한효소의 발견과 기능
@ 형태 Ⅱ 제한효소
@ 제한효소 이용, 절단 실험시 고려할 사항
@ 제한효소 비활성화 방법(효소파괴)
@ 전기영동
@ 표준 전기영동으로 DNA 분자를 분리할 수 없는 이유
@ 젤 전기영동에 의한 분자의 분리
@ 젤 전기영동 실험 결과를 보는 방법
@ DNA ligase 활동
@ Blunt 말단 분자에 Sticky 말단 도입
본문내용
nslation) : 대부분의 정제된 DNA 샘플은 절단 분자를 포함하는데, DNA 중합효소 I이 DNA에 붙어 사슬치환 촉매 반응을 시킬 때 뉴클레오티드를 필요로 한다.
→ 어떤 DNA분자도 표지 가능, 하지만 DNA를 절단하는 경우가 생긴다.
② 말단채움(end-filling) : Klenow fragment가 사용되며, 상보가닥을 합성하여 접착말단에 채워 넣는다.
→ 접착말단을 가진 DNA 분자만 가능.
@ DNA ligase 활동
- 이중분자의 한 가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연속을 복원(nucleotide 사이에 phosphodiester 결합이 없는 곳)
- 단가닥 불연속 복원 뿐만 아니라 다른 두 개의 DNA 분자를 결합시키거나 같은 분자의 양 끝을 결합시키기도 한다.
@ Blunt 말단 분자에 Sticky 말단 도입
1) Linker(연결자) : 알려진 뉴클레오티드 염기배열을 하고 있는 합성된 이중가닥 DNA의 짧은 단편, BamHI 제한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blunt 말단 손상 가능성이 있다.
① Blunt 말단에 하나 이상의 연결자가 부착된다. → ligase에 의한 ligation
② BamHI 제한부위를 포함하고 있어서 연쇄구조 인식 염기배열이 잘려나가 sticky 단편이 생성된다.
2) Adaptor : linker와 같이 짧은 합성 뉴클레오티드이지만 linker와 다르게 이미 하나의 sticky말단을 가진다. adaptor 자신들끼리 ligation 될 수가 있다.
3) Homopolymer tailing : 모든 하위단위를 동일한 고분자로 만들어 상보적인 염기쌍으로 결합시킨다.
→ 어떤 DNA분자도 표지 가능, 하지만 DNA를 절단하는 경우가 생긴다.
② 말단채움(end-filling) : Klenow fragment가 사용되며, 상보가닥을 합성하여 접착말단에 채워 넣는다.
→ 접착말단을 가진 DNA 분자만 가능.
@ DNA ligase 활동
- 이중분자의 한 가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연속을 복원(nucleotide 사이에 phosphodiester 결합이 없는 곳)
- 단가닥 불연속 복원 뿐만 아니라 다른 두 개의 DNA 분자를 결합시키거나 같은 분자의 양 끝을 결합시키기도 한다.
@ Blunt 말단 분자에 Sticky 말단 도입
1) Linker(연결자) : 알려진 뉴클레오티드 염기배열을 하고 있는 합성된 이중가닥 DNA의 짧은 단편, BamHI 제한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blunt 말단 손상 가능성이 있다.
① Blunt 말단에 하나 이상의 연결자가 부착된다. → ligase에 의한 ligation
② BamHI 제한부위를 포함하고 있어서 연쇄구조 인식 염기배열이 잘려나가 sticky 단편이 생성된다.
2) Adaptor : linker와 같이 짧은 합성 뉴클레오티드이지만 linker와 다르게 이미 하나의 sticky말단을 가진다. adaptor 자신들끼리 ligation 될 수가 있다.
3) Homopolymer tailing : 모든 하위단위를 동일한 고분자로 만들어 상보적인 염기쌍으로 결합시킨다.
소개글